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사라진 지구의 모습
정말 끔찍하다.
정말 끔찍하다.
대체로 맞는 말이다.
대통령은 지방선거 때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를 못하게되었다며 유감이라 했지만.
난 무척이나 다행스러웠다.
대통령도 국회도 새로운 헌법을 위한 준비가 안되어있었다.
국민도 헌법 수정 내용을 잘 모른채 투표에 임할 뻔 했다.
시간에 쫓겨 급하게 만든 헌법을 국민 앞에 놓지않게 되어 난 좋다.
파이낸셜 뉴스에서 “헌법은 국정철학을 담는 그릇이 아니다”는 제목의 사설을 낸 적이 있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대통령의 “개헌은 무산되었으나 정책(법)으로 최대한 구현하겠다”발언을 보니
그는 정말 헌법을 자신이 추구하는 정책을 정당화/합리화하기 위한 수단 정도로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런 사람에 의해 헌법이 고쳐지지않아 다행이다.
잘못된 사람에 의해 잘못 고쳐질 바에는 차라리 고치지 않는 것이 낫다.
헌법은 우리 사회 내에서 공유하는 철학과 보편적 가치관을 담는 커다란 그릇이다.
좌든 우든 한쪽 방향으로 쏠려서 헌법을 만들어선 안된다.
문 대통령 “지방선거 동시 개헌 국민투표 무산…매우 유감”
연합뉴스 기사전송 2018-04-24 11:25
국무회의서 언급 “국회, 심의조차 않고 국민투표 자체를 못하게 해”
“모든 후보의 대선 약속 못 지키고 국민투표법 방치, 납득 못 해”
정부안 철회 여부엔 “정상회담 후 숙고해 결정”…”정책으로 최대한 구현”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남북정상회담을 사흘 앞둔 24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8.4.24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국회가 국민투표법 개정 시한을 전날 넘기면서 6월 지방선거와 동시 헌법개정 국민투표가 사실상 무산된 데 대해 강한 유감 의사를 표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국민투표법이 끝내 기간 안에 결정되지 않아 지방선거와 개헌 국민투표의 동시 실시가 무산되고 말았다”며 “이로써 이번 지방선거 때 개헌을 하겠다고 국민께 다짐했던 약속을 지킬 수 없게 됐고, 국민께 매우 유감스럽고 안타깝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국회는 대통령이 국민의 뜻을 모아 발의한 헌법개정안을 단 한 번도 심의조차 하지 않은 채 국민투표 자체를 할 수 없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지방선거 동시 개헌은 저만의 약속이 아니라 우리 정치권 모두가 국민께 했던 약속인데, 이런 약속을 마치 없었던 일처럼 넘기는 것도, 또 2014년 7월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위헌법률이 된 국민투표법을 3년 넘게 방치하고 있는 것도 제 상식으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와 같은 비상식이 아무런 고민 없이 그저 되풀이되는 우리의 정치를 저로서는 이해하기가 참으로 어렵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제가 발의한 헌법개정안에 대해서는 남북정상회담 후 심사숙고해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다만 제가 발의한 개헌안은 대통령과 정부를 위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국민 안전과 생명보호 등 기본권 확대와 선거 연령 18세 확대와 국민 참여 확대 등 국민 주권 강화, 지방재정 등 지방분권 확대, 삼권 분립 강화 등 대통령과 정부의 권한 축소를 감수하자 하는 것”이라며 “이런 개헌안의 취지에 대해서는 개헌과 별도로 제도와 정책, 예산을 통해 최대한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를 위해 정부 각 부처에 특별히 당부드린다”며 “부처별로 개헌안의 취지를 반영한 제도·정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추진하는 게 개헌을 통해 삶이 나아질 것을 기대했던 국민께 대한 도리”라고 강조했다.
honeybee@yna.co.kr
(끝)
일이 잘 안풀린다.
이미 안풀린지 3달이 지났는데
상대가 아주 고약한 태도를 보인다.
계약서가 이런 downside scenario를 예상하지못하여
downside protection이 별로 없다.
결국 계약서가 잘못 만들어졌다는 말이다.
인내에도 한계가 와서, 강공으로 나갈 수 밖에 없다.
여기까지 오는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었고
빠른 길을 굽이굽이 돌아서 왔는데
앞으로 남은 장벽들을 보니 한숨이 나올 정도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고 일찍 자야겠다.
LinkedIn에서 동영상이 있길래 들어보았다.
good insight.
#1 MARKETING IN THE MOMENT WE LIVE
The number one piece of advice I have for salespeople is you have to market in the moment we live. You have to reverse engineer consumer attention and deploy all of your time, energy and resources into producing content for that specific behavior.
It’s just binary. No one in the world reads billboards anymore when they are driving down the freeway. Most people check facebook during a commercial. The statistics are in…. People spend 5 hours a day USING their mobile devices.
You have to create content where the attention actually is ?
It’s the #1 secret to success.
#2 AUTOMATION IS NOT THE ANSWER
A stunning amount of people reading this article are not going to be successful in sales, because they’re not willing to work hard enough. They love the automation. They love all these tools, and bots, and auto-replies and apps and services and startups and CRM’s that they think are going to solve the problem. But the truth is, sales is about people. You have to build relationships first. You have to put yourself in your customer’s shoes and empathize with their position. No app is going to teach you that.
#3 USE THE RIGHT TOOL FOR THE JOB
The problem is, if you have the greatest hammer, and the greatest screwdriver, and the greatest wrench, but you don’t use them properly, you will lose.
It’s all about context. You never use a hammer when you could have used a wrench. You need to know when to deploy the right methodology for the opportunity at hand. Where is your audience and what do they actually do? Is Snapchat the right tool for the problem? Is email the best way to reach your audience? Is event marketing and in-person interaction the best solution to create an experience for your brand?
These are the things you need to figure out. You need to know what you are trying to accomplish and reverse engineer your outcome. When is it the right time to use a geo-filter, when is the right time to use facebook, or influencers, or instagram?
You have all of these tools but your context is wrong. You have to treat each platform as it’s own unique experience and you have to understand how to market and sell* on each.
Let’s use Pinterest as an example.
Why do people use Pinterest over Instagram?
Because they are either planning something or have a strong intent to buy. It’s a very different behavior that requires a different strategy and unique set of tools. Understand this and you will win.
#4 CREATE MORE CONTENT. THERE DOESN’T NEED TO BE SALES OBJECTIVE FOR EVERY PIECE OF CREATIVE.
In 2017, there is zero excuse not to be creating content around your product, service, company or brand.
Because of the iPhone and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anyone can produce and distribute. Just 15 years ago, if you wanted to create a commercial to promote your brand, you would need to spend hundreds of thousands of dollars on media and marketing. Today, you can literally use your smartphone, record a 2 minute clip and run ads on Facebook. The cost of entry has dropped 100 fold.
Instead of trying to sell, you now have the luxury of creating entertaining or utilitarian content as the gateway to the long term relationship. The content you produce doesn’t even need to be related to your product. You can post your favorite articles saying “these are the articles you need to read” You can post about the weather, the news, your users, yourself! As long as you are focused on bringing value to the end consumer, you are going to build reputation and relationship.
This is the key. No sale required.
#5 ADAPT – DON’T COMPLAIN!
GUYS! THE MARKET IS THE MARKET IS THE MARKET.
The fact of the matter is, you don’t get to dictate where the market places it’s attention. You don’t get to decide whatever 13 to 25 year olds want to do with their hair, their clothes, their bodies, their cell phones, their friends, their time, their money. You just have to observe and react.
If every 14 year old in America spends 8 hours a day on Snapchat or Musical.ly or Instagram, you don’t get to decide. You just have to accept the facts. You have to accept that truth.
And if you are intelligent, and you understand that you have no control over THE MARKET, then you begin thinking about where the potential upside is. There’s nothing I can do about the fact that people like taking selfies. Now, as I contemplate that, what would be a good business idea to arbitrage that opportunity? That is exactly how Snapchat was born. It’s the truth and there’s nothing you can do to stop it.
기사를 보면서 내 눈을 의심했다.
금융위원장은
아직 관련법 처리가 되지도 않았고 국회에서 계류중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삼성생명에게 삼성전자 지분을 알아서 팔라고 경고하고 있다.
현재 기준으로 위법 행위가 일어난 것도 아닌데
금융위원장이 어느 기업을 대상으로 ‘법이 개정을 아직 한 것은 아니지만, 바뀐 기준으로 알아서 기어’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
법치주의와 시장경제 원칙에 맞는 행동일까.
정말 한심하다.
삼성생명 주주가 들고일어나지 않는 것이 신기하다.
달라진 최종구 “삼성생명, 삼성전자 지분 처분” 요구
[삼성생명 보유 전자지분, 재점화]① 보험업법 개정 전 자발적·단계적 개선 방안 마련 요구…당황한 삼성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1월15일 오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혁신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의 자발적 매각을 요구하고 나섰다. 국회에 상정된 관련법 처리를 지켜보자는 입장에서 급선회했다. 이는 ‘재벌 총수일가 전횡방지 및 소유지배구조 개선’이란 국정과제는 물론 금융개혁을 강조해온 문재인 대통령의 의중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청와대와 교감한 내용으로 보인다.
최 위원장은 지난 20일 열린 간부회의에서 “관련 법률이 개정될 때까지 해당 금융회사가 아무런 개선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국민의 기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며 삼성생명을 겨냥했다.
국회엔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을 매각하도록 하는 보험업법 개정안이 다수 발의돼 있다. 보험사의 주식보유 제한기준을 은행, 증권, 저축은행 등과 마찬가지로 시가평가로 변경하는 내용이다. 현재는 보험업만 보유주식을 취득원가로 평가한다.
보유주식 평가를 시가로 전환하면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8.23%) 가치가 급등한다. 이에 따라 삼성생명이 ‘총자산의 3% 이내’로 제한된 대주주 발행주식 보유규정을 지키려면 삼성전자 지분 20조원어치를 매각해야 한다.
금융위는 그동안 국회에 관련법안이 제출된 만큼 국회의 결정에 따른다는 중립적인 입장이었다. 하지만 최 위원장이 이날 간부회의에서 “소액주주 등 다수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영향, 주식시장 여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풀어야 할 문제”라고 전제하면서도 “법 개정 이전이라도 금융회사가 단계적·자발적 개선조치를 실행토록 필요한 방안을 적극 강구하라”고 지시하면서 선제적 지분매각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고위관계자는 “일종의 넛지(nudge·팔꿈치로 살짝 찌름)”라고 말했다. 넛지는 강압하지 않고 부드러운 개입으로 사람들이 더 좋은 선택을 하도록 유도하는 행동경제학 용어다. 청와대 관계자 역시 “포지티브 캠페인(positive campaign)”이라고 밝혔다. 정부정책 면에서 ‘포지티브 캠페인’이란 법·제도의 강제적 조치가 아닌 자발적 변화를 권유하는 입장을 뜻한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삼성전자 지분처리 문제는 계속 고민하고 있다”며 “당국과 협의하면서 개선방안을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부가 삼성에 해결책을 제시할 수는 없고 삼성이 해결책을 마련하고 시장 충격을 최소화할 방안이 있다면 함께 고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항공 회장 일가의 소위 갑질이 사회문제로 번지고 있다.
심지어 대한항공에서 “대한”자를 빼달라는 청와대 청원까지 등장했다.
(청와대 청원을 왜 하는지 도저히 이해가 안된다)
난 조금 생각이 다르다.
대한항공은 사기업일 뿐이다.
그가 회장 일가든 아니든 폭력을 행사했다면
그에 따라 형사처벌을 받거나 사기업 내에서 징계를 하면 될 일이다.
대한항공에서 회장 일가가 가진 지분은 적다. 지주회사까지 고려해도 과반수가 안된다.
그들이 회사 내에서 100% 주주 못지않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주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을 잘못 행사한다면
주주가 나서서 해당 임원들을 해임하고 형사고발하면 될 일이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신념에 따라 불매운동하고 싶은 사람은 하면 된다.
이것이 국민들이 들고 일어나 청와대에 쟤네들 처벌해주세요, 회사 이름에서 뭘 빼주세요
청원할 일인지 잘 모르겠다.
사회가 이상하게 돌아간다.
(나는 손도 안댔지만)
한창 가상화폐/암호화폐 붐이 불 때에
‘존버’라는 말이 유행처럼 퍼졌다.
‘존X 버틴다'(=평가 손실이 나도 매도하지않고 버틴다)는 말을 줄여서 쓴 것인데
요즘 생각해보니
사업이 그런거 아닌가 싶었다.
주변을 둘러보면 내 상식으로 비춰봤을 때 이건 아니다 싶던 누군가가 벌인 사업도
몇년이고 ‘존버’하여 끝끝내 어느 정도의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보면
나도 방향이 올바르다 생각했다면
실망하거나 싫증내지말고
‘존버’ 정신을 발휘해야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그것이 아집이거나 헛된 욕심이 아니길 바라며.
요즘 들었던 단어중에서 가장 이상한 것은
아이돌 가수에 대해서 “아티스트”
아프리카, 유튜브 등에서 1인 방송 하는 사람에게 “컨텐츠 크리에이터”
였다.
한두군데에서 쓰다가 이제는 모두가 아무렇지않게 쓴다.
남들이 부여한 컨셉에 따라서 남들이 만들어준 멜로디와 남들이 써준 가사를
가창력이라 볼 수 없는 수준으로 노래를 부르는 것이 어찌하여 “아티스트”이고,
몸의 노출이나, 말장난, 자극적인 내용으로 시선을 끄는 것이
어찌하여 “크리에이터”인지
진짜 크리에이터와 아티스트는 어두운 곳에서 묵묵하게 살아가는데.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겠다.
가급적 매년 가려고 하는 행사중에
P&I 2018이라는 사진 박람회가 있다.
5-6년전만 해도 COEX 1층을 모두 쓸 정도로 큰 규모였는데
올해는 무척 초라하게 COEX 1층 A홀만을 겨우 채울 정도였다.
과거 대비하여 삼성, 올림푸스, 파나소닉, 니콘 등 메이저 브랜드가 모두 사업철수, 부진, 경비 절감 등을 이유로 참여하지 않았고
소니와 캐논만이 대형 부스를 마련했다.
사진전도 기존의 1/20도 안되는 규모로 소박하게 차려졌다.
흥미로운(?) 깨달음이라 할만한 것은
그 전시된 사진들을 보다가 생겼는데
어떤 분이 아이슬란드 사진 약 10여점을 한 벽면에 전시한 것을 보고
내가 내 막연한 생각보다 사진을 잘 찍는거였구나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