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ts

도쿄 2일차

내일이면 베를린까지 30시간이 다 될 기나긴 비행을 시작해야한다.

오늘은 긴자를 벗어나 하라주쿠/시부야에 갔다.

하라주쿠에서 현금만 받지만 대신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드럭스토어에 들려서 동전파스를 샀고
중간중간 사진도 찍고 시부야까지 천천히 걸었다.

애정하는 Jins라는 안경샵에서 (우리나라로 치면 ALO나 룩앤옵티컬 같은 곳)
안경 2개를 샀다.

하나는 빈지티 스타일 (1960년대인가 그렇다)로 새로 나온 것과
다른 하나는 정샘물 메이크업 전문가가 쓰는 것과 비슷한 작은 뿔테 안경. 이건 처음 시도해본다.

우리나라의 룩앤옵티컬이나 ALO도 나름 잘하고 있겠지만
Jins를 보면 왜 이렇게 못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Jins는 안경 내에서도 진보를 이뤘다.
안경 렌즈의 경우에도 Screen이라 해서 UV차단하는 기능을 넣거나, 눈의 건조를 방지하거나 책 읽기에 좋거나 스마트폰의 푸른색을 방지하는 렌즈를 별도로 판매한다.
안경 렌즈 깎는 것을 보았는데 완전 전자동이었다. 안경 렌즈를 로봇이 운전하더라.
안경에는 제품 코드 스티커가 붙어있어서 식별이 쉬웠다.
그냥 새로운 제품을 내놓는게 아니라, 1950년대~1980년대 유행하던 스타일이라고 하면서 내놓는다. 즉 같은 제품을 내놓아도 내놓는 포장과 그릇이 다른 것이다.
고객이 달리 받아들이는 것 역시 당연하다.
고객을 바라보고 마케팅한 결과가 아닐가 싶었다.

다른 한 편으론,
하라주쿠 거리를 걸으면 나오는, 요즘 일본 10대에게 가장 핫한 브랜드 중 하나인
한국의 스타일난다(STYLENANDA)에 사람이 북적이는 것을 보며
정말이지 사업의 성패를 예상/예측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다시 깨닫게 된다.
내가 아는 것이, 내가 배운 것이, 내가 생각한 것이 전부가 아니다.

아래는 오늘 찍은 사진 한 장.

2017-10-01T00:41:49+09:00Sun 01 Oct 2017 12:22 AM|

Global Earthquake Animation

2001년 이후 지진 분포도라고 하는데
정말 지구에 무슨 일이 벌어지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된다.

2017-09-29T23:34:48+09:00Fri 29 Sep 2017 11:34 PM|

도쿄에서

28일에 도쿄로 왔다.

인천 – 도쿄 (3박) – 아부다비(경유) – 뮌헨 (경유) – 베를린 (1박) – 레이캬비크(아이슬란드)의 일정이다.

집 떠난지 9시간이 되어서야 겨우 긴자에 위치한 이 호스텔 (캡슐 호텔)에 올 수 있었다.
14kg 짜리 짐 2개 + 카메라 전용 캐리어 + 무거운 삼각대 + 백팩을 이동시키느라 진이 다 빠진다.

한달만에 다시 온 도쿄는 익숙하기도 하고 반갑기도 하고 그렇다.

도쿄에서 아이슬란드 여행계획과 정비를 하기 위해 들린 것이라
일정 조급하게 잡지않고 있다.

어제는 세안제와 헤어젤을 샀고
오늘은 유니클로에서 밤에 잘 때 입을 츄리닝 바지를 사고
긴자에 Monocle cafe라는 곳에서 카메라 외부를 봏할 테이프를 붙였다.
(잡지 모노클에서 운영하는 카페같았다. 백화점 지하에 있는데 조용하고 한적하고… 지하라서 외부 풍경을 못본다는 것 빼고는 흠잡을 데가 없었다)

땅값 비싼 긴자에도 실속있는 음식들은 많이 있었다.
길가다보니 400엔~500엔짜리 밥/면 요리들이 많이 팔리고 있었다.

편의점도 브랜드마다 특성이 있었던 점이 흥미로웠다.
이를테면, 로손은 디저트류에, 패밀리 마트는 커피 PB상품이 강세였다. 경쟁이 치열할 편의점 업계에서 왜 상대의 강점에 대응하여 자사 상품군을 보완하지않는지 궁금하긴 했다.
Pronto라는 커피전문점은 오후 5시부터 음식과 술을 파는 바 & 레스토랑으로 바뀐다. 우리나라와 달리 저녁에 커피를 잘 마시지않는 일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매출 확보 방안인 것 같다.

도쿄에서 한달 살아보는 것도 괜찮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도미토리에서 자면서 식사도 현지인들 먹는 것처럼 저렴하게 하면 생활비는 충분히 control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래 사진은 네이버 어느 블로그에서 극찬한 로손의 모찌크림케익. 편의점 케익치고 나쁘지않았으나, 그 블로그에서 적은 것처럼 이것때문에 일본을 올 정도는 아니다.

2017-09-29T23:04:54+09:00Fri 29 Sep 2017 11:01 PM|

주식회사 설립

계속 해오던 P2P 투자가 있었는데
최근에 금융위 규제로 개인 투자 한도가 생기면서

이를 해소하기위해서 기타 금융업 (기타 금융투자업)으로
주식회사 법인을 만들고 사업자등록을 냈다.
법인은 한도 제한이 없다.

주식회사를 많이 보아왔지만,
주식회사를 직접 법무사 도움없이 만들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소 생소했지만 생각보다 어렵진 않았다.
신청 이후 절차를 잘 몰라서…법인 인감, 전자 카드 등이 익숙치않아서 서초동을 두번정도 오가는 불편은 있었지만.

사업자등록증을 만들기위해
세무서에 신청을 했더니,
별도의 사무실 임대 없이 집을 사업장으로 한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하지만 거부할 근거는 없기에 2일만에 그냥 승인해주더라.

법인은 개인과 분명히 다르다. (법인격이 다르다는 표현을 쓰던데)
1인 주주에 1인 대표이사인 개인회사이지만
엄격하게 구분할 생각이다.

2017-09-27T03:01:22+09:00Wed 27 Sep 2017 3:01 AM|

아파트 순회공연

작년말 우리 아파트의 청소/경비 용역 입찰이 있었는데
관리업체가 또다시 청소/경비 용역 입찰에 낙찰되었다.

이상하다 싶어 입찰 자료 사본을 받아서 보니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업체의 잘못으로 (고의인지 과실인지 모르겠으나)
관리업체가 높은 가격에 입찰했음에도 낙찰자로 잘못 선정되었고,
그 결과 원래 낙찰받아야했던 업체 대비 2년간 약 5,000만원의 손해가 발생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입주자대표회의에 항의도 하고 안건 제시도 해보았지만
묵묵 부답 또는 사실 관계 부인을 하길래

입주자들을 모아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하기로 했다.
오늘은 연락을 준 입주자들 댁에 방문하여 소송 진행을 위한 서명을 받았다.

입주자들은 젊은 사람, 연세가 지긋한 사람 등 연령, 성별 모두 다양했지만
땀을 뻘뻘 거리면서 5개 동을 다니며 서류를 받는 나에게
따뜻한 인사와 힘내라는 말을 건내주었다.
무슨 소문이 퍼졌는지, 문제제기 글을 논리정연하게 썼다며 컨설팅 출신이냐, 글 쓰신 거 보니 big firm인 것 같다고 하시는 분도 있었다.
어떤 분은 잠시 기다리라고 하더니 조그마한 정관장 홍삼 휴대용 케이스도 주었다.
물 한잔 주시는 분도 계셨다.

각박한 세상이라지만 마음이 따뜻해졌다.
그들을 위해서라도 이번 소송에 꼭 이길 생각이다.

특히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오늘 답변이라고 보내온 것을 보면서
약 몇분간 깊은 빡침(!)이 있었으나 나도 바쁘니 마음을 다스리고, (이런 것에 마음 쓰면 안된다)
이 사람들은 소송을 당하여 정신을 차리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과 부딪히는 것은 유쾌하지않다. 상당히 불편하고 마음도 무겁다.
특히 불의, 부정와 맞설 때에는 더 그러하다.
그래도 바로잡으려면 앞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다.

정말 바보 같다. 자신들이 잘못을 했는데, 그 잘못을 인정하지못하고 자신들의 엉뚱한 주장을 서면으로 보내다니.
법정에서 증거자료로서 불리하게 적용될 뿐인데.

정말 어리석다.

2017-09-23T21:19:05+09:00Sat 23 Sep 2017 12:29 AM|

마음이 편치가 않다.

요즘 들어 마음이 편치가 않다.

아이슬란드 여행 준비는 거의 한 것이 없는 상태에서
(단순 스케줄 뿐만 아니라 옷 준비까지)

너무 많은 일들을 한꺼번에 처리하다보니
부담이 많이 된다.

그래서인지 표정이 밝지 못하다.

2017-09-22T03:16:34+09:00Fri 22 Sep 2017 3:16 AM|

Crunch

9월말에 여행도 가야하는데
이것 저것 정리하고 결정하고 가야할 것들이 너무 많아서

마음이 많이 불편하다.

이런 경우에는 리스트만들고 우선순위화해서
빨리 빨리 리스트를 지워나가는 작업을 해야하는데
쉽지가 않다.

특히 대단치 않은 일을 미루지말고 바로바로 결정하고 처리해야하는데
그걸 요즘 못하고 미적댄다.

방금 재산세는 며칠 미루다가 냈다. (내가 싫어서)
예전에 한번 이런 공과금 내는 것 미루다가 추가금 낸 기억 이후로
세금, 공과금은 고지 나오면 바로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7-09-20T01:39:00+09:00Wed 20 Sep 2017 1:39 AM|

Alibaba’s smart warehouse

70% 가량의 일을 로봇이 한다는 알리바바의 물류센터
정말 다른 세상이 오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2017-09-20T00:47:13+09:00Wed 20 Sep 2017 12:47 AM|

카메라 중고 거래

쓰던 카메라를 팔고 다른 카메라를 샀다.
굳이 따지면 급이 낮은 카메라로 바꾼 셈인데,
새로 바꾼 카메라가 좀 더 원래 목적에 부합한다. (고화소, 고해상도 사진 등)

나름대로 가격을 낮춰서 내놓았다고 했는데도
카메라를 내놓고 3주가 다 되어가도록 사겠다는 사람의 연락도 아예 없어서
이걸 어떻게 해야하나 마음이 많이 무거웠었는데

오늘 연락이 닿아서 구매자 마음 바뀌기전에(!) 수원으로 차를 몰고 카메라를 팔았다.

그동안 속상했던 마음이 많이 편안해졌다.
보다 가벼운 마음으로 떠날 수 있게 되었다.

팔게 되었다는 것이 다행스럽고 기쁘면서도
미국 서부와 쿠바를 같이 다녔던 참 좋은 카메라인데 막상 떠나보내려니 아쉽다. 정이 많이 들었나보다.

잘가.

지난번도 그랬듯 구매자에게 부탁하여 사진을 한장 찍어달라 했다.

2017-09-19T02:04:51+09:00Tue 19 Sep 2017 2:04 AM|

KOREAT

코릿이라고 해서
광고대행사 웰콤과 제주관광공사가
외식업계 종사자와 전문가 100명이 선정한
레스토랑들을 소개하는 사이트가 생겨서 한번 보았다. (이름은 참 잘 지었다)

http://www.kor-eat.com

막연한 예상과 달리
내가 가본 음식점이 이 리스트에서 무척이나 적다는 것이 다소 의외였다.

기껏해야 스시조, 을밀대 그정도인 것 같다.
특히 한식 파인다이닝은 거의 접해보지않은 것 같고.

2017-09-17T00:16:09+09:00Sun 17 Sep 2017 12:15 AM|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