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ts

기억하기 위해 적는 오늘

사업장들의 현황을 파악하려고 했더니

현장 관리자가 나에게 전화하여
자기를 의심하는거냐, 범법자로 보는거냐
고래고래 소리를 질렀다.

참담한 기분이었다.

주변분들에게 조언도 구해봤다.
경험이 많은 어느 분이 조언해주셨다.
“여기서 멈추면 밀립니다”

그렇다 어차피 각오한 일이다.
마음쓰기보다.
결연히 앞으로 나아가아지.

오늘까지만 우울해하기로 하고.
내일부터 다시 뚜벅뚜벅 걸어나가자.

하지만 오늘은 꼭 기억하리라.
2018년 7월 마지막날.

2018-07-31T23:06:29+09:00Tue 31 Jul 2018 11:06 PM|

통찰력

새벽 4시에 일어나 샤워를 하다

영어로는 insight라고 부르는 통찰력이라는 것을
가지는 것이 참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배운다고 해서, 경험한다고 해서
가져지지않는 통찰력.

생각을 깊이 해보아야만 가능한 것

2018-07-31T05:36:54+09:00Tue 31 Jul 2018 5:36 AM|

박지윤 – 환상

아침 7시 10분 부산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기위해
새벽 6시즈음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었다.

음악 스트리밍은 지니를 쓰는데, Top 200말고
최근 발표된 앨범을 찾아보다가

박지윤의 20주년 기념 콘서트 라이브 앨범이 있어서 들어보았다.

환상.

아….울컥했다.

저문을 열고 걸어들어오는
그대 모습만 아직도 떠오르는걸

발표된지 18년된 노래를 들으며
한 사람이 생각이 났다.

p.s. 앨범 자켓을 정말 잘 찍었다.
언제 기회가 되면 나도 저런 라이팅으로 찍어봐야겠다.

2018-07-30T21:03:37+09:00Mon 30 Jul 2018 9:02 PM|

고민정 부대변인

민정아…
너 거기서 뭐하니.

되도않은 짓 그만 둬.
이런 궤변이나 늘어놓자고 아나운서 그만둔거였어?

침소붕대니, 의도적 흠집내기 이런 소리 안들으려면
그냥 대통령이 아무 광화문 호프집에 들어가서 퇴근 후 맥주하던 사람들 사이에 껴서
자리에 앉았으면 되었을 일 아닌가?

“어떤 질문할 지 알고 있고, 그에 대한 답변도 준비해서 그 각본에 맞춰서 질문과 대답이 오가는 것을 연출”
이라고 한다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취임 1주년 국민과의 대화는 홍보와 달리 100% 연출이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인지?


고민정 부대변인 “침소봉대에 의도적 흠집내기”

청와대는 30일 ‘문재인 대통령의 광화문 호프집 깜짝 시민만남 행사가 연출됐다’는 언론과 야당의 지적에 대해 “의도적 흠집내기”라고 반박했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26일 문재인 대통령이 같은날 저녁 서울 광화문의 한 술집에서 시민들과 깜짝만남을 가진다고 홍보했지만, 다음날 참석자 중 한 명이 지난 대선에서 문 대통령 홍보 영상에 출연했던 사람과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야당에게 “각본에 따른 정치 쇼”라는 비판을 받았다.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은 30일 청와대 제작 SNS 방송 ‘11시50분 청와대입니다’에 출연해 이와 관련 “연출이 들통났다거나 의도적으로 거짓말했다는 것은 한 명의 취업준비생 때문이었다”며 “이 청년이 어떤 사람인지 알면 깔끔하게 정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문 대통령과 동영상 미디어 업체 ‘딩고’는 대선을 앞두고 취업준비생을 격려하는 영상을 제작해 공개했다. 이 영상에는 노량진에서 군무원 시험을 준비중이던 배모(27) 씨가 빨래방에서 문 대통령과 만난 뒤, 이후 두 사람이 소주를 마시며 대화하는 장면이 담겼다. 또 문 대통령이 배씨를 격려하면서 취업후 쓰라면서 넥타이를 선물하는 모습도 담겼다.

고 부대변인은 “그 청년이 (지난 26일) 아직까지 취업을 하지 못해서 취준생으로서 고충이나 어려움 이야기하고자 자리에 참석했다”며 “그런데 한 사람 참석을 가지고 전체를 다 연출했다고 하는 것은 침소봉대가 아닌가, 의도적 흠집내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기사들을 보면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는 것 아닌가, 바늘만한 것을 몽둥이만하다는 것으로 과대 해석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불편함이 있다”며 “본질과 말하는 바를 정확히 이야기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통령이 어떤 질문할 지 알고 있고, 그에 대한 답변도 준비해서 그 각본에 맞춰서 질문과 대답이 오가는 것을 연출이라고 한다”며 “이날의 모든 일정은 공개로 진행됐으며, 참석자 중 어느 누구도 정해진 질문이나 답변 없이 진행됐다는 것은 현장을 취재한 기자들이 잘 알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지난 27일 “세상이 좁은 것인지 아니면 탁현민 행정관의 기획력이 탁월한 것인지 (모르겠다)”며 “언제까지 이런 쇼통으로 국민들의 마음만 가져가려고 하는 것인지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의 지적에 청와대는 의전비서관실에서 배 씨를 특별히 섭외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같은 날 “배씨는 간담회 참석자 가운데 유일하게 문 대통령을 만난다는 것을 알고 왔다”며 “현장에서 만났던 국민들과 다시 만남을 이어가면서 달라진 사연을 청취하는 컨셉이고, 앞으로도 이런 컨셉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지난 26일 오전 저녁 행사를 소개하면서 모든 참석자들이 문 대통령과 만나는 것을 모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야당과 언론의 지적에 앞서 청와대의 착오가 있었던 셈이다. 이에 야권에서는 “연출 논란은 청와대가 말을 바꿨기 때문인데, 도리어 언론 탓을 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30/2018073002163.html

2018-07-30T18:42:50+09:00Mon 30 Jul 2018 6:38 PM|

모든 방면에서 challenge

곰곰히 생각해보니

거의 모든 부문에서 challenge를 받고 있는 것 같다.

일도, 건강도, 개인 적인 생활도, 결혼 생활도
결국은 모두 stress인데
하나씩 하나씩 헤쳐나가야한다는 것은 잘 알지만
얼마나 인내심있게 버텨나갈 수 있을지…자신이 없다.

2018-07-29T18:35:42+09:00Sun 29 Jul 2018 6:35 PM|

내 안에 분노가 가득한 것은 아닐까

문득 내 안에 분노가 가득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떠올려보니,
회사를 인수하고
회사의 대표이사를 맡으며
회사 안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어처구니 없는 상황을 목격하고 겪으면서
화를 내기보다 인내하다보니

분노가 축적되는 느낌이 든다.

결국은 그 많은 문제들을 시간과 노력으로 해결해야지 다짐과 격려를 하지만
그것이 잘못 분출되는 경우를 조심해야할 것 같다.

p.s. 따지고 보면 제대로 되고 있는게 하나도 없다.

2018-07-29T18:19:23+09:00Sun 29 Jul 2018 6:19 PM|

과거 경력을 이용하는 것

새로 창업한 사람들 기사를 보다보면
어떤 회사에서 일하다 온 사람인데 그 때 연봉 대비 1/n에 불과하지만
열정으로 창업하여 일한다는 둥의 내용이 많다.

글쎄…
경력을 이용하여 회사와 개인의 인지도를 높이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나는 아직 세상 물정을 몰라서 그런지…
그런 잣대에서 보면
나 역시 누구 못지않은 signal이 있는 경력이 있겠지만
그렇게 하고 싶지도 않다.

지금 일하는 세계가 기존과 상관도 없는 곳인데
내가 어디서 얼마 받았던 사람이다 라는 사실이 뭐가 중요해.

그냥 실력과 결과로 보여주면 되지.

2018-07-29T14:29:17+09:00Sun 29 Jul 2018 2:26 PM|

변호사 등록자수

이제는 정말로 자격증이 아닌 실력이 중요한 시대가 된 것 같다.


흔해진 변호사 “아 옛날이여~”
기사입력 2018-07-21 16:03

1만명 돌파 56년 걸렸는데, 2만명까지 달랑 7년

변호사는 이른바 ‘사(士 또는 師)’자가 들어가는 전문직의 대명사다. 자격증 하나면 평생 부와 명예가 보장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하지만 어느새 옛날 얘기가 돼버렸다.

최근 몇 년 사이 변호사는 전문직들 가운데 가장 가파르게 위상이 추락하고 있는 직업군으로 꼽힌다. 이유는 딱 하나. 변호사 숫자가 해마다 크게 늘고 있어서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사법시험 합격자수는 한해 500명 정도였다. 그러다 2000년대 중반 들어 1,000명으로 늘었고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도입된 후에는 연 평균 1,800여명이 배출되고 있다.

작년 말 변호사 등록자수는 2만4,015명으로 6년 만에 두 배가 늘었다. 변호사 숫자가 1만명이 넘어서기까지 56년이 걸렸는데, 그로부터 7년 만에 2만명을 넘겼다. 문제는 이런 추세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란 점이다. 서울변호사회 조사에 따르면 2050년 변호사 수는 7만명에 달할 전망이다.

변호사가 많아지니 1인당 수임건수가 날로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15년 개인사업자로 등록한 변호사 4,380명 중 781명(17.8%)은 연 매출이 ‘2,400만원 미만’이라고 신고했다. 변호사 5명 중 1명은 한 달에 200만원을 못 번다는 얘기다.

사실 이 같은 상황은 로스쿨 제도의 도입 취지이기도 하다. 변호사 수를 대폭 늘려 국민에게 저렴한 가격에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공급하려는 정책이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지금과 같은 ‘대폭 증원’ 정책을 언제까지 유지해야 적정한지에 대해서는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변호사 수가 과도하게 늘어날 경우 변호사들이 억지로 사건을 만들고 기획소송을 남발하는 등 국민이 피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2018-07-28T06:05:20+09:00Sat 28 Jul 2018 6:05 AM|

The uses of difficulty

페이스북에 떴던 Economist 1843 컬럼

Our brains respond better to difficulty than we imagine.


The uses of difficulty
By Ian Leslie, www.1843magazine.comView OriginalOctober 29th, 2012

Jack White, the former frontman of the White Stripes and an influential figure among fellow musicians, likes to make things difficult for himself. He uses cheap guitars that won’t stay in shape or in tune. When performing, he positions his instruments in a way that is deliberately inconvenient, so that switching from guitar to organ mid-song involves a mad dash across the stage. Why? Because he’s on the run from what he describes as a disease that preys on every artist: “ease of use”. When making music gets too easy, says White, it becomes harder to make it sing.

It’s an odd thought. Why would anyone make their work more difficult than it already is? Yet we know that difficulty can pay unexpected dividends. In 1966, soon after the Beatles had finished work on “Rubber Soul”, Paul McCartney looked into the possibility of going to America to record their next album. The equipment in American studios was more advanced than anything in Britain, which had led the Beatles’ great rivals, the Rolling Stones, to make their latest album, “Aftermath”, in Los Angeles. McCartney found that EMI’s contractual clauses made it prohibitively expensive to follow suit, and the Beatles had to make do with the primitive technology of Abbey Road.

Lucky for us. Over the next two years they made their most groundbreaking work, turning the recording studio into a magical instrument of its own. Precisely because they were working with old-fashioned machines, George Martin and his team of engineers were forced to apply every ounce of their ingenuity to solve the problems posed to them by Lennon and McCartney. Songs like “Tomorrow Never Knows”, “Strawberry Fields Forever”, and “A Day in the Life” featured revolutionary aural effects that dazzled and mystified Martin’s American counterparts.

Sometimes it’s only when a difficulty is removed that we realise what it was doing for us. For more than two decades, starting in the 1960s, the poet Ted Hughes sat on the judging panel of an annual poetry competition for British schoolchildren. During the 1980s he noticed an increasing number of long poems among the submissions, with some running to 70 or 80 pages. These poems were verbally inventive and fluent, but also “strangely boring”. After making inquiries Hughes discovered that they were being composed on computers, then just finding their way into British homes.

You might have thought any tool which enables a writer to get words on to the page would be an advantage. But there may be a cost to such facility. In an interview with the Paris Review Hughes speculated that when a person puts pen to paper, “you meet the terrible resistance of what happened your first year at it, when you couldn’t write at all”. As the brain attempts to force the unsteady hand to do its bidding, the tension between the two results in a more compressed, psychologically denser expression. Remove that resistance and you are more likely to produce a 70-page ramble. There is even some support for Hughes’s hypothesis from modern neuroscience: a study carried out by Professor Virginia Berninger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found that handwriting activated more of the brain than keyboard writing, including areas responsible for thinking and memory.

Our brains respond better to difficulty than we imagine. In schools, teachers and pupils alike often assume that if a concept has been easy to learn, then the lesson has been successful. But numerous studies have now found that when classroom material is made harder to absorb, pupils retain more of it over the long term, and understand it on a deeper level. Robert Bjork,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ined the phrase “desirable difficulties” to describe the counter-intuitive notion that learning should be made harder by, for instance, spacing sessions further apart so that students have to make more effort to recall what they learnt last time. Psychologists at Princeton found that students remembered reading material better when it was printed in an ugly font.

Scientists from the University of Amsterdam recently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s to investigate how obstacles affect our thought processes. In one experiment, people were set anagram puzzles to solve, while, as an obstacle to concentration, a series of random numbers were read out. Compared with those in a control group who performed the same task without this distraction, these subjects displayed greater cognitive agility: they were more likely to take leaps of association and make unusual connections. The researchers also found that when people are forced to cope with unexpected obstacles they react by increasing their “perceptual scope” – taking a mental step back to see the bigger picture. When you find your journey to work blocked by a construction site, you have to map the city in your mind.

As a poet, Ted Hughes had an acute sensitivity to the way in which constraints on self-expression, like the disciplines of metre and rhyme, spur creative thought. What applies to poets and musicians also applies to our daily lives. We tend to equate happiness with freedom, but, as the psychotherapist and writer Adam Phillips has observed, without obstacles to our desires it’s harder to know what we want, or where we’re heading. He tells the story of a patient, a first-time mother who complained that her young son was always clinging to her, wrapping himself around her legs wherever she went. She never had a moment to herself, she said, because her son was “always in the way”. When Phillips asked her where she would go if he wasn’t in the way, she replied cheerfully, “Oh, I wouldn’t know where I was!”

Take another common obstacle: lack of money. People often assume that more money will make them happier. But economists wh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oney and happiness have consistently found that, above a certain income, the two do not reliably correlate. Despite the ease with which the rich can acquire almost anything they desire, they are just as likely to be unhappy as the middle classes. In this regard at least, F. Scott Fitzgerald was wrong.

Indeed, ease of acquisition is the problem. The novelist Edward St Aubyn has a narrator remark of the very rich that, “without the editorial influence of the word ‘afford’, their desires rambled on like unstoppable bores, relentless and whimsical at the same time.” When Boston College, a private research university, wanted a better feel for its potential donors, it asked the psychologist Robert Kenny to investigate the mindset of the super-rich. He surveyed 165 households, most of which had a net worth of $25m or more. He found that many of his subjects were befuddled by the infinite options their money presented them with. They found it hard to know what to want, creating a kind of existential bafflement. One of them put it like this: “You know, Bob, you can just buy so much stuff, and when you get to the point where you can just buy so much stuff, now what are you going to do?”

The internet makes information billionaires out of all of us, and the architects of our online experiences are catching on to the need to make things creatively difficult. Twitter’s prodigious success is rooted in the simple but profound insight that in a medium with infinite space for self-expression, the most interesting thing we can do is restrict ourselves to 140 characters. The music service This Is My Jam helps people navigate the tens of millions of tracks now available instantly via Spotify and iTunes. Users pick their favourite song of the week to share with others. They only get to choose one. The service was only launched this year, but by the end of September 650,000 jams had been chosen. Its co-founder Matt Ogle explains its raison d’être like this: “In an age of endless choice, we were missing a way to say: ‘This. This is the one you should listen to’.”

Today’s world offers more opportunity than ever to follow the advice of the Walker Brothers and make it easy on ourselves. Compared with a hundred years ago, our lives are less tightly bound by social mores and physical constraints. Technology has cut out much of life’s drudgery, and we have more freedoms than ever: we can wear what we like, sleep with whom we want (if they’ll sleep with us), and communicate with hundreds of friends at once at the click of a mouse. Obstacles are everywhere disappearing. Few of us wish to turn the clock back, but perhaps we need to remind ourselves how useful the right obstacles can be. Sometimes, the best route to fulfilment is the path of more resistance.

2018-07-28T06:01:43+09:00Sat 28 Jul 2018 6:01 AM|

Netflix

수많은 사람들과 기업들이 VOD를 온라인으로 유통하는 사업모델을 생각은 했을 것이다.
“플랫폼” 형태로.

그런데 사실상 Netflix 혼자만이 살아남았다.

Netflix는 유통 뿐만 아니라 직접 제작을 하여 차별화된 컨텐츠를 만들어 배포하고 있다.

거기까지 생각한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2018-07-28T05:12:36+09:00Sat 28 Jul 2018 5:12 AM|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