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ts

짧은 유럽 여행

아내와 일주일 일정으로

런던 3박 , 파리 3박, 로마 1박 경유 일정으로 서유럽에 왔다.

백수 신분이고 말 그대로 “no update”라서
어떻게 지내냐 계획이 뭐냐 물어볼 사람들을 만나기보다 그냥 조용히 있다 떠나고 있다.

런던에서는 2일간 우려낸 국물을 쓴다는 베트남 쌀국수,
파리에서는 마들렌 부근 이탈리안 음식점에서 먹은 파스타가 기억에 남는다.

20년전에 들렸던 샹제리제 거리의 홍합요리 전문점 “레옹”은
파리에 방문할 때마다 가는데
아직도 그자리 그대로 있다.

그러고보니 유럽에 처음 간 것도 벌써 20년전이다.
시간은 총알같이 흐른다.

요즘은
남은 인생이 절반 정도 남았다 생각해서인지
어딘가를 들리면 이곳은 내 인생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방문하는 곳이다 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다시 여길 오진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 마음이 묘하다.

2016-12-21T06:25:03+09:00Wed 21 Dec 2016 6:25 AM|

하던 일 계속해서 vs 나의 사업

돈을 많이 받고 남들에게 있어보이는, 하지만 나는 흥미가 없는 일을 하느냐
vs.
돈을 적게 받고 남들에게 주목 받지않아도, 나에게 흥미가 있는 일을 하느냐

에서 언제나 후자여왔고, 후자여야한다고 생각을 하면서
막상 선택을 해야할때는 현실이 있기에 망설이게 된다.

지금 돈을 더 벌어서 다음에 사업을 할 때에 (남에게 손 안벌리고) 종자돈으로 할 수 있을거야
vs.
지금하지않으면 늦어

돈 버는 일을 더 하더라도 일정시점에 그만 둘 준비와 자신은 있다.
다만 시점이 언제여야할거냐인데
많은 용기가 필요한 것 같다.

2016-12-17T07:01:34+09:00Sat 17 Dec 2016 7:01 AM|

스타트업의 대기업 인수 소식을 보면서

최근 헬로네이처라는 온라인 식료품 판매회사가 11번가를 운영하는 SK플래닛에 인수되었다.
(난 개인적으로 SK가 왜 인수했는지 잘 이해가 안된다. SK가 맘먹고 만들었다면 훨씬 더 잘만들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하기에)

어쨌든 이 과정을 보면서 몇가지 느낀 것은…

1. 국내 스타트업의 exit 방안이 한가지 개발되었다는 점이 놀라웠고 (앞으로도 활발히 대기업이 인수하려 들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지만)
2. (잘 알지도 못하면서) 남의 성공을 폄하해서는 안된다는 깨달음을 다시한번 머리에 주입하고 있고
3. 나도 세상에 내 뜻을 담은 회사를 통해 내 실력을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이 다시금 솟구쳐오른다는 점

2016-12-17T06:48:52+09:00Sat 17 Dec 2016 6:48 AM|

정말로 옳았던 선택

가끔 예전 회사소식을 들을 때 마다
퇴사를 결정했던 것이 얼마나 나에게 다행스러운 일이었나 (적어도 지금까지는)를 깨닫고
안도의 한숨을 쉬곤 한다.

회사에 있었다면 겪어야했던 일은
아무리 돈을 받아도 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었는데
나의 정신건강을 위해 천만 다행이다.

2016-12-16T08:03:35+09:00Fri 16 Dec 2016 8:03 AM|

샤오미 전동 스쿠터

샤오미에서 새롭게 전동 스쿠터가 나왔다.
중국 현지 가격은 33만원 정도라는데
디자인도 깔끔하고
걷거나 차를 가져가기 애매한 거리를 이동할 때 도움이 되지않을까 싶다.

2016-12-13T02:00:34+09:00Tue 13 Dec 2016 2:00 AM|

업계에서 나에 대한 소문

벌써 1년하고도 4개월이나 지난 일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가끔씩 업계에서 내가 퇴사할 때의 에피소드가 나도는 모양이다.

듣자하니 소문이 과장되고 증폭된 것 같지만
나에게 딱히 부정적인 것도 아니고 (사실은 이상한 의미에서 긍정적이고)
내가 나서서 사실은 이런거였어라고 말하고 다니는 것도 이상하고 해서

그냥 내버려두고 있다.

남들이 뭐라고 하든 신경을 안쓰기로 결심하면서 괜찮아졌다.

2016-12-12T02:48:24+09:00Mon 12 Dec 2016 2:48 AM|

사람들과의 충돌이 가장 괴롭다

내가 딱히 잘못한게 아닌데도
누구나 그렇듯
사람들과 부딪혀야할 때가 마음이 가장 안좋고
정신적으로 빨리 지치는 것 같다.

차라리 그냥 일이 힘든게 낫지.
마음이 되게 불편하다.

난 아직도 이런 부분이 서툴고 어린가보다.

2016-12-11T20:34:31+09:00Sun 11 Dec 2016 8:34 PM|

트위터와 이별

몇년째 안쓰고 있던 트위터 계정을 모두 지우고 있다.

많이 쓴 계정은 글이 7,000개나 되었는데
나같은 사람이 많아서인지 트위터 삭제만 전문으로 하는 웹사이트/프로그램도 많이 있다.

모든 기록과 기억은 소중하니 가급적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지만
트위터는 잠시 고민한 후에 지우기로 결정했다.
무얼 잘못해서가 아니라 잡담한 기록은 그 중요성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2016-12-10T22:11:04+09:00Sat 10 Dec 2016 10:11 PM|

Why ‘Choi gate’ doesn’t matter

코리아타임즈에서
Andrew Salmon이라는 잉글랜드인 저널리스트가 쓴 글이다.

아니 어떻게 된게 외국인이
대통령 탄핵에만 매달렸던 이성을 잃은 상당수의 한국인들보다
큰 그림에서 더 현실을 바로 바라보고 있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잘못된 대통령 하나 사라지는게 문제가 아니라
(마땅히 처벌 받아야 마땅한데)
한국의 미래가 걱정이 된다.
대중을 선동하고 선악 구분하여 싸움질만 할 뿐
이러한 위기를 걱정하는 사람이 정치인중에서 없다시피 하다는게 정말 더 문제다.

http://m.koreatimes.co.kr/phone/news/view.jsp?req_newsidx=219535

Why ‘Choi gate’ doesn’t matter

By Andrew Salmon

They came by the thousands, then by the millions. They occupied central Seoul to give voice to righteous indignation. They did it with a remarkable display of peaceful and orderly civic disobedience that has few precedents anywhere, ever. Their thunderous demand was simple: “Down with Park Geun-hye!”

Never since Korea achieved democracy has a local politician faced such a tsunami of venom. Not even Chun Do-hwan, who stole power via coup and oversaw the Gwangju Massacre of the 1980s, generated such colossal and emotive calls for justice.

The President is toast. When she exchanges the Blue House for a gray cell, legal wheels will turn and Korea will discover which of the countless accusations, rumors and conspiracy theories are actually true. If the allegations are proven, there will, no doubt, be tremendous satisfaction and nationwide schadenfreude. (If the allegations prove inaccurate or untrue… well, let’s not even go there.)

But while protesters claim to be writing a new chapter in Korean democracy, we should ask: After the heads of Park and a handful of cronies have rolled, what ― if anything ― will have changed substantively? Will the downfall of “the queen and the witch” lead us to a land of milk and honey?

I doubt it. Significantly and worryingly, public calls for institutional reform, for corporate accountability and for an end to the endless power abuse of elites in both politics and business have been drowned out by the anti-Park roar. The dubious pleasure of viewing Park’s humiliation may soon sour, for Korea’s external challenges are untouched by one president’s downfall. They are worldwide, long-term, big-picture ― and distinctly menacing for this nation.

The vote for Brexit in the U.K. and the election of Donald Trump in the U.S. are emblematic of a startling and worrisome global trend: A backlash against free trade and multiculturalism. Research this year indicates that global trade has peaked. The progress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the body tasked with liberalizing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stalled since 2001. If trade in goods and services turns downward, the free movement of peoples across borders ― a force once empowered by conquest and colonialism, but more latterly by commerce ― will also be impacted.

It looks possible, even likely, that Brexit negotiations will be contentious. They could damage both the EU and the U.K. Trumpian America is poised to take a defensive/aggressive stance towards global competition and free trade pacts. These trends forewarn of a possible erosion of WTO practices, a return to protectionism and trade wars.

These trends directly threaten Korea for stark reasons. The prime mover behind the rise of modern Korea and the enrichment of modern Koreans was global trade. Since 2002’s credit crisis, domestic spending has been decimated. Today, Korea’s economy is reliant upon trade; Korea’s value-add is founded upon exports and Korea’s stock and currency markets are at the mercy of global economic fluctuations.

Declining global trade is already degrading two critical local sectors which rely upon it: shipbuilding and shipping. The damage to shipbuilding ― which threatens a domino effect in the steel, engineering and paint sectors, not to mention the overall economy of Korea’s southeast ― is compounded by the rise of Chinese ship yards, which have aggressively undercut Korean players, and low oil prices which (despite OPECs’ desperate output cut) look like a long-term trend.

Amid Choi gate, there is minimal focus on these storm warnings. With the scandal monopolizing pages, screens and coffee-shop chatter, important stories ― such as Samsung’s exploding phones and washing machines, and Beijing’s assault on China’s consumption of hallyu ― are ignored.

Once the excitement of Park’s ruination and the subsequent presidential election evaporate, “Hell Joseon” will return with a vengeance. The unfairness of a society where law is disempowered, disrespected and distrusted, leaving protest the only venue for justice. Chaebol offshoring, which erodes investment, job growth and trickle down. The cruel irony of over-education, which leads to the import of millions of foreign workers while local youths face under- and unemployment. The demographic plunge, which places increasing tax and productivity burdens upon working Koreans.

More? The relentless rise of automation which threatens to consume jobs worldwide. The ongoing penetration by price-competitive Chinese brands on the global econoscape. And the fact that international trade is increasingly seen as a zero-sum game (so may, indeed, become one).

If these trends play out, Korea will face the demons Western economies have grappled with for decades: The decimation of the working classes and the erosion of middle classes.

Choi gate is a delicious participation sport, an addictive spectacle and an unstoppable bandwagon that everyone, from schoolchildren to prosecutors, has jumped on. The sooner it ends, the better. The national eye must refocus, with steady gaze, upon the host of menacing challenges gathering steam ahead of Korea’s ship of state.

Andrew Salmon is a Seoul-based reporter and author. Reach him at andrewcsalmon@yahoo.co.uk.

2016-12-10T05:25:48+09:00Sat 10 Dec 2016 5:25 AM|

공격은

요즘 사람들과 본의아니게 부딪히는 일들이 늘어나면서
드는 생각인데

공격은 별도의 선전포고 없는 습격이 가장 효과적인 것 같다.

상대가 대비가 안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공격을 받기에
당황할 수 밖에 없고 때문에
결과가 좋을 가능성이 높다.

공격 같은거 안하고 사는게 가장 좋겠지만…

2016-12-09T14:46:16+09:00Fri 09 Dec 2016 2:46 PM|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