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ts

남성일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이런 용기 있는 학자들이 더 많이 나와야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경제학자로서 기업인들과의 간담회 형식까지 논평할 필요까지는 없다 생각하지만 (내용은 물론 공감함)


<파워인터뷰>“정부가 최저임금 보전?… 어느 나라가 민간임금에 세금 넣나”

남성일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어렵다, 반성한다, 안타깝다, 자괴감이 든다….’

얼핏 들으면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세상살이에 실패한 사람이라고 단정하기 쉽다. 그러나 이런 말을 한 사람이 우리나라 경제학을 대표하는 학자라면 어떨까? 지난 7월 말 서울 마포구 서강대 남덕우 경제관(GN관)의 연구실에서 만난 남성일(63) 경제학부 교수는 부드러운 인상과 온화함 때문인지 정년을 2년여 남겨놓은 사람으로 보이지 않았다. 그 순간 앞으로 적어도 십수 년은 학생들과 어울려도 전혀 어색해 보이지 않을 것 같은데 제도가, 규정이, 그리고 사회가 그를 교문 밖으로 나가도록 하는 것이 그의 발걸음을 가볍게 할지, 아니면 무겁게 할지, 어느 쪽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터뷰를 마칠 즈음 그 해답을 보았다. ‘반반’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 것이다. 이런 판단은 그의 말과 눈빛,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터뷰 후 사진촬영을 위해 교정을 둘러보면서 일일이 자세한 설명을 들려주는 세심한 노력에서 엿본 것을 근거로 한다.

남 교수는 경제학 중에서도 노동경제학을 전공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이러저러한 직함으로 새로 시작하는 정부에 노동과 경제 관련 조언을 해줬다. 하지만 자신의 조언을 귀담아듣고 실행하는 정부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결국은 정부 ‘입맛’대로, 짜인 각본대로 가는 경우를 허다하게 경험했다. 그는 아직도 “경제학이 어렵다”고 말한다. 또 잘못 가는 방향에 대해 더 크게, 더 강력하게 말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며 안타까워한다. 그리고 그는 “지성의 얇은 두께를 통탄한다”고 했다.

―도대체 노동이란 게 뭔가요.

노동은 경제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제반 인적행위라고 봅니다. 여기서 키워드는 경제적 가치 창출에 기여해야 하고 그리고 행위는 인적행위죠. 인적행위에는 육체적인 것뿐 아니라 정신적인 것도 포함됩니다. 가만히 앉아서 생각하는 것도 포함되는 거예요. 많은 이가 앉아서 생각하는 것을 자꾸 불로소득이라고 하는데 그 뉘앙스를 보면 그 사람이 땀 흘려 일한 게 없다고 비판하는 것이지요. 모니터 화면에서 주식가격을 보고 쉽게 마우스 클릭 몇 번 해서 이익을 얻었다고 불로소득이라고 하는데 제 관점에서는 불로가 아닙니다. 인적행위가 들어간 것이니까요. 그로 인해서 가치가 창출된 거죠. 가치 창출이 중요합니다. 가치 창출이 안 된 것은, 제가 볼 때는 쓸데없는 노동이고 이는 시장경제학적으로는 앞으로 없어지는 노동입니다. 21세기로 들어서면서 정신노동이 중요해졌습니다. 또 하나는 소비하고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 내가 좋아서 혼자서 만들어서 하는 건 소비입니다. 프리랜서 기자를 예로 들어봅시다. 열심히 취재해서 기삿거리가 된다고 생각했는데 데스크가 킬 했다, 그래서 셀프 프레스를 한다고 하면 이건 소비입니다. 노동이냐, 소비냐 하는 것은 가치창출이 시장에서 인정받는 가치냐, 아니냐 하는 데 달린 것이지요. 현 정부와 제가 엇갈리는 부분이 이 지점입니다. 시장경제를 공부하는 경제학자 입장에서는 가치의 인정은 시장에서 받는 것입니다. 20시간을 일했으니 20시간어치 돈 받아야 한다는 것은 공급자적 논리죠. 20시간 일했어도 1시간 일한 것보다 못하다고 하면 안 주는 것이 시장의 논리입니다. 우리는 그에 대한 컨센서스(합의·동의)가 없어요.”

―현재 노동과 가치에 대한 인식은 어떻다고 보시나요.

“지금 정부에서 하는 걸 보면 21세기가 아니라 19세기 노동가치설로 가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 때가 많습니다. 마르크스 경제 하고 나서 소득주도 성장론을 말하는데 그것의 원천은 ‘Wage-led growth(임금 주도 성장)’라는 것입니다. 일부 이른바 좌파, 그리고 포스트 케인스학 경제학자들이 주장한 것을 차용한 것이 아닌가 하는 게 제 생각입니다. ‘임금’ 주도 성장을 ‘소득’으로 바꾼 게 아닌가 하는 게 제 생각이에요. 그건 경제학에서 보면 아주 구석진 것입니다. 가설이라고 하기도 어려운, 하나의 담론 수준이죠. 지난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겪고 나서 소득 격차가 너무 벌어졌다는 인식이 나와서 그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을, 경제성장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보자는 주장인 거죠. 마르크스가 지금 속으로 좋아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죽고 나서도 대한민국 정책의 핵심 중 하나로 정해졌으니 말입니다. 국내에서 누가 그걸 제대로 연구하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도대체 언제로 돌아가는가 싶습니다. 왜냐면 제가 스토리를 대충 압니다. 1970년대 데모도 하고 유치장도 들락날락했고 우리끼리 맨날 술 마시고 밤새 토론하고 하던 얘기니까요. 저도 한때 그 세계에 있었습니다. 혼자 밤새 임금주도 성장 모델도 그려봤고요. 저소득층이 소비를 많이 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케인스식 총수요를 진작시켜서 간다는 기본적 아이디어를 가졌는데 이것은 공부하면서 보니까, 한쪽만 본 것이더군요. 노동경제학을 하게 된 게 그런 이유입니다.”

―공부하시면서 어떤 과정을 거치셨는데요.

“저는 소득분배도 공부하고 싶고 노동의 가치도 공부하고 싶어서 미국에 갔습니다. 그런데 그 미국에서 사상적 전환이 일어났죠. 두 가지 실질적 사례가 있습니다. 두 가지 충격이라고 볼 수 있죠. 첫째는 하와이대 동아시아도서관인데 북한에서 나온 서적을 가장 많이 갖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를 접할 수 있어 좋았죠. 그런데 북한 책을 읽고 1주일 만에 실망했습니다. 소설이나 사회과학책이나 다른 책이나 다 똑같은 내용이었거든요. 둘째는 오프더레코드입니다.(남 교수는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해 얘기했다) 그런데 지금 2017년에 이게 무슨 망령입니까. 최근 정부가 ‘인간 중심의 경제를 펴겠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제가 볼 때 인간 중심의 경제학은 ‘레토릭’(미사여구)입니다. 원래 경제의 알파 오메가는 다 인간입니다. 경제란 인간이 하는 것인데 왜 새삼스레 인간 중심이라고 하는 거죠? 안타깝게 여기는 지점이 그겁니다. 다양한 길을 놔두고 왜 한쪽 구석진 곳에 있는 것을 끌고 와서 포장도 유치하게 합니까. 그냥 이 정부의 정책 목표는 저소득층을 위한 것이라고 하면 솔직하지 않습니까. 경제를 아는 사람이라면 웃기지 않겠어요? 외국 이코노미스트가 들을까 창피합니다. 그건 그만큼 정부가 자신이 없는 것이라고 봐요. 지엽말단의 일부를 끌고 와서 내세우는 것이 아닌가 싶어요. 정책이 되려면 최소한 학문의 세계에서는 누구든지 아이디어는 낼 수 있지만 가설로 만든다고 한다면 과연 현실과 맞느냐를 실증 분석해야 하는 것입니다. 경제학에서는 여러 차례 실증분석과 논리 전개가 됐을 때 이론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가설 수준도 안 되는 것을 정책 기반으로 삼는 게 얼마나 위험한지 압니까. 세계 어느 나라에서 해본 적이 있나요? 임금주도 성장을 해 본 나라조차도 보완적인 방법으로 생각하지, 그걸 성장 동력으로 삼진 않았습니다. 문제는 5000만 인구가 사는 경제가 실험 대상이 됐다는 것입니다. 5~10년씩 가야 하는 경제시스템을 그렇게 실험하는 건 무책임한 거 아닌가요? 그래서 걱정하는 거죠. 좀 실패하고 나서도 다시 돌아올 수 있다면 괜찮지만 전체 사회를 망가뜨리면 어쩌나 걱정됩니다.”

―요즘 경제정책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지금이 어떤 시기냐면 ‘한국’이라는 집이 그동안 만들어져서 개방경제 축으로 최소 30~40년간 왔는데 이 집이 잘못 지어졌다며 뜯어고치면서 첫째로 잡은 게 최저임금제라는 내벽을 허문 겁니다. 집이 쏟아져 무너지게 생겨서 사방에서 소리 지르니까 ‘1년만 해보고’라고 말했습니다. ‘쏟아지면 중소상공인을 지원해 대들보를 거기다 더 받칠게’라고 하는 격이지요. 어느 나라가 민간 임금에 국민 세금을 집어넣습니까. 최저임금 인상분을 정부 세금으로 보전하겠다고요?”

―지금 정부가 왜 그런다고 생각하십니까.

“제가 요새 두 가지 머리에 떠오르는 말이 있습니다. 하나는 ‘무식하면 용감하다’, 또 하나는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요,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말인데요. 그게 요즘 돌아가는 세태를 보면서 제가 느끼는 겁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것은, 본인이 지금 어디 가는지 모르면서 하는 거면 용감한 거죠. 또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니까 무식하게 보이는 거고요. 내로남불은 왜냐면, 제가 볼 때 지금 정부가 하는 게 어느 때보다 제왕적이에요. 그러면서 적폐를 청산하겠다고 하지 않습니까? 이렇게 제왕적인 게 어딨습니까. 책임도 안 지는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면서 위원회(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위원회)를 만든다니요. 책임지겠다는 것도 아니니 차라리 국민투표나 평가를 받겠다고 하든가요. 위원회 결정에 따른다는 건 책임을 떠넘기는 거지요. 어마어마한 결정에 비해서 너무 무책임하지 않나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노동과 경제정책은 어떤 것일까요.

“우리나라의 경제적 측면에서의 큰 도전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인구가 줄어들어서 생산인구와 소비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그에 반해서 우리가 지금까지 이뤄놓은 것은 아직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못 가진 상태입니다. 국민 마음속의 기대심리는 소득 4만~5만 달러인데 격차가 크죠. 이걸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고민해야 합니다. 둘째는 거의 모든 나라에서 경제시스템 개선을 해서 경제적인 성장, 그리고 어떤 안정을 도모하겠다고 하는 컨센서스가 있습니다. 모든 나라가 시스템을 조금씩 바꾸는데 그 포인트가 비효율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복지시스템, 공공부문의 비효율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지요. 독일의 하르츠 개혁, 프랑스가 지금 추진하는 것 등이 그렇습니다. 개혁을 안 하고 포퓰리즘으로 가는 베네수엘라, 브라질 등은 망하고 있어요. 우리가 지난 40여 년간 경제성장 과정에서 써온 시스템 중 여러 가지 경직적이고 비효율적인 게 많이 생겼어요. 과도하게 규제가 많아졌고 정부 부문이 방만해졌죠. 그런 부분들을 고쳐야 합니다. 사람들의 기대치가 있는데 이걸 맞춰 가려면 생산성이 올라가야 합니다. 노동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게 사람들의 기대치와 생산성입니다. 우리 사회의 비극은 기대치는 높은데 생산성이 못 따라가는 언밸런스 때문에 모두가 불행해진다는 것입니다. 이를 역전시킬 그 어떤 방안이 없이 자꾸 기대치만 올려놓고 있습니다. 청년수당이다, 휴가비다 지원하면서 기대치를 잔뜩 올려놨지요. 이제 사람들도 불안해하고 ‘과연 될까’하는 분위기예요.”

―최근의 증세 논란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최근 ‘곳간을 열라’는 표어를 봤어요. 이는 거의 불법을 넘어서 헌법을 그냥 무시하는 것이죠. 어떻게 이런 이야기를 플래카드로 대로에 붙여놓을 수 있습니까. 헌법상 소유권이 명시된 나라에서 말입니다. 지금 경제 현실과 기업의 현실을 조금이라도 아는 이라면 할 수 없는 이야기입니다. 정치하는 이들이 대부분 한 번도 세금 내는 경제활동을 안 해 본 이들입니다. 정당이나 로펌에서만 경험을 쌓은 이들이 민간 영역에서 세금을 직접 내고 직원을 한 명이라도 둔 사업체를 경영해 본 이라면 그런 말 못합니다. 경제 현실이 얼마나 무섭고 냉정한데 곳간을 열면 뭐든지 될 것처럼 말할 수 있겠습니까. 우리 사회가 지식인으로서 통탄하는 게, 지성의 두께가 얇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목소리를 제대로 내는 사람이 없어요. 그건 지성이 얇다는 것이죠. 나아가서는 우리 국민의 경제에 관련된 의식이 상당히 잘못된 교육, 프로파간다(선전)에 의해서 왜곡된 게 사실입니다. 중·고등학교에서 경제에 대한 교육이 너무 잘못됐어요. 우리는 돈이 많은 사람은 운이 좋아서 많다고 생각합니다. 죽어라 노력한 것을 인정 안 하죠. 오히려 그것을 뺏어야 한다고 정부 자체가 몰고 갑니다. 그러면 기업가 정신이 안 나옵니다. 그동안 돈을 번 이들이 얼마나 애를 썼는가, 빵집 하나만 경영해도 빵을 다 팔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는데 그걸 생각지 않고 운이 좋아서 많이 벌었다고 합니다. 돈 번 노력에 대한 인정만 해줘도 그들이 알아서 세금을 더 내려고 할 것입니다.”

―기업들은 격화된 세계시장 경쟁에다 국내의 최근 정책사안(최저임금·증세 등)으로 아우성인데요.

“자동차만 봐도 7년 전에 비해서 지금 시장의 불확실성이 50배는 커졌습니다. 기술적으로 예전에는 내연기관 중심이었는데 어느 순간 전기차, 수소차, 각종 2륜 구동, 드론 택시 등 움직이는 수송수단에 대한 지평이 넓어졌고 경쟁도 치열해졌습니다. 중국에서 자동차 생산이 시작되니까 모든 나라의 자동차 산업 이익률이 떨어졌습니다. 또 삼성과 애플의 치열한 경쟁이 숨도 못 쉴 정도입니다. 애플에서 가을에 뭐 나올까 언론은 말하지만 연구소에서는 내년 것으로 싸웁니다. 아차 실수하면 가는 겁니다. 많이 버니까 내놓으라는 것은 안 되죠. 지금은 뼈를 깎아야 하는 시기입니다. 그런 기업가들의 치열함에 대해 과연 정치인들이 얼마나 이해하고 고마워하는지 궁금합니다. 한국의 성장이 과연 무엇 때문이었는지 알까요? 기업은 살아있는 생물 같아서 생존을 위한 결정을 합니다. 기업 경방이 한국을 떠난다고 하니 매국노라고 쉽게 비판하는데 그런 식의 시각이라면 대한민국 망합니다. 오죽하면 옮기겠습니까. 이 정도로 우리의 의식세계가 경직돼 있어요. 우리 상황이 비극인 게, 기술은 4차 산업혁명 말하면서 의식수준은 항일, 반미 시대 수준을 못 벗어나고 있어요. 그 멘털을 갖고 정책을 씁니다. 그러니 정책과 현실이 안 맞아 비명을 지르는 것이죠. 대통령이 기업인들을 불러들이는 것도 웃기고 기업들이 어떤 보따리를 펼칠지 그 걱정하고 있어요. 그러면서 ‘적폐를 어쩌고’ 하는데 정말 적폐를 없애려면 기업인들 만날 필요 없습니다. ‘알아서 잘 하십시오’ 해야 하는 거죠. ‘혼내주겠다’고나 하고 있지 않습니까.”

―최근 기업인들과의 간담회는 어떻게 보셨는지요.

“저는 솔직히 말해서 어색하죠. 대통령이 총수들 쭉 모아놓고 그렇게 하는 것 자체가 매우 전근대적이라는 생각을 하거든요. 기업하는 사람들은 기업 열심히 하게 해야지, 그렇게 모아놓고서 무슨 왕 앞에서 알현하는 것처럼 그런 형식이 맞지 않는다고 봅니다. 또 그 앞에서 각 그룹사가 ‘우리가 뭐 어떻게 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도 사실은 맞지 않는 거죠. 여전히 정부가 위에 있고 기업이 그 밑에 종속돼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시대에 맞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우리 사회에서 없어져야 될 것 같아요.”

―현대기아차 등 대기업 노조의 파업이 예고돼 있는데요.

“하투를 뒤에서 조종하는 민주노총 입장에서는 권력 분점 욕구가 강합니다. ‘우리가 정권창출을 그만큼 도와줬으니 내놓으라’는 인식이 꽉 차 있죠. 휴가철 뒤 기업이 아니라 정권을 압박할 것이라고 봅니다. 경제적 입장에서 지금 우리는 죽느냐 사느냐의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자동차, 조선이나 산업 전반적으로 그렇습니다. 그래서 지금이 (하투를 하고) 그럴 땐가 싶습니다. 이미 이런저런 수당 합하면 연봉이 1억 원이 넘는 상황에서 말이죠. 과연 파업의 명분이 있나요? 또 그렇게 되면 문제는 지방경제, 협력업체는 정말 죽게 된다는 것입니다. 명분과 실리가 없는 것은 장기적으로 본인들에게도 해가 될 것입니다.”

―춘투니 하투니 하는 말은 언제까지 듣게 될까요?

“어느 정도 이후 성숙해서 없어질 것이라고 보기 어려워졌어요. 왜 그러냐면 춘투, 하투를 없애기 위해 필요한 것은 욕먹을 줄 아는 리더십인데 우리 정치인들이 욕먹을 줄 아는 리더십을 보여준 적이 없어요.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네 정부에서 20년간 제가 말했어요. 제 면전에서는 ‘교수님 말이 맞는다’고 하고서는 ‘시기가 안 돼서, 혹은 장기과제’라고 핑계를 대면서 20년이 지났습니다. 지금은 욕먹을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노조가 노조의 본령을 벗어났다고 지적하는 대통령, 정치인을 본 적이 없습니다. 사석에서는 다 맞는다고 하면서도요. 그런 사람이 나오지 않는 한 계속 이렇게 가겠지요.”

―내년도 최저임금이 7530원으로 결정됐는데요.

“적정의 기준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 최저임금 인상은 여러 기준으로 봐서도 다 오버라고 봅니다. 단지 이번 인상률이 높아서가 아니라 기왕에도 결코 적지 않았어요. 생계비, 중위임금, 생산성 등 어느 기준으로 봐도 현재 최저임금은 결코 낮지 않습니다. 그런데 1만 원까지 올리겠다는 근거가 대체 뭡니까? 생계비 기준으로도 안 맞고 생산성으로도, 중위임금으로도 세계적 기준에서 이미 오버됐습니다. 우리나라는 임금 구조상 맨 밑이 올라가면 다 오르게 돼 있습니다. ‘최저임금 1만 원인데 무슨 소리냐’ 하면서 고임금을 정당화하고 추가임금 상승에 대한 사회적 비난을 최소화하려는 게 민주노총의 의도입니다. 애초에 그걸 간파했어야 합니다.”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리는 내용이 포함된 추가경정예안도 통과됐습니다.

어느 나라가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려서 성장했습니까? 오히려 공무원 늘려서 재정부담에 쓰러지는 나라는 봤어도 가치가 올라간 나라는 본 적이 없습니다. 논리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현실적으로 더 큰 문제는 정부의 그런 정책에 의해 많은 젊은이가 노량진으로 간다는 겁니다. 그 자체로는 가치를 만들어내지 않는 일자리로 쏠리는 것, 이건 나라의 큰 손실입니다. 지금 공공부문 임금도 너무 높아요. 보통 외국의 경우 공공부문 일자리 임금이 1인당 국내총생산(GDP) 수준에서 왔다갔다 하는데 우리는 훨씬 높습니다. 우리나라 1인당 GDP가 3만 달러인데 7급 공무원 임금이 7000만~8000만 원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누가 불안한 민간부문에서 일하겠습니까. 공공부문은 고용안정도 되잖아요.”

―국민 경제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교육자로서, 또 경제학자로서 가슴 무겁게 생각하는 게, 사회 일반의 경제교육이 미흡하다는 점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참으로 우리가 먹고사는 물질적 기반 토대가 너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봉급이 어디서 오는가에 대한 이해가 없어요. 한 나라가 어떻게 클지에 대한 이해도 없고요. 돈 많은 이들은 운 좋아서 그렇게 됐다고 생각하고 스스로는 운이 없어서 돈을 못 번다고 생각하죠. 제대로 된 경제교육은 초·중·고등학교 기본교육에서부터 돼야 합니다. 그런데 경제 교과서 만드는 것도 사범대 교수들이 독점하고 있습니다. 경제학자들이 못 들어갑니다. 그렇게 전문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을 하고 있고 야금야금 전교조나 민주노총 등 특정 가치 추구 집단들이 교육 보조자료를 만들어 내는 거죠. 이런 현실이 정상화돼야 합니다. 한 나라가 성장하는 게 뭘 의미하는지에 대한 가장 기본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 부분이 많이 미흡합니다. 경제학자들도 늦게 알았습니다. 고교 교과서 분석도 2년 전에나 했지요. 저 같은 경제학자들도 반성해야 합니다. 요새는 안타까움이 듭니다. 제 교수직 퇴임이 2년이 채 남지 않았는데 과연 제가 이뤄놓은 게 뭔가 싶어요. 전공하는 노동분야에서 역사의 시계가 반대로 흘러가는 데 대해서 제가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데 상당한 자괴감을 느낍니다. 기회가 있을 때 언론을 통해 학생들에게 이야기하지만 여전히 미흡하다고 느낍니다.”

인터뷰 = 김윤림 차장 (경제산업부)bestman@munhwa.com

2017-08-05T21:46:51+09:00Sat 05 Aug 2017 9:46 PM|

Google Drive

사진의 최종 보관용으로 Amazon Drive를 썼었다.
1년 $60 정도에 무제한 용량이라서 써왔는데
최근에 정책이 바뀌면서 올 8월말부터는 용량에 따라 요금을 달리 받으면서 내 경우엔 1년에 $200은 되는 것 같다.

이런 저런 방법을 고민하다가
결국에 방송통신대에 입학(!)을 하기로 하고 원서를 넣었다.
방송통신대의 학생 이메일 계정으로는 구글 드라이브를 무제한 용량으로 쓸 수 있다고 하여서.
방통대 등록금을 고려해도 남는 것이라서
한번 해보기로 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한번 발을 들이니 그만두기가 어렵다.

2017-08-05T20:49:34+09:00Sat 05 Aug 2017 8:49 PM|

나이 든 사람들이 사업을 차렸을 때 쉽게 망하는 이유

“나이 든 사람들이 사업을 차렸을 때 쉽게 망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글이 있어서 읽어보았다.

요약하면,
1. 이미 갖추어진 시스템을 기반으로 관리를 해온 사람이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환경에서 새로이 만드는 것이 어렵고
2. 안목과 경험이 시장의 흐름과 괴리되어있기 때문
인데

내 생각엔 1은 맞고 2는 동의하기 어렵다.
안목은 나이가 들어서, 혹은 나이에 따라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냥 사람 개인의 역량 문제라 생각한다.

2017-08-03T22:38:14+09:00Thu 03 Aug 2017 7:34 PM|

투기와 투자

아래 기사를 읽으면서 그 인식 수준에 깜짝 놀랐다.

1. 투기와 투자는 뭐가 다르다고 생각하는걸까?
2. 주식을 보유한 사람이 주식에서 돈을 벌어, 그 번돈을 가지고 주식이 오르리라는 기대를 가지고 주식을 더 사면 그건 투기이고 사재기이고 나쁜 것일까?

아무런 생각없이 “투기”라 지칭하고 비난하지만,
그 “투기”는 사실은 투자일 뿐이라는 것을 왜 인정하지 않으려 드는 것일까.
그렇다면 그 “투기”는 비난받고 제재해야 마땅한 나쁜 짓인가?

이런 내용을 정부 (이번 정권에 한하지 않는다)와 일반 국민들은 생각이나 해봤는지 모르겠다.


김현미 “집, 투기수단 전락 용납지 않을 것”

기사입력 2017-08-02 13:30 | 최종수정 2017-08-02 13:40 기사원문

“투기세력, 아파트 사재기…서울 투기과열지구·강남4구 투기지역 지정”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2일 “정부는 집을 거주공간이 아니라 투기수단으로 전락시키는 일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실수요자 보호와 단기 투기수요 억제를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브리핑을 통해 “공급된 주택은 실수요자에게 우선 돌아가야 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과거 10년 통계를 보면 주택공급이 큰 폭으로 늘고 있는 추세”라면서 “그러나 자가보유율과 점유율은 60%를 밑도는 수준에서 정체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급은 늘고 있는데 집을 많이 가진 사람이 또 다시 집을 사들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서민들은 평생 벌어도 내 집 마련은커녕 전월세가격 인상률도 따라잡지 못하는데 한편에서는 ‘아파트 사재기’가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장관은 “서민주거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내수시장이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은 환상이고 집값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제성장률은 숫자에 불과하다”면서 “실수요자를 위해 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청년 신혼부부 등 취약계층을 위한 임대와 분양주택 건설을 위해 공공택지를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주택자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며 “임대소득에 대한 납세의무를 확대하기 위해 세제, 기금, 사회보험 등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한편 자발적 등록이 저조할 경우 임대주택 등록 의무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공급 확대 방안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그린벨트 해제 등을 통해 새로운 공공주택지구를 확보하고 공적임대주택 연간 17만가구 계획 중 60%를 매년 수도권에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린벨트나 기존 공공주택지구를 활용해 신혼부부를 위한 분양형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신혼희망타운을 조성해 전국적으로 5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오늘 대책은 더 이상 투기를 좌시하지 않고 실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메시지”라며 “실수요자 중심 주택시장 관리를 주택정책의 핵심기조로 삼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7-08-02T14:22:15+09:00Wed 02 Aug 2017 2:22 PM|

클라우드 로봇

일본의 서비스 소개인데
PC에서 하는 클릭, 복사, 붙여넣기 등을 하는 단순 반복 작업을 로봇으로 해결한다는 것인데
창의적이기도 하면서 break-through technology라는 생각도 든다.

이런 것이 tech company이지
우리나라는 전화가 아닌 영상통화로 영어 가르치는 거나 인터넷 강의 업체 (에듀 테크)
식재료 온라인 배달 주문 서비스 (푸드 테크)도 “tech”를 붙이는 황당한 허세를 부린다.

기술을 기반으로 하지 않은 사업이 어떻게 tech인지 잘 모르겠다.
스스로 tech라 부르는 그 용기와 무지가 대단해보인다.

https://www.biztex.co.jp/


비즈텍스(BizteX)는 단순 반복 작업을 로봇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해주는 클라우드형 서비스다. 비즈텍스가 내건 컨셉트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산업용 로봇이 공장을 자동화했듯 평소 업무 중 발생하는 루틴 워크, 정해진 일을 소프트웨어 로봇에 학습시켜 사람을 대신해 일해주게 한다.

최근에는 자동화나 효율화라고 하면 API 연계란 말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API 연동을 통한 자동화는 다른 서비스에서 얻은 데이터를 시스템이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해 복수 서비스를 자동화한다. 이에 비해 비즈텍스가 내건 RPA는 클릭이나 복사, 붙여넣기 등 인간이 키보드와 마우스로 행하는 동작 흐름을 로봇이 기억하게 해 자동화한다는 게 다르다. 예를 들면 구글에서 현대자동차 주가를 매일 확인해 엑셀에 입력하는 것 같은 반복 작업을 자동화한다면 일련의 과정을 로봇에 기억시킨 다음 매일 반복 수행할 수 있게 설정한다. 마치 로봇이 PC 앞에 앉아서 직접 마우스와 키보드로 작업을 하는 느낌인 것.

비즈텍스가 제공 중인 RPA 서비스인 코비트의 가장 큰 특징은 클라우드형 서비스라는 점이다. 코비트는 또 비슷한 RPA 서비스와 견줘도 도입이 쉽고 초기 비용도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비즈텍스 측은 코비트를 정식 출시하면 월 10∼30만 엔 사이 종량 과금제를 채택할 예정. 하지만 경쟁 서비스보다는 저렴한 편이다.

물론 비즈텍스의 클로즈 베타 테스트에 참여한 기업 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비즈텍스 대표 시마다 미츠토시(嶋田光敏)에 따르면 대기업이나 금융계 기업 등 여러 업종이나 업무에 시험 도입까지 얘기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코비트는 또 비기술적 인력이라도 로봇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코비트는 브라우저 내에서 실제 동작을 시연하면서 입력이나 버튼 누르기 같은 동작 단계를 클릭해 추가, 간단하게 로봇을 만들 수 있다. 코딩을 몰라도 충분히 조작할 수 있을 만큼 쉽다는 설명이다.

다만 클라우드여서 생긴 단점도 있다. 보안 문제도 이 중 하나다. 로봇을 웹사이트에 로그인하도록 하려면 아이디나 암호를 코비트 서버에 올려야 한다는 점에서 불안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비즈텍스 측은 클로즈베타 테스트에 참여한 기업 누구도 우려를 제기하지 않았다며 안전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SaaS 업계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클라우드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38.8%가 보안에 불안을 느낀다는 점을 들고 있다.

그럼에도 비즈텍스의 경우 반복 작업이 대부분이어서 보안에 민감한 작업이 아닐 수 있다. 반복 작업을 간편하면서도 저렴하게 자동화하겠다는 욕구는 충분하다는 것이다. 범용적 업무일수록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는 RPA 역시 클라우드화 가능성이 높다고 풀이할 수 있다.

비즈텍스는 최근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제네시아벤처스로부터 투자금 4,000만 엔을 유치했다. 비즈텍스 측은 이 자금을 개발 인력 충원과 모객에 쓸 예정. 또 베타테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모은 다음 A라는 작업을 못하면 대신 B를 하는 식의 조건 분기를 로봇이 자동 추정하는 기능도 구현할 계획이다. 코비트는 8월말 정식 출시된다. 비즈텍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7-08-02T13:21:59+09:00Wed 02 Aug 2017 1:18 PM|

애정하는 키보드들

컴퓨터를 처음 만진 것은 1988년, 초등학교 5학년 때였다.
은행 다니시던 아버지가 컴퓨터 부품을 조립/판매하던 거래처에서 파는 XT컴퓨터를 한 대 사주신 것이 시작이다.

지금 생각하면 나에게 그런 길을 열어준 아버지가 무척 감사하다.

그리고 얼마되지 않아 인체공학/내츄럴 키보드로 바꾸었고
(아마 MS에서 팔았던 첫번째 내츄럴 키보드가 아니었나 싶다)

그리고 나선 MS와 로지텍에서 나온 이런저런 내츄럴 키보드를 써오다가
회사에선 아래의 것을 써왔고 (집에 보관중)

집에서는 이것을 쓰고 있다.

인체공학 키보드가 타이핑을 오래 해도 팔목에 부담이 없어서 정말 사랑했는데
특히 나의 경우엔 Del, Ins, Home, End 키의 배열이 요즘 주로 판매되는 형태가 아닌
위와 같이 세로로 긴 형태에 익숙해서 계속 그것만을 찾는다.
그런데 요즘 저런 형태의 키구조는 거의 판매되지 않아서 다시 사기도 어렵다.
기존 키보드들은 모두 단종되어 이베이에서나 구할 수 있을 정도다.

이번에 방콕에 가면서 손이 편한 키보드를 찾아 아래의 신형 키보드를 구매했는데
팔목은 편할지 몰라도 키 배열이 너무 듬성듬성 배치 & 너무 큰 크기 & 키 크기가 제각각 & 새로운 키보드 & 너무 작은 펑션키 때문에
오타가 많이 나고 있다.
인체공학적으로 만든 것은 알겠는데 너무 있어보이게 (쿨하게) 만들려고 한 것 아닌가 싶을 정도.

집의 키보드가 그립다.

2017-08-02T13:13:09+09:00Tue 01 Aug 2017 7:19 PM|

Back to Bangkok

방콕에 돌아왔다.

사업 관련해서 부모님의 반대에 부딪힌 상태라
마음이 많이 무거운 상태로 비행기를 탔다.

사실 마음이 괴로워서 2시간 밖에 안자고 비행기를 타서인지
비행기에서 거의 3시간은 잠들었던 것 같다.

5일 일정으로 아내는 방콕에 같이 왔고
나는 남은 한달을 방콕에서 지낸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몇가지 좋은 아이디어가 생겼다.

Deal structure를 다르게 가져가는 방법과 risk룰 줄이는 방법이다.

p.s. 와이파이 전화기를 가져왔는데 외국에서도 잘 된다. 정말 다행이다.

2017-08-01T18:54:59+09:00Tue 01 Aug 2017 6:35 PM|

9월로 넘겼다

고민을 며칠간 하다가

7월말에 급하게 계약을 하기보다
8월동안 방콕에 머물면서 좀 더 생각을 해보고
9월초에 돌아와서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시간은 나의 편이라는 점이 다행스럽고
억지로 무리할 필요가 없다.
그러면 꼭 탈이 나더라.

순리대로 하자.

대신…지난 6월보다, 이번 8월을 보다 가치있께 써야한다.

2017-07-29T02:48:43+09:00Sat 29 Jul 2017 2:48 AM|

프랜차이즈 마진 공개

공정위에서 프랜차이즈 본사의 마진을 공개하라고 한다.

황당하다.

그럼 백화점에서 파는 에르메스, 샤넬, 루이비통도 원가 공개하고
떡볶이 파는 노점도 원가 공개하라고 하고
애플에게도 아이폰 원가 공개하라고 하지?

개인의 소비나 프랜차이즈 계약 역시 사적인 계약이다.
자신에게 유리하다, 가치가 있다, 합리적이다 싶으면 계약을 체결(구매)하고,
불리하다, 가치가 없다, 불합리하다 싶으면 계약 안하면(비구매) 된다.

자신의 의지로 계약을 해놓고서는 공정하지않다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된다.
그걸 정부에서 관여하여 마진을 공개하라고 윽박지르는 것이야 말로 시장경제를 해치는 위반 아닌가?

도대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겠다.

2017-07-29T02:45:50+09:00Sat 29 Jul 2017 2:29 AM|

Ten Years After Going Public, Blackstone Stock Hasn’t Budged

Blackstone이 기업공개를 한지도 벌써 10년이 지났나보다.
10년간 연평균 수익률이 7%밖에 안된다는 점은
2007~2008년 global financial crisis를 고려하더라도 매우 실망스러운 수준이다.

뉴욕타임즈 기사.


Ten Years After Going Public, Blackstone Stock Hasn’t Budged

n a sense, Blackstone is back where it started. On June 22, 2007, at what turned out to be a market peak, Steve Schwarzman and Pete Peterson took their private equity firm public in a ballyhooed transaction that inspired rivals to do the same. A decade on, the firm’s units are trading just above their $31 price ahead of their New York Stock Exchange debut. A better result over the next 10 years could require Blackstone to financially re-engineer itself.

Even including dividends, assumed reinvested to derive a total return, Blackstone’s performance has been just ordinary. At about 7 percent a year since the initial public offering, its stock has fared no better than the Standard & Poor’s 500-stock index, and at a much higher risk. The firm has roughly $360 billion to deploy into buyouts, real estate and credit on behalf of pension and sovereign wealth funds, and that has historically generated at least twice as much return for the investors in the funds Blackstone runs.

And while Blackstone units have outperformed the 1.2 percent total return delivered by shares of the Wall Street blue-chip Goldman Sachs, they’ve badly lagged some best-of-breed money managers, including BlackRock, the mutual and exchange-traded fund behemoth, and Berkshire Hathaway. Warren E. Buffett’s conglomerate makes for an apt comparison in that it’s an investment akin to owning a slice of both Blackstone’s publicly traded units and a piece of each of the companies held by its funds.

Public Benefits

Inside 32-year-old Blackstone, the stock performance isn’t the main measure of the I.P.O.’s success. Simply going public conferred a certain brand status, particularly overseas. Selling a big slug of the new units to China Investment Corporation also paid off. China Investment gritted its teeth through a share-price decline of nearly 90 percent at one stage and helped Blackstone forge relationships with other pools of capital in the People’s Republic. Over the years, the firm has sold more than $30 billion of its holdings, including stakes in Hilton Worldwide and the European warehouse owner Logicor, to Chinese buyers. And Mr. Schwarzman established a unique scholarship program at Tsinghua University.

The units also provided a currency to reward employees and expand the firm. For example, less than a year after the listing, Blackstone used units to help fund the acquisition of GSO Capital Partners, which significantly enlarged its credit-investment arm. Since going public, Blackstone has quadrupled its assets under management while increasing its work force less than threefold, to about 2,100.

That’s a measure of the economies of scale Mr. Schwarzman and his right-hand man, Tony James, have produced, with the right people to help them. They’re not alone, though. Over the same span, Larry Fink’s far larger BlackRock has nearly quintupled the amount it oversees, to some $5.1 trillion, with two and a half times the staff, now numbering 13,000.

Opening its books to public scrutiny also may have made it easier for Blackstone to get a credit rating. That in turn has allowed it to borrow and to entice incoming fund investors with an extra demonstration of its financial robustness.

Perception vs. Assertion

Nevertheless, it is the stock market perceptions of Blackstone that perplex Mr. Schwarzman, who routinely complains about them. Merely putting its profit on the broad average price-to-earnings multiple would make it a roughly $50 stock, he recently argued. If instead of its recent dividend yield of about 8 percent the units were priced on the S.&P. 500 average payout of a little over 2 percent, they’d fetch over $100 apiece, he claimed. With Blackstone’s current market capitalization at about $40 billion, that would represent a huge markup for investors.

Despite years of trying to educate outside investors, and the subsequent I.P.O.s of rivals such as Apollo, Carlyle and KKR, portfolio managers are reluctant to ascribe much value to private equity’s secret sauce, which is generating profit on investments and collecting a cut. Instead, it is steady management fees of 1 to 2 percent on assets that are coveted.

This attitude favors investment managers who worry more about gathering assets than making money for those who invest in them. Blackstone did say from the start that its main goal would be making money for limited partners in its funds, a group that includes its own senior people, rather than for investors in the firm’s publicly traded units. The trouble is that when the profit does flow through to unit holders, they don’t value it as highly as they might.

Paths to Growth

Such an unchanging mind-set suggests that if Blackstone is genuinely eager to see its stock rise more strongly in the next decade, it may take more than Mr. Schwarzman thumping the table. One option could be to pay a fixed annual dividend rather than a variable one based on performance. It’s a solution that could perversely mean giving back less to unit holders than the firm has of late, but it might help assuage investor fears about the lumpiness of returns.

Any excess funds stockpiled also could be used to buy back units, thus enabling Blackstone, in theory at least, to nudge up their price. One case study is not encouraging so far, though. KKR unveiled such a plan in October 2015 and has not benefited much in terms of its stock price.

An even bigger Blackstone makeover might have a greater effect. Converting the firm from a partnership to a more conventional sort of corporation would garner considerable attention. For one thing, it would make its stock eligible for entry into indexes, thus attracting many index-following funds that would be forced to buy them. Investors who are currently put off by the firm’s complex partnership structure and paperwork might consider putting their money into a simpler Blackstone that has shares, not units, and pays regular corporate taxes rather than passing untaxed income through to unit holders.

Making such a radical restructuring financially worthwhile, however, could require a reduction in business tax rates in the United States . In one of his other roles, Mr. Schwarzman is serving as a consigliere to President Trump, who says he is eager to cut taxes. The association may provide a modest advantage. More likely, Blackstone and its leadership team will have to find one for themselves.

2017-07-28T23:48:47+09:00Fri 28 Jul 2017 1:34 AM|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