Thoughts

시한부 환자들이 꼽은 삶에서 가장 후회되는 5가지

나는 그렇게 후회하지않아야할텐데

시한부 환자들이 꼽은 삶에서 가장 후회되는 5가지  
인사이트 | Wednesday. July 02. 2014
  

“Memento Mori(죽음을 기억하라)”

후회 없이 한 평생을 살다 인생을 마무리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해도 후회하고 안해도 후회하는 게 우리의 운명인 탓에 완벽한 삶이란 상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죽음을 앞둔 사람들에게는 살아있는 사람들이 헛되게 보내는 1분 1초도 부럽기 마련.

시한부 환자들을 오랫동안 돌봐온 브로니 웨어라는 호스피스 간호사가 자신의 경험을 담은 이야기를 책으로 출간했고 이 책이 수백만명의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브로니 웨어는 자신의 책 죽을 때 후회하는 5가지(The top 5 regrets of the dying)를 통해 우리들에게 인생에 대한 잔잔한 통찰력을 주고 있다. 그녀가 환자들에게 직접 듣고 기록한 내용을 우리에게 소개했다.

1. 남의 눈치를 보지 말고 나 자신에게 더 솔직하게 용기내서 살아볼 것을…

이런 후회는 죽음을 앞둔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후회였다.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삶이 아닌 타인이 원하는 인생을 살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것.

많은 꿈들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에 안타까워 하는 것이 아니다. 아예 시도를 해보지도 않았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정할 때 더 크게 좌절하고 후회하고 있었다.

2. 너무 일만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앞두고 일을 하지 않았던 사실을 후회하지 않았다. 반대였다. 너무 일만 생각하고 다른 것에는 신경을 쓰지 못하고 일 중독자로 인생을 낭비했다고 후회했다.

하고 싶은 일을 열심히 살았다면 오히려 스스로 만족감이 높았을 것이다. 그것이 아니라 그냥 일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느낀 나머지 다른 시도를 해보지 않았던 것을 후회한 것이다.

일 말고 자녀들과 시간을 더 보내고 아내와 소중한 추억을 만들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다.

3. 감정 표현을 좀더 많이 하고 살았어야 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억누르고 산다. 이유는 다른 사람들과 무난하게 잘 지내기 위함이다. 하지만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때로는 자신과 타인을 속이면서 살았다는 점은 뒤늦게 후회하는 부분이었다.

당신이 사랑이든 분노든 애증이든 솔직한 감정 표현을 못하고 지내고 있다면 그런 태도를 바꾸라고 시한후 환자들은 조언했다.

4. 친구들과 좀더 자주 시간을 함께 보낼 것을…

옛날 친구 그리고 오랜 친구들을 잊지 못하는 것은 모두가 한결 같았다. 특히 죽음을 얼마 남겨놓고 있지 않았을 때 가장 그리워 하는 대상은 친구들이었다.

가족을 제외하면 가장 그리운 대상은 친구라고 했다. 친구라는 존재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대부분 건강할 때는 알지 못한다. 죽음을 앞둔 사람 중에서 친구를 찾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5. 좀더 인생을 행복하게 살 것을…

행복이란 것은 마음에 달렸다는 사실을 죽음을 앞두면 깨닫게 된다고 한다. 삶이란 얼마나 유한하고 덧없는 것인지 알게되는 순간 ‘행복의 참된 의미’를 알게 되는 것이다.

유한한 삶을 더 행복하게 살기 위해 모든 것에 감사하고 만족할 수 있었다면 죽음 조차도 두렵지 않았을 것이라고 모두가 입을 모은다. 그리고 조금 더 웃고 주변 사람에게 행복한 말들을 해줄 것을 후회했다.

인간의 삶은 길어야 한 세기를 넘기지도 못하고 사라질 운명이다. 이렇듯 삶을 더 의미 있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 우리가 죽음을 기억해야 할 이유는 분명하다. 지금 당신에게 주어진 삶이 마지막 하루라고 생각한다면 더 없이 행복한 인생이 될 것이다.

2014-07-21T00:19:28+09:00Mon 21 Jul 2014 12:19 AM|

World Cup 2014 in 90 seconds

http://gu.com/p/4vx7a

World Cup 2014 in 90 seconds
이번 브라질 월드컵을 90초만에 정리한 애니메이션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지만 정말 고생했겠다.

2014-07-21T00:17:46+09:00Mon 21 Jul 2014 12:17 AM|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하는 큰 질문에 대해

아직 시작도 못하고 있다.

손대기가 참 어려운 부분이다.

2014-07-18T23:27:33+09:00Fri 18 Jul 2014 11:27 PM|

빈지노

서울대 미대를 졸업한 빈지노라는 래퍼가 최근에 발표한 곡이다.
뭐랄까

나이가 27살이 되는 녀석이
이렇게 밖에 가사를 못쓰는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
한심했다.

Jackson Pollock D*ck

I like the color of your skin,
You’re the one that dreamed girl (or dreamed of)
and I wonder if it’s pink
I wonder if it is Brazilian
난 알고 싶어 deeper you,
365 think of you
I picture u 난 남기 싫어
그냥 친구론
I just wanna lick u good
On my 침구류, yeah in my bed
Let me paint u like how Jackson Pollock did
I Like, You Like
I Like, We Like

Miami Heat
Can I hit u in the morning
I bet u never seen
The fireworks morning
I’mma be that fire, u can be my gasolina
Fuck the fashion, let’s get naked, I just want the passion-ista
And in this situation에서 Asian rapper ain’t polite
yes Let me paint u like how Jackson Pollock did
I Like, You Like
I Like, We Like

2014-07-16T18:43:04+09:00Wed 16 Jul 2014 6:43 PM|

직원들

직원들 때문에 참 힘들다.

직원이라고 해봐야 주방, 김밥, 카운터 이렇게 3명인데

주방이 이상한 사람이라, 나머지 2명을 힘들게 하여 그 2명이 그만두겠다고 나서고
그래서 우여곡절 끝에 주방을 바꾸니까

그 와중에 김밥은 쉬는 날 팔을 다쳐오고

새로운 주방은 일을 못해서 다른 사람들까지 골병 들게 하고

그래서 또 다시 주방을 바꾸니까
시어머니가 다쳐서 병수발때문에 일을 그만둔다고 하고

정말 미치겠다.

2014-07-16T13:56:53+09:00Wed 16 Jul 2014 1:56 PM|

부모가 스펙이 된 세상

너무나 당연한 일이긴 한데
뭐랄까, 매우 답답하다.
희망이라는 것이 없는 세상이 되어간다고 해야할까.

그리고 합격 여부만 따지는 변호사 시험은
오히려 시대를 역행하는 것 같다.

대형로펌, 법조인 자녀만 30여명… 노골적 채용 우대

한국일보        | 기사입력 2014-07-16 04:43 | 최종수정 2014-07-16 09:55

‘빽’ 있어야 로펌행… 현대판 음서제
집안·학벌·인맥이 당락 결정, 객관적 선발기준 없이 밀실채용

최근 3년간 신규취업 변호사 중 SKY 출신이 64%나 차지대형 로펌의 변호사 채용이 실력보다는 인맥과 학벌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5일 서울의 한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들이 도서관으로 향하고 있다. 김주성기자 poem@hk.co.kr

변호사시험 성적 비공개 그 후“집안 배경과 인맥, 학벌로 밀실 채용을 하니 서류 통과마저 어렵다.” 사법시험 체제가 아닌 변호사시험 체제에서 대형 로펌들이 집안 배경이나 학벌을 위주로 채용하는 경향이 더 심해지면서 내세울만한 배경이 없는 로스쿨생들은 이러한 좌절감을 표출하고 있다. 현대판 음서제의 부활이라고 할 정도로 법조취업시장에는 집안, 학벌, 인맥만 남았다는 지적이다.

집안 배경이 곧 능력

15일 한국일보가 파악한 10대 로펌의 변호사시험 출신 변호사 채용 현황에 따르면, 대다수의 대형 로펌들이 전·현직 고위 법조인, 정치인, 고위 관료, 대기업 CEO 등의 자녀를 대거 채용했다. 국내 최대 로펌인 김앤장에는 전 정권 법무비서관(판사 출신)을 지낸 A씨의 딸, 전 헌법재판관의 아들이 채용돼 근무 중이다. 법률시장 2위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다투고 있는 법무법인 태평양은 지역 법원장까지 지낸 현직 법조인의 아들과 딸을 최근 영입했다. 특히 태평양은 지역 로스쿨 출신 채용 할당 카드를 이 법조인 아들에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꼼수’ 지적까지 받고 있다.

정치인 자녀들의 로펌행도 눈에 띈다. 법무법인 세종은 현역 시장의 아들을 채용했으며, 전 국가정보원장의 아들 역시 김앤장에서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 이 밖에 대기업 CEO 딸, 현직 행정부 차관을 친척으로 둔 변호사 등 변시 1~3기 중 이름을 대면 알만한 유력 인사의 자녀 20여명이 로펌에 포진해 있다.

변시 출신 변호사 중 검사를 뽑는 검찰에도 유력 인사의 자제들이 영입됐다. 여당 실세인 한 정치인의 아들이 검사로 임용돼 공익근무관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한 로펌 고문 변호사의 딸 역시 최근 검사로 임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법관은 변시 출신 변호사 중 “현재 대형 로펌에 취업한 법조인 자녀만 족히 30명은 될 것”이라며 “보수적인 법조계 특성상 쉬쉬하고 있지만, 아버지 ‘빽’으로 취업했다는 이들이 매년 늘고 있는 추세”라고 전했다.

로펌들의 입장에선 유력 인사의 자녀 채용이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한 로펌의 인사 담당자는 “로펌은 공익센터가 아니다”며 “자유경쟁시장에서 유력 인사 자제를 채용해 대형 소송 유치에 도움을 받는 것은 또 다른 생존전략일 뿐”이라고 항변했다.

로펌들의 유력 인사 자제 채용 경향은 변호사시험 성적이 공개되지 않으면서 더욱 노골화했다. 주요 로펌들은 변호사시험 합격증과 함께 학부 졸업증, 로스쿨 학점, 자격증, 실무 경력 증명서 등 서류심사를 거쳐 면접으로 채용을 확정한다. 하지만 서류전형에서 인플레이션이 만연한 로스쿨 학점을 불신하고, 자격증과 실무 경력도 크게 비중을 두지 않아 사실상 서류전형의 객관적 지표가 없다. 면접심사는 아예 제시되는 기준도 없어 불투명성은 더 심각하다. 로펌마다 “우리 로펌과 어울리는 인재상을 찾기 위한 절차를 진행했다”고 할 뿐이다.

법조계에선 로펌의 인사 채용이 개인의 능력보다 배경을 중시하는 전근대적 관행으로 퇴행하면서 결과적으로 우리 사회의 기득권층의 인맥을 공고하게 하는 데에 일조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형 로펌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한 변호사는 “사법시험 체제에서도 물론 유력인사 자녀들이 로펌에 채용됐지만, 당시에는 사법연수원 성적 등 객관적인 지표가 있어 무리수는 두지 않았다”며 “지금처럼 아무 근거나 기준 없이 (유력 인사들의 자녀를) 채용하는 것은 결국 ‘빽’이 능력인 풍조를 로펌이 조장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배경 약하면 SKY 출신이어야채용 기준의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학벌 지상주의’도 춤추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10대 로펌에 신규 채용된 변호사 238명 중 64.2%가 이른바 SKY(서울?고려?연세대) 로스쿨 출신이다. 로펌들은 서울대 로스쿨 출신 87명(36.6%), 고려대와 연세대 출신 74명(31.1%)을 채용했다. 학부 출신 대학을 보면 서울대 학부 출신들은 121명(50.8%)으로 과반수이고, SKY 출신만 186명(74.1%)에 달했다. SKY 외 서울 주요 사립대 로스쿨 출신 61명 가운데 37명(60.6%), 지방 로스쿨 출신 13명 중 6명(46.1%)이 SKY 학부 출신인 점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로펌 신규채용자 대부분이 SKY 학부 출신이다.

변호사시험 시대를 맞아 포항공대 KAIST 경찰대 출신의 약진도 눈에 띈다. 이들 대학 출신의 신규 변호사는 총 24명으로, 순수 지방대 출신(3명)보다 월등히 많다. 최근 지식재산권, 특허 소송과 경찰 단계의 형사 사건이 증가하면서 전문성 있는 인력이 충원된 것인데, 이들 대학 출신들이 지역 할당을 대부분 차지해 지역 균형을 맞추기는 더욱 어려워진 형국이 됐다.

SKY 출신으로 대형 로펌에서 근무했던 한 변호사는 “로펌 입장에서는 SKY 중심으로 형성된 현 법원·검찰의 인맥을 활용하기 위해 SKY 출신에 대해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법조계에선 성적순으로 줄을 세우던 과거 사법시험 체제도 문제가 있지만 아무 근거 없이 합격증만 교부하는 현 체제가 이어진다면, 오히려 인맥과 학벌이 채용을 좌우하는 현 상황이 고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진녕 변호사는 “변호사시험 성적을 무조건 공개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과 공개할 때 발생할 부작용을 비교하면, 공개했을 때 법률시장의 건전성 확보라는 장점이 더 크다”고 말했다.

정재호기자 next88@hk.co.kr

조원일기자 callme11@hk.co.kr

2014-07-16T10:06:31+09:00Wed 16 Jul 2014 10:06 AM|

Dulux TV commercial

영국의 Dulux 라는 페인트 회사의 2010년 기업 광고

페인트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라는 물음에서 출발한 프로젝트.

참 대단하면서도 직관적이다.

2014-07-15T16:48:06+09:00Tue 15 Jul 2014 4:48 PM|

체력의 한계에 왔나 싶다.

주말에도 계속 가게에서 일하고

월요일 아침 6시에 일어나서 회사로 가서 일을 하다보니
월요일 저녁 가게에 오니 쓰러질듯이 피곤하다.

아마 왕십리역에서 갈아탈 때에
분당선 지하철에서 앉을 자리를 못잡아 잠깐이라도 눈을 붙이지못해서일까.

내일도 아침 일찍 일어나야하는데
잘 버텨야할텐데 걱정이다.

2014-07-14T23:52:24+09:00Mon 14 Jul 2014 11:52 PM|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