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ts

Jerome Kohlberg Jr., Pioneer of the Private Equity Industry, Dies at 90

1세대의 퇴장

Jerome Kohlberg Jr. in 1992. He founded K.K.R.

Jerome Kohlberg Jr., a veteran financier who pioneered the $2.6 trillion leveraged-buyout industry but later rejected its hunger for huge and aggressive deals, died on Thursday at his home in Martha’s Vineyard. He was 90.

The cause was cancer, of which he had received a diagnosis two decades ago, his son James said.

Mr. Kohlberg rose through the ranks of the investment bank Bear Stearns, where he started working in 1955. But he and two younger men whom he had mentored, Henry R. Kravis and George R. Roberts, eventually left in 1976 to form a new investment firm bearing their names. Kohlberg Kravis Roberts & Company became a major force that set the tone for the buyout industry, particularly after it took over the tobacco and food conglomerate R.J.R. Nabisco — the deal made famous in the book “Barbarians at the Gate: The Fall of RJR Nabisco,” by Bryan Burrough and John Helyar, although Mr. Kohlberg left the firm a year before the deal was completed.

Yet Mr. Kohlberg and his protégés grew apart, separated by philosophies over corporate strategy and lifestyle. Where Mr. Kravis and Mr. Roberts were willing to pursue large-scale, hostile takeovers, Mr. Kohlberg instead chose to focus on smaller deals, always on friendly terms.

By the time Mr. Kohlberg retired from the sector altogether in 1994, the leveraged-buyout business — since renamed “private equity” — was on its path to becoming immense, eventually making billionaires of Mr. Kravis and Mr. Roberts, as well as rivals like Stephen A. Schwarzman of the Blackstone Group and David Rubenstein of the Carlyle Group.

Mr. Kohlberg maintained a less ostentatious life, shunning the high-roller social soirees for tennis, reading and later yoga.

“Getting Jerry to go out to a cocktail party is a major event,” a friend said of him, according to “Barbarians at the Gate.”

Jerome Kohlberg Jr. was born on July 10, 1925, to Jerome Sr., an importer, and Edith, a writer and charity worker, and was raised in New Rochelle, N.Y.

He later attended Swarthmore College. The school’s Quaker philosophy inspired him enough to later call himself a “Jewish Quaker.” After a stint in the Navy, he earned degrees from Harvard Business School and Columbia Law School, helped in part by the G.I. Bill.

A brief detour as a clerk for a federal judge eventually led Mr. Kohlberg to Wall Street, where he joined Bear Stearns. While there, he became the head of the bank’s corporate finance department, responsible for the standard capital-raising that was the mainstay of investment banking.

But he developed a specialty on the side: what was known then as the “bootstrap deal,” originally meant to buy the companies of aging business owners looking to sell.

Mr. Kohlberg would set up shell companies with the help of investors, amplify his buying power with borrowed money, and then buy those businesses. After vigorous cost-cutting and pushing management teams to perform more efficiently, he would bring these companies to the stock markets, selling them for hopefully more than he had paid.

Advertisement

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
Advertisement

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
Advertisement

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
That model has underpinned the basic private equity deal ever since.

While at Bear Stearns, Mr. Kohlberg became the mentor of two promising Wall Street types, the cousins Mr. Kravis and Mr. Roberts, who quickly took to this form of deal-making. But others at the firm began to grumble about the three spending too much time away from bread-and-butter business of the firm, investment banking.

After an attempt to form a leveraged-buyout group within Bear Stearns was rejected, the three men struck out on their own. With the help of eight investors, including Mr. Kravis’s father and Mr. Kohlberg’s $5 million nest egg, they set up Kohlberg Kravis Roberts & Company in Midtown Manhattan.

Though the early years of the firm were sometimes lean, K.K.R.’s business model proved alluring, prompting a growing stream of competitors eager to reap huge profits from deals made with borrowed money.

In 1983, Mr. Kohlberg began experiencing health problems, which eventually included blood clots in his brain and then his lung. He took time off from the fledgling firm, trying several times to come back but unable to return at full strength.

By the time he returned, he had become dissatisfied with the harder-edged approach that the leveraged-buyout industry had adopted. He opposed K.K.R.’s hostile takeover bid for Beatrice Foods — yet the deal was consummated anyway.

Unable to come to an agreement on a role at the firm where he served as senior founding partner, Mr. Kohlberg left to form his own investment firm, Kohlberg & Company, in 1987, with his son James as co-founder. (James Kohlberg is a board member of The New York Times Company.)

“We must all insist on ethical behavior or we will kill the golden goose,” Mr. Kohlberg said at his last investor conference at K.K.R.

Kohlberg & Company has raised $5 billion from investors since its inception, having struck $10 billion worth of deals in its own right.

Upon his retirement from Kohlberg & Company in 1994, Jerome Kohlberg focused in large part on philanthropy, including efforts to provide education for veterans of the wars in Iraq and Afghanistan. He also supported efforts to overhaul campaign finance laws, lending his backing to the McCain-Feingold legislation that passed in 2002.

“Jerry was a real visionary, hav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 private equity model in the 1960’s, and he was a true mentor to George Roberts and me,” Mr. Kravis said in a statement.

“Henry and I are proud that our firm’s name is Kohlberg Kravis Roberts,” Mr. Roberts said. “Jerry will be missed and remembered by many.”

In addition to his son James, Mr. Kohlberg is survived by his wife, Nancy; three other children, Karen, Pamela and Andrew; 12 grandchildren; and three great-grandchildren.

2015-08-02T04:33:06+09:00Sun 02 Aug 2015 4:33 AM|

여름이 빨리 지나간다

일이 바빠서 벚꽃이 피는지도 모르면서 봄을 날렸고 (4~5월)

또 다른 일이 바빠서 여름이 왔고 또 지나가는지도 모르게 살고 있다.

계절의 흐름은 잘 때 더워서 에어컨을 가끔 켤 때에나 새삼 깨닫는다.

여름 휴가는 딱히 가고 싶지도 않고 갈 생각도 안해봤다.

2015-08-02T04:31:29+09:00Sun 02 Aug 2015 4:31 AM|

현실에 매몰되어

현실에 매몰되어

모멸감 마저도 잠시 잊고 일을 하는 내가 싫다

실망스럽다.

다시는 이런 일을 겪지 않을 것이다.

2015-07-29T03:13:16+09:00Wed 29 Jul 2015 3:13 AM|

모멸감

모멸감 이라는 것을

처음 느껴보았다.

이제 정말 정말 그만둘 때가 온 것 같다.

2015-07-28T07:47:40+09:00Tue 28 Jul 2015 7:47 AM|

일요일 새벽 4시 45분

아직 회사다.

옷도 갈아입었다.

일을 다 할 수 있을까?

입술이 다 부르텄다.

2015-07-26T04:47:04+09:00Sun 26 Jul 2015 4:47 AM|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로 했다.

언제 이런 일을 한번 해보겠나.

다시는 이렇게 일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니 마음이 가벼워졌다.

시간은 어찌하든 흘러간다.

2015-07-22T01:26:57+09:00Wed 22 Jul 2015 1:26 AM|

다시 홍콩

회사 일정때문에 홍콩에 왔다.

머리가 멍하다. 할일들 때문에.

2015-07-19T03:19:08+09:00Sun 19 Jul 2015 3:19 AM|

‘군대간 한국인 남친’ 2년 동안 기다린 영국 소녀

행복하세요!

***

‘군대간 한국인 남친’ 2년 동안 기다린 영국 소녀 (영상)

인사이트 07/16/2015 07:55PM

군대 갔던 한국인 남자친구와 2년 만에 재회한 10대 영국 소녀의 반응이 가슴을 따뜻하게 만든다.

지난 15일 알리 애벗(Ali Abbot, 18)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그토록 바라왔던 남자친구와의 재회 순간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이날 알리는 남자친구와 만나기 전부터 잔뜩 들뜬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서툰 한국말로 “오늘은 정말 특별한 날이에요. 왜냐면 오빠를 볼 거예요”라며 떨리는 마음을 고백했다.

내내 설레는 표정으로 공항에서 대기하던 알리는 드디어 애타게 기다렸던 남자친구와 마주했다.

via Ali Abbot /Youtube

2년 만에 다시 만난 두 사람은 재회의 기쁨을 진한 포옹과 달콤한 입맞춤으로 전했다.

그간의 그리움과 애틋함은 아마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알리는 그저 남자친구를 꼭 끌어안은 채 몇 번이고 얼굴을 확인하며 행복한 미소로 자신의 마음을 대변했다.

이들 곁에 서있던 두 노신사 역시 두 사람의 모습이 흐뭇한 모양이다. 지켜 보는 내내 미소가 절로 지어지는 영상이다.

한편, 두 사람은 인터넷 펜팔을 계기로 지난 2013년 2월부터 만남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향주 기자 hjoh@insight.co.kr

2015-07-16T23:01:23+09:00Thu 16 Jul 2015 11:01 PM|

기억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

최근 몇년간 매 생일 저녁이면

그랜드 하얏트의 “아카사카”에서 데판야키를 먹어왔다.
그래봐야 1년에 한번 가는 것인데

오늘 데판야키에서 요리해주시는 분과 몇마디 대화를 나누다가
내가 기념이 될만한 날에 여기를 오곤 한다고 말을 하니

주방장이 대뜸 내가 몇번 온 것 기억한다고 말을 하는 것이다.

누군가가 나를 기억해주는 것
참 감사하고 기분 좋은 일이다.

2015-07-12T23:47:02+09:00Sun 12 Jul 2015 11:47 PM|

주말 없는 직장인

토요일에 일을 한다고 일을 잘하는게 아닌데…
한심한 발상들

그냥 “일을 시키고 싶다”는 것 외에 토요일에 근무를 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이던가

***

올들어 ‘주말 없는 직장인’ 늘었다
정원석 기자

입력 : 2015.07.11 06:00
포스코 재무실의 A팀장은 최근 두달동안 휴일인 토요일에 출근하고 있다. 지난 5월 14일 회사가 비상경영쇄신위원회를 출범시키며 팀장급 이상 임직원들에게 ‘자율근무’ 형태로 토요일에 출근할 것을 지시했기 때문이다. 토요일에도 오전 9시까지 출근해 오후 6시까지 근무하며 평일에 챙기지 못했던 각종 검토 사안들을 챙기고 있다.

LG그룹의 주력사인 LG전자는 전략 스마트폰인 G4의 판매가 부진하고, TV 등 가전사업 부문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국내영업 조직의 주요 임원들이 한달 전부터 주말에도 출근, 회의를 하고 있다.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차원에서 일부 임원들은 토요일에도 정장 차림으로 출근하고 있다. 임원들이 출근하면서 팀장급 간부와 주요 보직자들도 휴일 근무를 자처하고 있다.

국내 1위인 삼성그룹은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은 물론 삼성전자 등 주요 계열사 임직원 상당수가 휴일에도 출근해 회의 준비 등에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올해 들어 국내 주요 대기업 팀장급 이상 임직원들이 ‘주말이 없는 삶’을 살고 있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주요 기업이 실적 부진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되면서 주요 대기업들이 토요일과 일요일에도 출근해 업무를 하는 비상경영 체제를 가동했기 때문이다.

비상경영 체제는 위기 극복을 위해 불가피한 처방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장기화할 경우 오히려 신사업 추진을 뒷받침할 다앙한 아이디어가 나오는 것이 가로막을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 “근무기강 강화해서 위기의식 높인다”

주요 대기업에서의 비상경영 체제는 조직 내 긴장감을 높이겠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SK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창립 37년만에 처음 적자를 기록한 이후 올해 초부터 야근을 부활시켰다. 전임 CEO(최고경영자)인 구자영 부회장 재임기에만 해도 SK이노베이션은 오후 6시 강제퇴근제가 시행됐다. 하지만 이 같은 느긋한 근무기강으로는 저유가에 따른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야근을 부활했다. SK이노베이션은 또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구조조정에 박차를 기하고 있다.

서울 서린동 SK 본사 전경. /조선일보 DB ▲ 서울 서린동 SK 본사 전경. /조선일보 DB
현대차그룹도 근무기강 강화 등을 통해 분위기 다잡기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전 계열사에 ‘오전 8시부터 업무개시, 점심식사는 오후 12시부터’라는 근무시간 규정을 준수하라는 지침을 내려 보냈다. 최근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자동차 사옥 지하 1층 구내식당에는 ‘근무시간 준수와 기초 질서 지키기는 그룹 위상을 높이는 초석이 됩니다’는 안내표지판과 함께 디지털카메라가 설치됐다. 점심을 일찍 먹기 위해 식당에 입장하는 직원을 색출하기 위해서다.

재계에서는 내수 불황과 수출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 전체에 자극을 주기 위한 방안으로 대기업들이 근무 규정 강화와 근무시간 연장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팀장급 이상을 대상으로 한 포스코의 ‘토요일 자율 근무’ 역시 대내외 악재에 대응하기 위한 긴장감 조성이 주된 목적이다. 검찰 수사 장기화가 직접적인 계기가 됐지만, 내부적으로는 권오준 회장이 취임 직후 추진한 구조조정의 성과가 부진한 것이 원인이 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구조조정 성과 도출에 전사(全社)적인 역량을 투입하겠다는 권 회장의 의지가 토요근무에 반영됐다는 얘기다.

◆ “장기화되면 신성장 동력 창출에 도움 안될 수도”

문제는 근무 기강 강화를 통한 비상경영의 효율성이 높지 않다는 것이다. 시행 초기에는 성과가 일부 나타나기는 하지만 장기화하면 조직원들의 피로가 쌓여 부작용이 더 크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이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회사 분위기 때문에 주말에 나와서 근무를 하고 있기는 하지만, 평일에 밀린 잔업 일부를 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업무에 크게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다”면서 “오히려 할 일이 많지 않아 인터넷 검색만 하다 들어가는 경우가 빈번하다”고 말했다.

오히려 이 같은 ‘짜내기식’ 비상경영은 신성장동력 창출을 통한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에 역행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기찬 카톨릭대 경영학과 교수는 “한국 경제의 어려움은 주요 기업들이 세계 시장 흐름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주말근무와 같은 비상경영을 하는 것은 조직원들의 시선을 기업 내부에 갇히게 만들어 고립을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2015-07-11T13:54:06+09:00Sat 11 Jul 2015 1:54 PM|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