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ts

Top 10 Consumer Tech Companies

말 그대로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10년 전의 top 10 중 6개가 명단에서 사라졌고 (ebay를 paypal로 대체한다면, 5개가 사라짐)
20년 전의 top 10 중 6개가 10년 전의 명단에는 없고
20년 전의 top 10 중 8개가 지금의 명단에는 없다.

다음 10년 후에도 남아있을 회사는
20년전부터 명단에 있어온 MS, Apple외에 무엇이 있을까 궁금하다.

2017-06-28T14:09:34+09:00Wed 28 Jun 2017 2:09 PM|

구글 검색

홈페이지를 만들 때에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에서 검색되지않는 옵션을 분명히 체크한 것 같은데
지금 와서 보니 체크가 안되어있다.

아, 그래서 구글에서 홈페이지가 검색이 되었구나 깨달았다.

그건 원하던 바가 아니었기에 다시 검색엔진에서 긁어가지 못하도록 방지 체크해두었다.

내 일기를 쓰는 개인적인 공간이고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하였지만
검색엔진에서 검색되어야할 정도로 내 글이 유용하거나 잘나지도 않았고
내 개인적인 생각이 날 모르는 사람들로 하여금 불필요한 오해를 낳게 하고 싶지 않다.

과거의 글이 지금 생각하면 철없고 부질없더라도
그것 역시 나의 소중한 기록이기 때문에 손대지않고 그대로 둔다.

2017-06-28T02:07:18+09:00Wed 28 Jun 2017 2:07 AM|

Former

자기 전에 심심해서 구글에서 내 이름을 쳐봤다.
축구선수를 비롯한 다양한 동명이인들이 나오더라. 안심했다. 역시 난 안나왔군.

검색창에 예전 회사 이름을 쳐보았다.

“Hyukjin Kim – Former Vice President at MBK Partners, Ltd.”
라는 제목의 검색결과가 있어서 어? 하고 클릭해보았다.

그만두고 보름도 안되어 업데이트가 되었었네.
내 이력도 정확하게 기록되어있어서 신기하기도 하고 재미있었다.

2017-06-28T01:52:55+09:00Wed 28 Jun 2017 1:52 AM|

LG 그램 노트북 광고

LG 그램 노트북 광고
광고를 보면서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다.
e.g., 오렌지가 아깝다. 주스면 저게 다 몇개야, 친환경 에너지 발전의 비효율, LG 노트북과 관계없는 광고다 등등

난 이 광고를 보면서
우리가 아무렇지않게 충전하는 전기가
자연의 에너지를 이렇게나 많이 소모한다는 것에 놀랐다.

2017-06-27T17:22:43+09:00Tue 27 Jun 2017 5:22 PM|

Optimism

Optimism을 단순히 낙관주의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 passion과 hard work을 함께 해야하고
– 수동적으로 잘될거야가 아니라 잘 되도록 하겠다는 확신
– 안좋은 것에 눈을 감고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바라보는 태도
– 주변 사람들에게도 긍정적이라는 점

다시 한 번 유념하자.


https://www.inc.com/minda-zetlin/this-1-mental-habit-helped-make-warren-buffett-a-billionaire.html

This 1 Mental Habit Helped Make Warren Buffett a Billionaire

Warren Buffett tends to bill himself as an ordinary guy who just happened to make a ton of money by being thoughtful, patient, and frugal. He’s also very smart, and puts a lot of time and effort into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market and his investments. But there’s one other quality Buffett has that the rest of us mostly don’t. It’s one of the biggest reasons for his success: He’s relentlessly optimistic.

Just how optimistic becomes clear in a data scientist’s recent analysis of Buffett’s lettersto Berkshire Hathaway shareholders going back to 1977. Michael Toth, a data scientist at fintech company Orchard, decided to do a sentiment analysis of the letters, comparing the number of negative words such as “loss,” “difficult,” “bad,” and “risk” with the number of positive words, such as “gains,” “top,” “excellent,” and “advantage.” In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Buffett’s letters since 1977, positive words have outnumbered negative words, often by substantial numbers.

There have only been five years when negative words were in the majority, Toth notes, and they were all years that truly merited a negative description. They included 1987 (biggest one-day stock market crash in history); 1990 (Iraq and then the United States invaded Kuwait, sending oil prices up and causing a recession); 2001 and 2002 (the dot-com crash and September 11 created two years of market losses); and 2008 (the Great Recession). Every year other than those, Buffett has been unfailingly upbeat.

Well of course he’s optimistic, you might think. I would be too, if I had $76 billion! But stop a second and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Buffett doesn’t have a sunny outlook because he’s rich. Instead, he’s rich because he has a sunny outlook. That’s what his pals Bill and Melinda Gates believe. In their foundation’s annual letter, Melinda Gates praises him for just this quality, writing: “Your success didn’t create your optimism; your optimism led to your success.”

Can it really work that way? I think it can. Let’s see if I can convince you:

1. Optimism can create success, but not all by itself.

If you wish something hard enough you can make it come true. I’ve been frustrated by people spouting that myth many times over the years, and I bet I’m not the only one. We’ve all known people who mostly work on their own mental state, developing the most positive attitude ever, and then sit back and wait for success to arrive. If that’s your approach–good luck. This isn’t Peter Pan, and you can’t make Tinkerbell real just by believing in her.

Buffett combines his huge optimism with some very hard work and dedicated study. He learns as much as he possibly can about the segments of the market he invests in, and he’s missed out on some opportunities (most notably technology) because he won’t invest in anything unless he thoroughly understands it first. Combine Buffett-level optimism with Buffett-level passion and hard work, and then you’ll be unstoppable.

2. Optimism shouldn’t be passive.

“Optimism isn’t a belief that things will automatically get better; it’s a conviction that we can make things better,” Melinda Gates writes, and she’s exactly right. It’s facing a difficult problem and thinking not “I’m sure this will work out,” but “I’m sure I can figure this out.” We can’t solve all the world’s problems, or even all of our own, no matter how optimistic we are. But whatever difficulty we’re facing, there are things we can do to make any situation better, even if we aren’t billionaires. Optimism is recognizing that truth, and then doing those things.

3. Optimism will make you experience the world differently.

That doesn’t mean that optimism will make you blind to what’s bad, only that in the mass of information coming at us every day, optimism will change what you notice most. Three years ago, my husband and I decided to move across the country and buy a used RV to get us from Point A to Point B. As I began pondering what type and size of RV to get, I noticed that every other driveway in our upstate New York community seemed to have some sort of RV or trailer parked in it. Where had they all come from? No place–they’d always been there. I hadn’t noticed them because I wasn’t thinking about them.

This well-known psychological occurrence is called “frequency illusion” or, more colorfully, “the Baader-Meinhof phenomenon,” and you can make it work for you instead of against you. If your head is filled with thoughts about how the world seems to be collapsing, you’ll see indications that it is all around you. If your head is filled with ideas about how you can make the world better, that’s what you’ll see.

It’s worth taking a look at that Gates Foundation annual letter, because it includes a lot of data about how the world is getting better for the most disadvantaged people in it–and also how most of us are unaware of that fact. Perhaps the problem is that with more sources of news and communication, most of us in developed countries only recently learned how bad things are in some other places. Childhood deaths, malnutrition, and extreme poverty are all on the decline worldwide. In fact, the Gateses say, poverty has been cut in half since 1990. What’s amazing is the recent survey that asked people how they thought poverty had changed during that time. Only 1 percent got the right answer: that it’s gone down substantially. Seventy percent thought it had increased substantially instead.

4. Optimism helps you see the big picture.

Smart businesspeople like Buffett and Bill Gates know better than to focus too hard on the immediate past or the immediate future. They know that changes and trends can best be recognized if you take a step back and take a wider look over a longer time period. This is why, when Buffett famously offered to bet any hedge fund that it couldn’t outperform an index fund (which simply owns a predetermined basket of securities such as the 500 stocks in the S&P 500), he specified that the bet would last 10 years. He knew, as we all should, that anything can happen in a year or even a few years, but that over a decade real trends emerge.

Unfortunately, we live in a world that pushes us to think in the short term. There’s the constant flow of new information, especially over social media, and our famously shrinking attention spans. It doesn’t help that most businesses measure their performance in three-month cycles.

It takes effort to see the bigger picture, but it’s an effort well worth making, if only so we don’t become like most investors (other than Buffett) who freak out and sell when the market is on the way down, or fear missing out and buy when the market is nearing its peak. An optimistic viewpoint can help us see that big picture, especially when the present or immediate future seems bleak. For example, remembering that the markets have always come back from every downturn over time can help you hang on when the market is dropping and everyone you know is panic-selling.

Incidentally, Buffett’s bet with the hedge funds ends this December. The index fund is already so far ahead of the hedge funds that its victory is assured.

5. Optimism draws people to you.

This may be the biggest benefit to being optimistic. People want to feel happy and hopeful, so if you’re optimistic, they will tend to want to work with you, do business with you, and get to know more about you. That can have powerful results.

A friendly, optimistic tone is one reason Buffett’s annual letter to shareholders is read by many thousands of people who don’t own Berkshire Hathaway stock. That in turn has raised the visibility of the company, and inspired many new people to buy shares. More people buying more shares means the stock’s value goes up, which raises both the value of the company and Buffett’s net worth, which gives him all the more reason to be optimistic.

It’s a virtuous cycle that makes all the difference, not only to Buffett and other Berkshire Hathaway shareholders but to the rest of the world, too, because Buffett has begun giving away his money, in particular to the Gates Foundation. In their letter, the Gateses explain how that gift doubled their foundation’s resources more than a decade ago. And they go on to list the ways that generosity has helped them save more than 100 million lives.

Buffett believed the world could get better, that belief became infectious, and it helped drive up his net worth. He then turned around and used that net worth to make the world better. That’s how an upbeat outlook becomes a self-fulfilling prophecy. It’s why, if your view of the world is gray or downbeat, you really should give optimism a try.

2017-06-27T16:38:10+09:00Tue 27 Jun 2017 4:37 PM|

만성피로에서 벗어나는 방법

꼭 마음에 새겨두기로


만성피로에서 벗어나는 방법
2015년 2월 9일

늘 피로하다. 보양식을 먹어도, 잠을 자도, 마사지를 받아도 여전히 피곤하다.
만성피로에서 벗어나 내 삶에 활력을 되찾아줄 방법에 대해.

우리는 늘 피로하다. 문제는 이것이 어느 순간부터 전혀 해소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젠 주말 내내 쉬어도 피로하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내분비내과 윤지완 교수는 만성피로와 만성피로증후군은 구분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통 6개월 이상 피로감이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피로’라 한다. 만성피로의 2/3 정도는 내과적 질환이나 정신과적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만성피로증후군’은 만성적인 피로감을 호소하지만 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질환에 의한 것이나 현재 힘든 상황 때문에 생긴 피로가 아닌데, 6개월 이상 지속적, 혹은 반복적으로 피곤하고 휴식으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며, 직업, 교육, 사회, 개인 활동이 실질적으로 감소한다. 그리고 피로 이외에 ‘기억력 혹은 집중력 장애’ ‘인후통’ ‘경부 혹은 액와부 림프선 압통’ ‘근육통’ ‘다발성 관절통’ ‘두통’ ‘잠을 자도 상쾌한 느낌이 없음’ ‘운동이나 힘든 일을 하고 난 후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심한 권태감’ 중 4가지 이상이 동시에 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당신은 만성피로증후군이다.

왜 늘 피로할까?

만성피로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다. “보통 만성피로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이 아닐까 추정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정신적 스트레스와 육체적 피로가 쌓여 면역력이 저하되고, 유해 독성 성분의 침착과 필수영양소(특히 미네랄, 비타민)가 결핍돼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자하연 한의원 황은영 원장은 말했다. 즉, 답은 너무도 뻔하다. 과중한 업무를 줄이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며, 여가 시간을 만끽하고, 푹 자고,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건강하게 바꾸는 것이다. 그렇지만 현실이 그렇지 않은데 어쩌랴. 회사는 매일 야근이고, 여기저기 스트레스 받을 일은 많고, 어쩌다 쉬는 휴일에 하루 종일 자고 나면 이상하게 더 피곤하다. 현재의 생활 속에서 만성피로에 빠지지 않고 활기차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운동만이 살길이다

윤지완 교수는 질병이나 복용하는 약물 등 특별한 원인이 없는 피로라면 무엇보다 운동을 시작해보라고 권했다. “초기에는 피로감이 좀더 심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운동 시간과 강도를 조금씩 늘려가는 방법으로 활동량을 늘리는 것이 만성피로 증상을 호전시켜줄 수 있다.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을 포함한 유산소 운동이 유연성 운동보다는 더 효과적이다. 만성피로증후군인 사람들은 이미 체력이 매우 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하루 5~15분 정도로 시작해 상태에 따라 매주 1~2분씩 운동 시간을 점진적으로 늘려 최대 30분이 될 때까지 운동량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운동 강도가 높을 필요는 없다. 초기에는 심박수가 1분에 100회가 넘지 않도록 가벼운 운동으로 시작해 점차 강도를 높이고, 피로가 더 심해지면 피로 증상이 줄어들 때까지 그 이전 단계로 돌아간다. 이렇게 최소 12주 이상 운동을 지속할 것을 권한다.”

물리치료사이자 자이요가 시니어 트레이너 신정임도 이 정도 운동을 바쁘다는 이유로 하지 않는 건 핑계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세포 내 산소량이 적어지면 우린 피로하다고 느낀다. 이는 우리가 ‘헉헉’ 숨을 몰아쉴 만큼 움직였을 때 개선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으로 5층만 걸어 올라가도 ‘헉헉’ 숨을 몰아쉬게 되고, 이것이 깊게 숨을 내쉬는 것에 도움이 된다. 자동차 대신 대중교통, 점심시간 산책, 집, 사무실에서의 간단한 운동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우리는 하루 종일 고정된 자세로 앉아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고관절, 무릎관절, 어깨관절 등 거의 모든 마디가 굽은 상태로, 이 부위에 모여 있는 림프선의 흐름이 정체돼 노폐물이 잘 흘러가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부위, 즉 서혜부(골반과 다리가 만나는 부위), 팔꿈치, 겨드랑이, 무릎 뒤 등을 쭉 펴고 늘리는 스트레칭은 큰 도움이 된다. 물론 근육, 특히 하체 근육을 키워 체력을 기르는 것도 필요하다. 근육량이 많아지면 내 몸에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가 많아져 쉽게 피로하지 않다. 근육 운동을 하면 림프의 흐름도 좋아져 일석이조. 즉, 힘을 쓰는 근육 운동 후 관절과 근육을 길게 늘려주는 동작을 매일 반복하자. 예를 들어 투명 의자에 앉은 듯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10회 반복한 후 움직이지 않는 의자나 계단에 한쪽 다리를 올리고 서혜부와 앞 허벅지를 길게 늘려준다. 의자에 앉아 한 손은 의자 아래로, 다른 한 손은 귀 옆으로 길게 뻗고, 의자 등받이를 잡고 트위스트, 책상 위에 두 손을 올리고 엉덩이를 빼 몸을 ‘ㄱ’자로 만들어 다리 뒤쪽을 늘려주는 동작을 10번씩 매일 하자. 체력이 늘면 횟수를 늘린다.

나이가 들수록 지방이 늘고 근육이 줄어든다. 우리는 스물다섯 살에서 일흔다섯 살이 되는 동안 약 33% 골격근을 잃는다. 이는 노화 현상이기도 하지만 절대적으로 움직임이 줄기 때문. 몸은 쓰지 않으면 약해진다. 하루에 10~20분 운동을 하면 그것만으로 심장 기능 약화도 예방할 수 있다. 이는 나이와 상관없이 유효하다.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팀은 아흔 살 이상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8주간 근력 테스트를 했는데, 그 나이 때부터 운동을 시작해도 현저히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운동을 시작하는 데 늦은 나이는 없다. 운동만이 살길이다.

두뇌 피로

스마트 기기들이 문제다. <스웨덴 사람들은 왜 피로하지 않을까>의 저자, 더 맑은내과 박민선 원장은 현대인은 40년 전에 비해 세 배 이상 더 많은 정보에 노출돼 있으며, 뇌는 처리할 정보가 많아 혹사당한다고 강조했다. “업무를 보다, 메신저로 대화하고, 이메일을 보낸다. 뇌는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수행하는 능력에 약한데, 이렇게 뇌가 혹사당하면 코르티솔 분비가 많아지고 그로 인해 면역 기능이 감소한다. 최근 젊은 직장인들 사이에 대상포진으로 진료받는 사람이 많다는 건(원래는 노인성 질환) 스마트 기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집단인 것과 관계가 있다. 스마트폰 이용은 전두엽을 자극해 도파민이란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를 촉진하는데, 이는 즐거운 기분과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두뇌는 점점 더 이런 즉각적인 자극을 원하고, 그래서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을 수 없게 된다. 놀라운 것은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오래 사용하면 마치 사고로 뇌 손상을 입었을 때와 비슷하게 인지 능력이 감소하고 기억력이 손실되며 집중하지 못하고 감정 기복이 심해진다는 것. 스마트폰 중독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수면 장애와 만성피로도 흔히 발견된다”고 밝혔다. 두뇌 피로는 전신을 피로하게 한다. 스마트 기기 사용을 줄이고 두뇌를 쉬게 해주자.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산책으로 전신의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머리를 쓰는 일을 할 때는 사탕이나 과일 주스 같은 당분을 조금씩 자주 섭취한다. 창문을 열어 심호흡을 하며, 호흡을 통한 명상 등으로 뇌세포에 휴식과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좋다.

수면 피로

제대로 못 자면 당연히 피곤하다. 그래서 대부분 쉬는 날엔 잠이라도 푹 자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이렇게 몰아서 잠을 자는 습관이 오히려 월요일 아침을 더 피곤하게 만든다는 사실. 미국 텍사스 대학 사우스웨스턴 의학연구팀의 그레고리 카터 박사는 “뇌는 피곤함을 느낄 때 평소보다 더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는데, 갑자기 몰아서 자면 생체리듬이 흐트러져 몸이 적응하기가 어려워진다”고 밝혔다. 황은영 원장도 동의했다. “주중에는 피곤해도 팽팽한 긴장감으로 버티다가 주말에 긴장도가 떨어지면서 쉬어도 더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사실 하루 이틀 많이 잔 걸로 만성 수면 부족을 채우려는 건 그야말로 욕심이다. 보통 사람마다 할당된 수면 시간이 있는데(7~8시간) 그걸 채우지 못하면 수면 빚이 생긴다. 가령 주중 하루에 2~3시간씩 적게 잤다면 15시간의 수면 빚이 생기고, 아무리 하루 이틀 몰아 자도 이 시간을 채워 잘 수는 없다. 그러면 생체리듬은 깨지고 수면 빚은 남아 더 피로하다. 일시적으로 몰아서 자려고 하지 말고 하루에 1~2시간 수면 시간을 늘려서 일정한 리듬으로 내 몸의 수면 빚을 갚아 나가는 것이 도움이 된다.” 카터 박사 또한 “수면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일어나는 시간을 늦추기보다는 취침 시간을 앞당기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마음 피로

“흔히 스트레스가 피로의 원인이라고 말한다. 스트레스가 생기면 우리 몸에 활성산소가 많이 생기기 때문. 활성산소는 자동차 배기가스 같은 물질로 농도가 높으면 세포를 피로하게 하고, 세포 유전자를 손상시키며, 혈액을 탁하게 해 혈액순환을 방해한다.” 박민선 원장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사람은 없지만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마음의 방법이 큰 차이를 만든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 한국 사람들은 의견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생각에 마음까지 다쳐 스트레스가 더 커진다. 그러나 스웨덴 사람들은 대부분 의견이 다른 것을 인정하고 이를 그 이상 확대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트레스가 적다. 이렇듯 스트레스를 객관적으로 받아들인다면 스트레스는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아니라 해결 가능한 문제에 불과하다.” 또 부정적인 생각은 대뇌에서 스트레스와 동일하게 반응하며 통증도 악화시킨다. 혈압과 혈당을 올리고 혈관을 수축시키며 그 결과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 “의사를 오래하다 보면 알 수 있다. CT나 각종 검사 결과만으론 환자를 제대로 치료할 수 없다는 걸. 내과 질환의 70%는 마음에서 오는 병이다.

내 피로는 병인가?

황은영 원장은 “내 상태가 단순한 피로인지 질병으로 인한 증상인지 일반인이 판단하는 건 어렵다”고 조언했다. “본인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다면 ‘좋아지겠지’라고 참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1차 진료를 받기 위해 오는 이들 중 100명 중 두세 명은 만성피로증후군. 이들의 검사 결과에는 전혀 이상이 없다. 그렇다고 이들이 건강하다고 말할 수 있나? 그렇지 않다. 피로는 앞으로 질병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는 신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르 클리닉 김혜정 실장은 최근에는 질병뿐이 아닌, 신체 대사에 관련한 검사가 다양해졌다고 설명했다. “혈액 검사(대표적으로 간 기능, 염증, 갑상선 기능 등), 타액 호르몬 검사(부신 기능을 검사하여 장기적인 탈진 상태와 만성피로도 등을 검사), 유기산 검사(미세 영양 결핍 상태, 독성 물질 상태, 장내세균과 증식, 신경 내분비 활성 상태 등 검사), 활성산소 검사(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력을 동시에 측정), 모발 검사(각종 중금속과 영양 미네랄 성분 분석), 음식 알레르기 검사(음식물이 인체의 면역계를 자극하여 생성된 항체에 의한 과민 반응 여부 검사) 등은 피로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피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치료를 받는 것도 좋다. 박민선 원장은 식이요법,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 등과 함께 킬레이션 치료와 혈액 정화 치료를 추천했다. “킬레이션 치료는 혈관을 청소한다. 합성 아미노산인 EDTA와 비타민, 미네랄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치료법으로 체내 축적된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시키고 활성산소를 분해,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 혈액 정화 치료는 혈액 속 노화 물질을 제거해 맑고 깨끗한 혈액을 공급하는 치료. 혈액 정화 기계가 혈액을 1분에 50~80ml 정도의 속도로 천천히 빼고, 노폐물을 걸러낸 후 다시 혈관 속으로 보내주는 순환 시스템이다. 동맥경화증을 완화시키고 혈관성 치매의 발생을 줄이며 집중력과 운동 능력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 관상동맥 질환, 노인성 망막 질환(노인성 망막 질환으로 운전 면허가 취소된 환자군에서 1년간 시술 후 57%가 운전면허를 재발급받을 정도로 시력이 회복됐다), 말초 동맥 폐쇄증 등 다양한 질환에도 치료 효과가 알려져 있다.

나이대별 피곤하지 않은 몸 만들기 BY 박민선

20~30 제대로 먹고 더 움직일 것 ‘젊을 때는 돌도 소화시킨다’는 건 다 옛이야기다. 지금의 20~30대의 식단은 극단적이다. 피자, 치킨, 튀김 등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많이 먹고 육체 활동은 적어 에너지가 과잉돼 있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열량을 제한하는 식이요법으로 근육과 체지방이 정상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균형 잡힌 식사와 함께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고 육체 활동을 늘려야 한다.

30~40 대사증후군을 부르는 잘못된 습관들을 개선할 것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시기로 수면의 양과 질이 떨어지고 체내 대사율도 떨어진다. 그리고 잘못된 생활습관이 대사증후군을 부른다.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한 끼 쯤은 현미와 콩이 들어간 잡곡밥 2/3공기 정도가 좋다.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두부, 생선, 고기, 달걀흰자를 챙겨 먹는다. 양념이 진한 음식, 기름진 음식을 자제하고 국물을 적게 먹는다. 맨손체조, 대중교통 이용 등 생활 속 운동으로 육체 활동량을 늘린다.

50~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을 것 갱년기 증상이 시작되고 활성산소 배출 능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더불어 성장호르몬이 감소하면서 근육량이 감소하고 복부비만이 증가한다. 피로하고 우울증과 수면 장애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성장호르몬 치료, 비타민 D 보충 치료가 도움이 된다. 또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4배 정도 증가하기 때문에 단백질 섭취가 중요한데, 특히 동물성 단백질을 적당히 섭취할 것. 필수아미노산이 더 많이 들어 있고 음식물 섭취 후 체내 흡수율과 에너지 효율이 좋기 때문이다. 프로바이오틱스 섭취도 도움이 된다.

2017-06-26T13:51:04+09:00Mon 26 Jun 2017 1:51 PM|

글을 길게 쓰는 것

요즘 자신이 쓴 글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들이 많이 생겼다.

외국은 medium, 한국에서는 브런치, ppss 등…
그런데 글들이 전반적으로 (아무래도 남에게 보여져서 그런지) 짧지 않고 꽤 긴 편이다.

그런데 나만의 성향일 수는 있는데
체질적으로 나는 긴 글을 인내심있게 잘 읽지 못한다.
대부분의 본문이 긴 글들은
궁시렁 궁시렁 쓸데없는 내용과 사족이 너무 많이 붙는 경향이 있고
물기를 빼는 탈수(!)나 비게/군살을 제거하는 다이어트 작업을 거치고 나면
핵심은 몇줄로 끝나게 마련이다.

긴 내용이 필요한 글이어야한다면,
구조화라도 잘 되어야하는데 대부분의 글은 그렇지도 못하다.

재미있는 점은 똑똑한 사람들도 이런 실수를 많이 저지른다는 사실이다.
글이 쓸데 없이 길다. 딱히 하는 말도 없으면서.
글 내에서도 요점이 오락가락 하기도 하고.

그런 것은 아무리 화려해도 글을 잘 쓰는게 아니라 믿고 있다.

거기에 bullshit은 경기를 일으킬 정도로 듣고 싶지 않아 하는 내 성향상
그 요약한 내용마저도 bullshit이면 참기가 어렵다.

정말 말하고 싶은 내용은 몇 문장, 몇 마디에 지나지않는다.

2017-06-26T02:29:17+09:00Mon 26 Jun 2017 2:11 AM|

신격호 회장

95세의 신격호 회장이 이사회에서 완전히 물러나면서
70년 신화도 그렇게 끝이 났다.
끝이 참 초라하고 보잘것 없고 허무하고 불쌍하다.

롯데에 대해서 긍정적이기보다 부정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지만,
무에서 거대한 기업을 창조해낸 것은 아무나, 누구나 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니기에
그의 말은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지않나 싶다.


“나는 운을 믿지 않는다” 껌에서 시작해 108조 그룹까지, 신격호 총괄회장 어록 살펴보니
중앙일보 기사입력 2017-06-24 16:44

그룹 경영에서 배제되며 신 총괄회장의 창업 이후 70년 행적과 경영 철학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1948년 일본 도쿄에서 껌 만드는 회사인 ㈜롯데를 세운 그는 초콜릿ㆍ사탕ㆍ과자를 만드는 종합 제과기업을 일궜다. 1959년 한국으로 사업을 확장했고, 1980년대 전자제품과 외식업으로까지 진출하며 롯데를 명실상부 국내 대표 그룹으로 성장시켰다.

신 총괄회장의 경영 비결과 무차입 경영 원칙, 신중한 성격을 엿볼 수 있는 어록들을 정리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롯데그룹의 총자산은 108조여원, 계열사는 94곳에 이른다.

“큰 일을 하려면 작은 일도 알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지론이다.”
1983년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껌 한 통의 소비자 가격을 아는 회장에 대해 기자가 놀라자. 그는 “껌은 23개 계열사에서 생산되는 제품 1만5000 종 중 하나일 뿐”이라며 “나는 1만5000가지 제품의 특성과 생산자, 소비자 가격을 알고 있다”고 응답.

“롯데와 거래하면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아야 한다.”
1999년 10월, 한 월간지와의 인터뷰에서. 신 총괄회장은 “잘 모르는 사업을 확장 위주로 경영하면 결국 국민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며 “고객이건 협력업체건, 롯데와 거래하면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아야 한다”고 응답.

“기업인이 너무 자기 선전을 많이 하면 곤란할 때가 있다.”
2001년 1월, 한 월간지 인터뷰 중. “회사가 잘될 때는 괜찮은데 잘못되면 인간적으로도 어렵게 되고 회사로서도 부담이 된다”며.

“한국 기업인은 과감하긴 한데 무모하게 보일 때도 있다.”
2001년 1월, 한 월간지 인터뷰 중 자신의 무차입 경영 철학을 설명하며. 그는 “회사의 성공이나 실패를 모두 자신의 책임으로 돌리면 신중해지고 보수적이 된다”며 “그러다보니 빚을 많이 쓰지 않게 됐다”고 설명. 그는 당시 한 재벌회장이 자신에게 “우리는 빚이 많지만 은행이나 당국에서 부도를 내게 하진 않을 것”이라고 한 말을 소개하며 한국 기업인의 무모한 차입 경영을 비판하기도.

“왜 회사를 남에게 파느냐”
2006년 롯데쇼핑 상장을 추진하는 차남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에게 질책하며 건넨 말. 차입 경영에 부정적이었던 신 총괄회장은 기업 공개를 통해 주식 시장의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전략으로 여겨. 실제로 롯데그룹의 국내 94개 계열사 중 상장사는 롯데쇼핑ㆍ롯데제과ㆍ롯데칠성음료 등 8곳에 불과.

“저는 운이란 걸 믿지 않습니다.”
2012년 한 일간지 인터뷰에서. 그는 당시 “벽돌을 쌓아올리듯 신용과 의리로 하나하나 이뤄나갈 뿐”이라고 강조.

2017-06-26T01:29:43+09:00Mon 26 Jun 2017 1:29 AM|

O2O 실패 보고서

피트니스 O2O (월정액을 내면 여러 피트니스센터를 오가며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하면서 느낀 바를 적은 글이다.
이 분 이력을 보니 사업을 계속하여 시도하고 실패해왔다. 그런 실패속에서 얻는 경험을 적어나갔다.

피를 토하듯(?) 자기의 경험을 느낀 바와 함께 적어나건 것을 보면서
내가 얻어간 교휸이라면,

1. (다른 곳에서도 본 내용이지만) first mover는 진입 순서가 아니라 성공한 순서

2. 특히 어설픈 상태에서는…기사 내고, 발표 하고, 공개적으로 펀딩 받고 이런건 가급적 자제하자. 경쟁할 준비도 안되었으면서, 경쟁자들에게 어서옵셔하는 것 밖에 안된다. 할 수만 있다면 조용히 성장하는게 옳다.

3. Follow cashflow, Follow actual revenue / profit.

p.s. 난 O2O 사업 자체에 대해서 회의적이다.


https://brunch.co.kr/@icando03/144

피트니스 O2O 시장을 떠나며 (O2O 실패 보고서)

정리가 조금 늦었다. 사업을 구상하던 ’14년 10월부터 ’17년 4월까지 약 2년 반 동안 경험했던 피트니스 O2O 분야. 돌이켜보니 참 다사다난했고, 성공적 사이클은 아니었지만 많은 것들이 가치 있었다. 그것에 대한 회고록으로 O2O를 시작하기 전엔 몰랐지만 시작 후에 알게 된 것들을 시장 환경 중심으로 기록 나열해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O2O에 관련하여 사업(Business)과 경영(Management)에서의 관점도 함께 기록하도록 한다. 이 경험은 온전히 나의 것이 아닌 우리 팀의 기록을 대표한다.

표면적으로 본다면 우리는 국내에서 ‘퍼스트 무버’였다. 말 그대로 당시 40여 종목의 운동을 모바일로 B2C(일반인)에게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운동을’ 제공하는 방식은 우리가 처음이었다. 현재 관련 산업 내 오프라인 시장에서 설정된 건당 지급수수료가 1/10 수준이었다는 것으로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퍼스트 무버’라는 자신감만으로 우리는 어떻게 하면 표면적으로 멋진 기업이 될까 고민했다. 많은 수상과 인증을 받았고, 해외 계약 성사에 사비가 들지 않았을 정도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받았다. 나는 그것이 스타트업으로써 단기간 내 기업가치를 상승시키는 전략이라 오판했다. 추가 자본이 필요한 시점에 많은 투자자들을 만나본 결과 우리가 지원자들의 이력서를 볼 때 서포터즈나 해외봉사활동의 경험을 단지 훑어보게 되듯 우리 역시 그들에게 그냥 ‘그랬구나’ 정도로 넘길 한낱 경험에 지나칠 뿐이었다.

그러한 성과지표가 쓰일 곳은 한 군데뿐이었다. 회사는 점점 분기 실적표에 무엇인가를 채워 넣어야 했고, 지속적인 관심을 얻기 위해서 일부는 정부가 원하는 기업이 되어야만 했다. 잘못인걸 알면서도 모든 것이 부족한 시점에 그들의 관심마저 져버릴 수는 없었다고 고백한다. 그들의 ‘훌륭한 지원과 도움’이 있었음에도 사실 우리 스스로가 ‘일어나는 방법’을 끝내 찾지 못했다.

혹시나 ‘아직 세상에(또는 국내에) 없는 아이디어’라고 한다면 섣불리 ‘퍼스트 무버’가 되는 것을 즐거워하지 말았으면 한다. 들뜬 마음에 기사를 내고, 행사에 나가 발표를 하고, 클라우드 펀딩을 진행하기 시작한다면 며칠 지나지 않아 수 십 개의 유사 경쟁사가 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대단해서가 아니라 우리를 발판 삼아 다른 방법이 떠오른 기회주의자들의 당연한 진입일 뿐이다.

대부분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면 우리들은 그들을 경쟁자라 말한다. 그러한 경쟁은 모든 기업이 불안정하기에 대표적인 경쟁 수단이 서비스의 가격이 되고, 가격은 곧 자본의 경쟁이 된다. 그러면서 그 사이 경쟁사들끼리 투자유치를 하기 위한 또 다른 경쟁이 펼쳐진다. 그 사이 소비자들은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를 최저한의 낮은 가격으로 접하게 되며 그것을 당연한 서비스의 가격으로 인지하기 시작한다. V3 백신이 무료로 배포되고 나서 일반인들에겐 환영할 일 일지어도 기업들로부터 욕을 먹었던 이유는 ‘소프트웨어 = 무료’라는 사용자들의 인식이 고정되어버린 것에 일조하였기 때문이다. 불법이 난무하고 안드로이드가 유료로 진입하기 어려운 이유가 그냥 생긴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피트니스 O2O가 제대로 된 이익이 실현되려면 최소 15만 원 이상의 멤버십 이용가가 설정되어야 하나 당시 시장의 경쟁으로 지급수수료 비용은 약 10배가 올랐으며, 한 달 멤버십 이용가는 약 5만 원 수준이었다.

애당초 설계한 비즈니스 모델은 무색해졌고, 어떡해서든 차별화 또는 대규모 자본조달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원천적 기술력이나 확고한 차별성이 없었기 때문에 자본은 더욱 필요하였던 것이고, 이 사례와 같이 아이디어만으로는 ‘퍼스트 무버’로써 결코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기가 확률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 진짜 문제는 경쟁사의 출현이 아니었다. 이 시장의 가능성이 있는지 시장에 대한 검증이 없는 상태였던 것이다. 솔직히 말해서 시장의 규모도 제대로 가늠할 수 없었다. 피트니스는 다른 시장과는 달리 특정 장소에 들어갈 수 있는 인원이 한정되어있고, 그중에서도 수업마다 들어갈 수 있는 인원이 제한된다. 허나 이것도 모잘라 ‘운동을 하려는 사람들이 이용을 원하는 시간대’와 ‘업체에서 고객이 와주길 희망하는 텅 빈 시간’사이의 간격은 회사가 원하는 고객 타겟층과는 상충되어 서비스로써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한 예로 ‘직장인’이라면 가격에 덜 민감하고, 꾸준하게 이용하며, 컴플레인이 적은 반면에 ‘대학생’ 혹은 ‘프리랜서’라면 가격에 민감하고, 자주 이용하지 못하며, 컴플레인의 빈도가 잦은 통계치가 있다. 당연히 회사의 타겟은 ‘직장인’이 되겠지만 실제 운동 시설이 제공하고자 하는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공실 시간대에는 타겟이 이용하지 못함으로 서비스는 완전한 ‘저가’ 이거나 ‘고가’ 전략이 되었어야만 했다.

즉, 비즈니스 모델이 명확하게 검증된 것이 아닌 상황에서의 경쟁자란 결국 ‘경쟁자들의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의미 없는 존재들의 경쟁’이라는 것이다. 가난한 경쟁은 우리 스스로가 만든 꼴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미처 깨닫지 못한 상태로 더욱 조급해졌다. 기술의 진보성, 브랜드 입각, 자본의 충당 등을 위해 방법을 모색했다. 그러기 위해선 우리를 더욱 쫒아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선 한국 시장만으로 상대할 수 없다는 결론이었고, 매출을 증빙하라는 한국 투자자들의 간 보기는 아예 처음부터 배제하였다. (물론 우리도 투자자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미팅은 지속적이었다.) 그리고 선택한 것이 해외 유사 서비스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였다. (https://brunch.co.kr/@icando03/12) 이로 인해 우리는 기술의 통합으로 안정적 서비스 출시와 함께 7개 국가를 목표로 4개국 오픈 대열에 합류할 수 있었다. 우리 고객은 우리의 서비스만으로 해당 국가에 출장과 여행을 가더라도 현지의 피트니스와 레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듣는 사람들이 ‘우와’라고 외쳤지만, 정작 우리는 여전히 ‘배가 고팠다’. 마케팅이 잘못되어서일까? 아니, 그것보단 시장이 달랐다. 대부분 출장이나 해외를 나가면 묵는 숙소에 저마다 딸려있는 운동센터는 무료다. 멤버십 비용이 아까워 우버나 택시를 호출해 국내에서도 할 수 있는 운동을 굳이 찾아가지는 않는다. 그 밖에 제약 조건은 다양하다. 하지만 당시 회사는 솔직하게도 빠른 시일 내에 큰 맥락에서 글로벌 투자자들이 현혹될 수 있을 만한 구실을 만들기 위함이었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VOC는 뒤로 밀려났다.

시장에 대해서 이야기를 좀 더 하겠다. ‘너, 이 어플만 깔면 주변에 엄청 많은 종류의 운동을 매일 이용할 수 있어’라고 하면 대부분 ‘우와, 그래?’라고 외친다. 그러나 한국은 주차가 불편하고, 보통 낯선 이들과 함께 그룹 운동을 즐겨하지 않으며, 괜스레 남을 경계하고, 자기에게 익숙한 곳을 선호한다. 아무리 많은 운동 시설을 제공해도 꾸준한 사용객은 평균 두 곳 이상을 이용하지 않고, 매일 가는 사람은 블랙리스트가 되며, 열심히 제대로 이용한 사람은 ‘한 번쯤 이용해보려는 경험객’이 될 뿐이다. 사용객 분류와는 달리 사용객 특성에 따라서도 시장의 규모는 다시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 B2B(기업 제휴)로써 이러한 피트니스 O2O를 선택적 복지로 접근하는 오래된 기업들이 있다. 이들이 잡고 있는 시장은 약 300억 정도를 추정한다. 주로 대기업이나 공기업이다. 기업복지 대행사들을 통해 스타트업도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이건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영업이익이 극명하게 갈린다. 현장 노동자가 많은 기업일수록 샤워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이용률이 높아 수수료 비중이 올라가고, 공기업이라면 퇴근 시간이 빨라 운동시설의 이용률이 높아 수수료 비중이 올라간다. 이 모든 것을 타진하여 벌어들일 수 있는 시장이 얼마나 될 것인지 생각해본다면 결코 단순히 피트니스 O2O로써는 재미있는 그림은 그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이 우리가 지방에 섣불리 진출하지 않은 이유이다. 물론 수도권도 독점하진 못했지만.

이러한 피트니스 O2O가 성장하려면 운동 채널의 수, 운동시설의 수, 이용자의 수 보다 중요한 것은 그 이상의 모델 설계이다. 이러한 시장 정보 (실질적으로 벌어들일 수 있는)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300억, 500억 이상을 벌어들일 수 있을지의 미래 설계가 되어야 한다. 우리는 그러질 못했기 때문에 더 성장할 수 없었다.

초기 열광해주는 고객 니즈가 있다고 해서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아니었다. 그것은 단지 있으면 좋을법한 착한 서비스이자 순진한(바보) 같은 비즈니스였다. 스타트업의 열정은 기업의 가치가 아니다. 우리는 가치 있는 서비스도 가치 있는 데이터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 또한 스마트폰 가입자가 많아진다고 해서 시장이 커진다는 것은 아니다. 시장은 내가 벌어들일 수 있는, 거래되고 현금이 흐르고 있는 시장을 이야기한다. 시장 조사에서 모바일 사용자 따위의 수치는 단지 매체가 좀 더 유연해졌다고 해석해야 한다.

당시 업계 주요 관계 기관들의 협조를 이끌어낼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야말로 서비스를 좌우할 핵심 Key라고 판단했던 이유가 있었다. 우리의 진정성이 담긴 전달을 뜬금없이 나타난 IT기업이 아닌 관계 기관들이 더욱 유연할 것이라 판단했던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업체에 진심을 다해 우리와 소비자 사이에서 공급자들의 시장 보호를 고려하며 상호 간의 서비스 균형을 최우선 시 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느낀 대단히 중요한 통찰이 하나 있다. 우리가 이 업계를 떠나고 나서도 현장으로부터 전해 들리는 소식들이 있는데 대부분 기존 고객과의 시장 충돌로 인한 제휴 거부감이나 O2O 모델을 방어하기 위한 지역 대표들의 자발적 협회 구성 등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안타까웠다. 하지만 비즈니스 측면으로 볼 때 우리가 추구한 평등 전략은 실패하였다. 그 반대로 소비자에 집중하고, 거점지역을 확보해나간 기업은 살아남았다. 우리가 생각했던 전략은 우리만이 존재할 때 가능할법했던 순수함이었다.

공급자들의 인식은 소비자들의 인식보다 개선되는 시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몇 배수는 필요할 것이라 본다. 실제로 겉은 화려하지만 대단히 영세한 운동 매장들이 많다. 사실 운동 분야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대부분의 영세 사업장들이 해당될 것이다. 이들은 주로 지금 당장 눈앞의 이익을 중요시하기 때문인데 사실 우리와 같은 ICT 기업들은 미래의 이익을 설계해나가지만 그들은 지금 당장의 삶이 연관되어있기에 고객을 받아들일 수 있는 그 시장은 더욱 위협을 받는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급자로부터 우리와 같은 서비스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장기적 이익은 기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영세한 시장에서 대부분 고용된 직원들은 4대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정규직이 많다. 그러나 매장의 입장에서는 직원들의 4대 보험 및 인건비가 경비로 인정받아 건강보험료 절감이나 미래의 소득세 신고에 세금 절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

지금 당장 놓인 문제의 해결을 원하는 영세시장에서 이들을 하나로 묶어 지대한 변화를 기대하기란 어쩌면 불가능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이런 결과를 놓고 보자면 비즈니스는 소비자에게 집중되는 게 맞을 수도 있다.

O2O, 그거 아이디어만큼이나 절대 쉬운 사업이 아니다.
사실 실패의 이유는 상당히 많다. 나열하자면 거시적 환경부터 기업의 특성까지 (특히 O2O는 이렇다, 이렇게 해야 한다에 반문도 포함) 몇 개는 더 써내려 갈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대학생부터 전문직까지 다양한 출신의 초보 사업가들이 아이디어만을 가지고 O2O를 쉽게 진입하는 것을 상당히 많이 보았는데, 부디 아이디어로 출발했던 우리의 시장환경 중심의 간접 경험을 통해 실제 어떠한 돌발상황들이 숨어있는지를 습득하여 보다 더욱 철저한 전략과 계획이 바탕되었으면 한다.

지금에 와서 내가 보는 관점은 기존의 큐레이션, 서브스크립션, O2O, 커머스 등 이 모든 서비스들이 성공적 사례가 부족했다 할지라도 단순 트렌드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데이터 전쟁(경쟁)을 위한 전초작업이라 사료된다. 현재 나는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아이디어로 출발해서 미래의 전략을 짜 맞추어 세우는 것이 아닌, 미래의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한 최적의 아이디어가 무엇인지의 관점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일례로 카카오 택시가 운송 O2O로써 성공적이냐 아니냐를 볼 때 언론들은 표면적 성과만을 접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입을 닫은 채 택시 O2O가 거점 지역을 일정 부분 확보하고 시장에 안착되기까지 그들은 꾸준히 장기적 전략을 준비해왔다. 택시 운행기록과 기사들의 소비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국내 수 십 조원 시장인 Micro-Credit(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무담보 소액대출) 분야에 있어서 카카오 은행의 가장 좋은 시장 타깃이 된 것처럼 말이다.

어쨌거나 많은 도전자들이 순수함을 빗대어 성공적 비즈니스의 기회라 착각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부디 우리 모두 실패에 대한 커밍아웃을 부끄러워하지 말았으면 한다.

2017-06-25T19:35:10+09:00Sun 25 Jun 2017 4:42 PM|

Interview Questions for Culture Fit

우리나라 문화에서는 이런 질문 하기가 참 어려운데
사실 그 사람의 성향을 이해하고 또 회사와의 궁합(?)을 알기 위해서는 중요한 질문이 아닐까.

– How did the culture at your last company empower or disempower you?
–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st boss you’ve ever had?
– Describe how you handled a conflict with one of your co-workers?
– What kind of feedback do you expect to receive in this role and how often do you expect to receive it?

https://www.inc.com/david-walker/after-giving-1000-interviews-i-found-the-4-questions-that-actually-matter.html


After Giving 1,000 Interviews, I Found the 4 Questions That Actually Matter
Hiring for culture fit can seem like a mystery, but these 4 interview questions will help you get it right every time.

If there’s one thing that keeps every founder up at night, it’s hiring. Hiring the best talent is a massive and never ending challenge. It’s hard to hire your first employee, it’s hard to hard your 50th employee and it’s still hard to hire your 500th employee. If you’re just starting your company, you may as well get over the fact that you’ll likely lose sleep over hiring.

If you’ve read anything about hiring best practices, you’ve probably read about hiring for culture fit. This isn’t an article about convincing you to hire based on culture fit, this is an article on how to actually do that. While every company has a different culture, there are 5 questions that will help you identify if a candidate is a good culture fit no matter where your company falls on the culture spectrum.

In my role as CEO of Triplemint, I’ve hired over 100 people and therefore my co-founder and I have interviewed close to 1,000 (admittedly, with all the lost sleep over the challenges of hiring I didn’t keep track of the exact number of interviews I’ve conducted). I’ve made great hires that were a near-perfect culture fit, and I’ve made less-than-stellar hires that ultimately didn’t work out. There is no such thing as batting 1000 with hiring, you’re going to make mistakes no matter how good you are. That said, in my personal experience I’ve found these 5 questions to be hugely helpful in determining culture fit.

How did the culture at your last company empower or disempower you?
This is a really interesting question because it will get the candidate talking about their previous company through the lens of how they were affected by the company’s culture. Getting a candidate to talk about their past employer can be very telling. Do they openly throw the company under the bus? Do they recognize the positives even though it ultimately didn’t work out?

Asking specifically about the culture of their last company also tells you a lot about how they view the importance of culture. Their response will tell you if they’ve thought a lot about company culture or if they don’t really know what it is. The question will also reveal how they think they are empowered or disempowered which will give you a look into their motivations.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st boss you’ve ever had?
I like this question as a follow up to the culture question because it’s somewhat similar, but from a different angle. If you didn’t get a sense for the candidates view on culture and what motivates him/her, you likely will from this question.

Did he/she thrive under a boss who was extremely direct and valued performance above all else? Did he/she thrive under a boss that put as much emphasis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s results within the role?

Describe how you handled a conflict with one of your co-workers?
It’s always helpful to ask candidates about how they dealt with conflict. As people we tend to be more open and honest when recalling a specific event versus describing characteristics about ourselves. Understanding what the candidate perceives as a “conflict with a co-worker” will likely reveal information about his/her level of self-awareness.

Understanding how they dealt with the conflict will also give you insights into what he/she perceives as a reasonable and positive response to a conflict. No matter how wonderful your culture is, conflicts will arise. How your team deals with conflicts is the true test of your culture.

What kind of feedback do you expect to receive in this role and how often do you expect to receive it?
Understanding a candidate’s desire or hesitation to receive feedback tells you a lot about his/her expectations. The frequency and type of feedback that is shared within a company tends to be highly correlated to culture.

Does the candidate expect feedback to be tied to core values? Does he/she think feedback is only about performance in the role? Does he/she see feedback as a once a year HR formality or a constant process of growth and improvement?

2017-06-25T15:45:21+09:00Sun 25 Jun 2017 3:45 PM|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