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전 무대리 만화
12년전 무대리 만화가
웹호스팅 저장공간 구석에 저장되어있어서 올려본다.
12년이 지났는데 달라진 것이 별로 없는 현실.
12년전 무대리 만화가
웹호스팅 저장공간 구석에 저장되어있어서 올려본다.
12년이 지났는데 달라진 것이 별로 없는 현실.
금요일 저녁 여의도 증권가 있는 카페에서
노트북 켜놓고 놀고 있었다.
옆 테이블에서 부동산 투자하는 선배와 대학교 3-4학년으로 보이는 후배가 만나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는데
마침 내가 겪은 분야들 (컨설팅, M&A 등)에 대해서
후배가 질문하고
선배가 잘난척하며(?) 답변해주는 것을 들으며
잠시나마 예전 생각이 났다.
그러고보면 나도 참 순진했던 것 같은 것이,
이미 대학교 입시 때부터
실력 외에 다른 여러가지 요소가 결과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았으면서
직장생활 10년을 넘게 하면서
“내가 나름의 가치관을 가지고 옳다 생각하는 대로 열정을 바치고 열심히 살고 일하면,
사람들의 인정과 기타 소득은 부수적인 결과물로 따라오는 것일 뿐이니 개의치말자”
모드에서 별로 벗어나지 못했고
“세상은 야매 사기꾼들이 판치고, (UMC가 그렇게 말한 것처럼) 구라와 광고에 따라 구축한 이미지에 운까지 따르면 사람들의 시선과 돈이 몰린다”
는 사실을 애써 부인하거나 평가절하하거나 모른척하고 살아왔다는 점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고 부끄럽다고까지 말하긴 좀 그렇고…
내가 순진했던 것 같다.
여기서 답해야하는 중요한 질문은, 그래서 나는 어떻게 할 것인가인데,
며칠 고민을 해본 결과로는
세상이 그렇게 돌아감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인정을 쫓기보다는
빛나지 못하더라도 그냥 내 길을 걸어가고 그것에 만족해가는 것이 역시 내 성격에 맞는 것 같다.
허황된 이미지를 만들어 그 안에 도취되어 살아가고 싶지는 않다.
누가 손가락질을 하든 안하든 내가 싫다.
그렇게 살지는 말자.
다시 한 번 다짐해본다.
판교의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지인을 만나서 점심을 먹었다.
확고한 시스템과 갖추어진 practice, “괜찮은” 사람 없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사람이 중요하구나. 그것도 좋은 사람이 많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스타트업에게는 좋은 사람만큼 어려운 과제도 없을 듯 싶다.
아이폰이 등장한지 10년이 되었다.
지난 10년간 스마트폰의 등장이 우리의 삶과 사회와 산업을 많이 바꾸어 놓았다면
앞으로 10년은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홈 네트워크 포함)가 그렇지 않을까 싶다.
작년 트럼프 당선, 최순실 등 수많은 사건 사고가 있었지만
나는 작년 가장 충격적인 사건은 알파고의 등장이었다.
바둑을 잘 모르는 나도, 바둑만큼은 인간이 우위에 있을거라고 들어왔고 또 믿어왔는데 그게 깨졌다.
2017년 CES에서도 아마존의 Alexa기반의 홈네트워크가 대세를 이루었기도 하고.
사회가 앞으로 크게 변화해갈 것 같다.
“What do you want out of life?”
은 나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흔하게 던질 수 있는 질문인데
이 글에서 지적하는 것 처럼
“what pain do you want in your life? What are you willing to struggle for? “
이 질문은 참 낯설다.
나는 무엇을 각오하는 것인가.
***
THE MOST IMPORTANT QUESTION OF YOUR LIFE
November 6, 20137
Mark Manson
Everybody wants what feels good. Everyone wants to live a carefree, happy and easy life, to fall in love and have amazing sex and relationships, to look perfect and make money and be popular and well-respected and admired and a total baller to the point that people part like the Red Sea when you walk into the room.
Everyone would like that — it’s easy to like that.
If I ask you, “What do you want out of life?” and you say something like, “I want to be happy and have a great family and a job I like,” it’s so ubiquitous that it doesn’t even mean anything.
A more interesting question, a question that perhaps you’ve never considered before, is what pain do you want in your life? What are you willing to struggle for? Because that seems to be a greater determinant of how our lives turn out.
Everybody wants to have an amazing job and financial independence — but not everyone wants to suffer through 60-hour work weeks, long commutes, obnoxious paperwork, to navigate arbitrary corporate hierarchies and the blasé confines of an infinite cubicle hell. People want to be rich without the risk, without the sacrifice, without the delayed gratification necessary to accumulate wealth.
Everybody wants to have great sex and an awesome relationship — but not everyone is willing to go through the tough conversations, the awkward silences, the hurt feelings and the emotional psychodrama to get there. And so they settle. They settle and wonder “What if?” for years and years and until the question morphs from “What if?” into “Was that it?” And when the lawyers go home and the alimony check is in the mail they say, “What was that for?” if not for their lowered standards and expectations 20 years prior, then what for?
Because happiness requires struggle. The positive is the side effect of handling the negative. You can only avoid negative experiences for so long before they come roaring back to life.
At the core of all human behavior, our needs are more or less similar. Positive experience is easy to handle. It’s negative experience that we all, by definition, struggle with. Therefore, what we get out of life is not determined by the good feelings we desire but by what bad feelings we’re willing and able to sustain to get us to those good feelings.
People want an amazing physique. But you don’t end up with one unless you legitimately appreciate the pain and physical stress that comes with living inside a gym for hour upon hour, unless you love calculating and calibrating the food you eat, planning your life out in tiny plate-sized portions.
People want to start their own business or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But you don’t end up a successful entrepreneur unless you find a way to appreciate the risk, the uncertainty, the repeated failures, and working insane hours on something you have no idea whether will be successful or not.
People want a partner, a spouse. But you don’t end up attracting someone amazing without appreciating the emotional turbulence that comes with weathering rejections, building the sexual tension that never gets released, and staring blankly at a phone that never rings. It’s part of the game of love. You can’t win if you don’t play.
What determines your success isn’t “What do you want to enjoy?” The question is, “What pain do you want to sustain?” The quality of your life is not determined by the quality of your positive experiences but the quality of your negative experiences. And to get good at dealing with negative experiences is to get good at dealing with life.
There’s a lot of crappy advice out there that says, “You’ve just got to want it enough!”
Everybody wants something. And everybody wants something enough. They just aren’t aware of what it is they want, or rather, what they want “enough.”
Because if you want the benefits of something in life, you have to also want the costs. If you want the beach body, you have to want the sweat, the soreness, the early mornings, and the hunger pangs. If you want the yacht, you have to also want the late nights, the risky business moves, and the possibility of pissing off a person or ten thousand.
If you find yourself wanting something month after month, year after year, yet nothing happens and you never come any closer to it, then maybe what you actually want is a fantasy, an idealization, an image and a false promise. Maybe what you want isn’t what you want, you just enjoy wanting. Maybe you don’t actually want it at all.
Sometimes I ask people, “How do you choose to suffer?” These people tilt their heads and look at me like I have twelve noses. But I ask because that tells me far more about you than your desires and fantasies. Because you have to choose something. You can’t have a pain-free life. It can’t all be roses and unicorns. And ultimately that’s the hard question that matters. Pleasure is an easy question. And pretty much all of us have similar answers. The more interesting question is the pain. What is the pain that you want to sustain?
That answer will actually get you somewhere. It’s the question that can change your life. It’s what makes me me and you you. It’s what defines us and separates us and ultimately brings us together.
For most of my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I fantasized about being a musician — a rock star, in particular. Any badass guitar song I heard, I would always close my eyes and envision myself up on stage playing it to the screams of the crowd, people absolutely losing their minds to my sweet finger-noodling. This fantasy could keep me occupied for hours on end. The fantasizing continued up through college, even after I dropped out of music school and stopped playing seriously. But even then it was never a question of if I’d ever be up playing in front of screaming crowds, but when. I was biding my time before I could invest the proper amount of time and effort into getting out there and making it work. First, I needed to finish school. Then, I needed to make money. Then, I needed to find the time. Then… and then nothing.
Despite fantasizing about this for over half of my life, the reality never came. And it took me a long time and a lot of negative experiences to finally figure out why: I didn’t actually want it.
I was in love with the result — the image of me on stage, people cheering, me rocking out, pouring my heart into what I’m playing — but I wasn’t in love with the process. And because of that, I failed at it. Repeatedly. Hell, I didn’t even try hard enough to fail at it. I hardly tried at all.
The daily drudgery of practicing, the logistics of finding a group and rehearsing, the pain of finding gigs and actually getting people to show up and give a shit. The broken strings, the blown tube amp, hauling 40 pounds of gear to and from rehearsals with no car. It’s a mountain of a dream and a mile-high climb to the top. And what it took me a long time to discover is that I didn’t like to climb much. I just liked to imagine the top.
Our culture would tell me that I’ve somehow failed myself, that I’m a quitter or a loser. Self-help would say that I either wasn’t courageous enough, determined enough or I didn’t believe in myself enough. The entrepreneurial/start-up crowd would tell me that I chickened out on my dream and gave in to my conventional social conditioning. I’d be told to do affirmations or join a mastermind group or manifest or something.
But the truth is far less interesting than that: I thought I wanted something, but it turns out I didn’t. End of story.
I wanted the reward and not the struggle. I wanted the result and not the process. I was in love not with the fight but only the victory. And life doesn’t work that way.
Who you are is defined by the values you are willing to struggle for. People who enjoy the struggles of a gym are the ones who get in good shape. People who enjoy long workweeks and the politics of the corporate ladder are the ones who move up it. People who enjoy the stresses and uncertainty of the starving artist lifestyle are ultimately the ones who live it and make it.
This is not a call for willpower or “grit.” This is not another admonishment of “no pain, no gain.”
This is the most simple and basic component of life: our struggles determine our successes. So choose your struggles wisely, my friend.
This article is an excerpt from my book, The Subtle Art of Not Giving a Fuck: A Counterintuitive Guide to Living A Good Life
6월은 모로코 & 스페인으로 거의 기울었다.
에티하드에서 60만원초반대로
카사블랑카 in, 마드리드 out이 가능해서 (아부다비 스탑오버까지)
고려중이다.
스페인이라고는 97년 배낭여행 때 바르셀로나와 마드리드 잠깐 들린 것 외에는
아무런 기억이 없다.
간다면 스페인 남부를 가볼 생각이다.
4월은 뉴욕에서 2주, 쿠바 아바나에서 2주를 보낼 예정이다.
6월 일정을 스페인 & 모로코로 생각중인데 어떨지 모르겠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지자들의 그릇된 인식과 달리
5년간의 자신의 대통령 활동에 대해서 정말 냉정하게 바라보고 있었다.
(=별다른 성과과 없었음을 인정하는 것)
그를 따르는 지지자들과 정치인들도 당시 정권을 이제 와서 추억팔이하고 채색하기 바쁘고
노무현 정권 외의 다른 대통령들도 자기들의 공적을 왜곡하여 내세우는 마당에
정권을 이끈 본인으로서 냉정하게 보기가 쉽지않은데
정말 용기 있는 사람이었라는 생각이 든다.
***
노무현 전대통령 서거 5개월전 ‘마지막’ 인터뷰 공개
연합뉴스 기사전송 2017-01-09 00:26
김형아 호주국립대 교수 내용 공개…퇴임 10개월후 소회 밝혀
(시드니=연합뉴스) 김기성 특파원 =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 약 10개월 후, 목숨을 끊기 약 5개월 전 호주 학자와 가진 인터뷰가 8년 후 뒤늦게 공개됐다.
호주국립대의 김형아 교수는 2008년 12월 8일 봉하마을을 방문해, 노 전 대통령과 인터뷰한 내용을 최근 학술지 ‘저널 오브 컨템퍼러리 아시아(Journal of Contemporary Asia)’ 온라인판에 공개했다.
김 교수는 ‘노무현 대통령의 마지막 인터뷰와 한국 내 노무현 현상’이라는 제목의 25쪽짜리 영문 평론(commentary) 중 17쪽을 수 시간의 인터뷰 내용으로 소개했다.
인터뷰 내용은 노 대통령의 정치적 이상과 민주주의, 조지 W. 부시 행정부와의 관계, 한일관계, 한국의 미래,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평가 등으로 상세하게 구성됐다.
노 전 대통령은 인터뷰 첫머리에서 자신의 탈권위주의적인 리더십이 정부 구조와 한국사회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그리고 임기 중 민주주의의 진전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자신의 대통령 당선이 역사의 진전과 관련한 중요한 사건으로 임기 동안 중요한 성취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면서 하지만 임기가 끝나고 돌아보니 “어떤 진전이 있었는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은 또 민주주의의 3요소로 ▲권력층의 규범 준수, 즉 법의 지배 ▲ 대화와 타협의 정치 문화 ▲ 자유와 평등을 꼽으면서 “민주주의의 진전을 진정으로 원했지만, 민주주의가 얼마만큼 진전했는지 의문”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후임자를 가리는 2007년 대선에서 보수 진영이 승리한 것에는 “한 나라에서 10년 후 행정부에 변화가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대선은 전임자가 아닌 새로운 후보자들에 대한 평가지만 둘은 자주 혼동된다”라고 말했다.
남북관계와 관련해 노 전 대통령은 자신의 대북 정책이 김대중 전 대통령과 다르지 않다며 “북한이 ‘햇볕’이라는 용어와 의미를 불편해해서 이름을 바꿨고, 우리의 상대가 의구심을 갖는 이름을 계속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대미관계에 대해서 그는 많은 의견의 차이에도 불편한 문제는 없었다며, 미국이 기대와는 달리 문제를 일방적으로 다루지 않았고 서로 상대의 의견을 존중했다고 소개했다.
노 전 대통령은 대일관계와 관련해 “일본의 한계는 비전이나 확고한 의지 없이 단지 수완(skill)으로 운영되는 것”이라며 일본이 경제력 때문에 움직일 뿐 국제공동체나 동북아, 다른 국가들과 관련한 비전이 없는 나라로 비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한일관계는 경제와 고착화한 국수주의, 편협한 국가 통제주의의 틀 안에서 이따금 충돌을 계속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밖에 박정희 전 대통령 평가와 관련해서는 국가 주도 경제가 부작용이 있지만 필요한 부분이 있고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만 “‘개발도상국가 모델(developmental state model)에 관한 모든 것은 권위주의적인 체제를 가진 국가들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이 눈여겨봐야 하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단지 권위주의적인 체제를 가진 나라에서만 그러한 경제적 성공이 가능한지’ 또는 ‘그 나라들에서 다른 공통적인 요인들이 있는지’와 같은 문제들이 가장 난해한 점이라고 덧붙였다.
노 전 대통령은 인터뷰 말미에 김 교수가 ‘시민의 자발적 참여로 당선된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하면서도, 이것의 중요성을 잘 품지 못해 후회된다는 말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말하자, “나는 내 안에 많은 회의(doubts)와 많은 갈등(conflicts)을 가진 사람이다. 나는 또한 확신이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김 교수는 이 인터뷰가 정치적 동기나 자살 등에 따른 편견이 아니라 인터뷰 자체의 가치에 따라 판단돼야 하고, 정치적 논쟁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려고 공개를 미뤄왔다고 말했다.
이 인터뷰에 대해 노 전 대통령 측은 “김 교수와 인터뷰한 건 맞지만, 마지막인지는 확인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경험하면서 각 메뉴별로 가장 괜찮았다 생각되는 곳
<한국>
나폴리 피자: 지아니스 나폴리 (역삼동, 청담동, 가로수길)
돈까스: 흑수돈 (흑석동. 무한리필이라고 무시하지마라 평생 먹어본 돈까스 중에서 가장 괜찮았음)
찹살떡: 이낙근찹쌀덕 (신천역 부근)
<도쿄>
나폴리 피자: Savoy Pizza
이자카야 – Sasano (롯폰기 미드타운 바로 옆 건물 2층)
<런던>
쌀국수: Cay Tre (소호 위치, 2일동안 끓인 국물이 시중에서 가루뿌려서 만든 것이랑 차원이 다름)
<파리>
피자 & 파스타: Pompei (Opera 부근)
크로와상: 프레 타 망제 (체인점이긴 하지만 괜찮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