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ts

오늘은 힘들었다.

오늘 병원을 3번 갔는데
가는 병원마다 소식이 다 안좋았다.

회사도 일이 진척이 안되고
나만 일거리가 쌓여간다.

직원은 또 사고를 쳐서 그건 그것대로 수습하고 있다.

속상해서 6시에 죽 먹으러 먼저 나왔다.
직원이 전화와서 저녁 같이 먹겠냐고 묻는데
내가 장염이 1주일이 넘었다 차마 말은 못하고 대충 둘러댔다.
근처에 죽집이라고는 전복죽집이 전부여서 다녀왔다.

저녁에 혼자서 음악들으면서
다가오는 재판에 대비한 준비서면 적고 있는데
임재범의 그대는 어디에가 흘러나왔고
울컥해서 잠시 울었다.

2020-03-23T22:49:20+09:00Mon 23 Mar 2020 10:47 PM|

n번방

텔레그램에서 성착취 동영상을 공유하는 n번방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난 깜짝 놀랐다.

텔레그램이라면 초창기에 가입해서 설치해보고
현재 스마트폰 주소록에 있는 사람중에
당시 텔레그램이 가입이 된 사람이 거의 없음을 보고
실망하여 지워버린 기억밖에 없는데

여성을 협박하여 성착취 동영상을 찍은 놈의 존재도 놀라웠지만,
50~250만원을 내면서 그런 동영상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 자체가
나에겐 크나큰 충격이었다.

이건 아니라 본다. 정말.

2020-03-22T23:06:35+09:00Sun 22 Mar 2020 11:06 PM|

Exit이라고?

어제 2-3년전에 잠깐 만났던
대학교 때 동아리 후배로부터 상담요청 전화를 받아서
얘기를 듣던 와중에

“어떤 컨설팅펌은 exit이 좋다고 하고…”
라는 말을 하길래

“exit이 뭐에요?” 라고 물으니
컨설팅 회사를 나오고 다음 직장(커리어)을 구하는 것이 exit이랜다.

얘들아
그건 exit이 아니야
아직 시작도 안했잖아.

2020-03-19T01:19:39+09:00Thu 19 Mar 2020 1:19 AM|

버킷리스트

페이스북에서 본 내용인데
나도 나름대로 여행을 많이 다녔다 생각했으나
살펴보니 난 아직 갈 곳과 해볼 것이 많이 남아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편하고 익숙한 것을 찾지않았나 잠시 반성하게 된다.

2020-03-16T02:31:45+09:00Mon 16 Mar 2020 2:31 AM|

optimize your morning routine

직장다닐 때에는
예전엔 9시반에나 출근하던 전형적인 night person이었는데
지금은 회사 안에서 자다 보니
직원들 출근할까봐 아침 7시에는 일어나야 한다.

그러다보니 잠을 충분하게 못자게 된다.

하나같이 좋은 조언들인데
마지막 step 6가 어렵다.
어려운 일을 먼저 하는 것이 중요하긴 한데,
그러다보면 1) 짜증이 나고, 2) 시간이 너무 흘러가버리는 것이 단점이다.


Let this brain scientist optimize your morning routine
What you do in the morning can make or break your brain’s performance. Here are some simple habits to adopt between wake-up and lunchtime, in the right order.
Let this brain scientist optimize your morning routine

Struggling to focus throughout your workday? You’re not alone. We live in a world of never-ending distractions, making it harder to concentrate for long periods of time. However, a few simple changes to your morning routine can significantly boost your cognitive functioning. As a neuroscientist, these are the habits that I try to follow each day in order to operate at peak mental performance. Here’s a step-by-step guide to a morning routine that’s kind to your brain.

STEP 1: PRIORITIZE GETTING EIGHT HOURS OF SLEEP
Researchers estimate that the average American slept between eight and nine hours a night in the 1960s. Now, the American Sleep Association puts that figure closer to six hours and 40 minutes. That simply isn’t enough for you to function at your peak (although, interestingly, nine hours is likely to be too much for some people). You should aim to get between seven and eight hours of shut-eye since any less will likely impact on your pituitary function, which regulates crucial hormones governing your appetite, mood, alertness, and eventually your overall resilience. Of course, you won’t always be able to get a great night’s sleep every night, but having a consistent target to aim for is an important first step.

STEP 2: HYDRATE FIRST THING, AND DON’T MASK IT WITH CAFFEINE
Ever have that groggy feeling when you wake up, and decide to remedy it by downing a double espresso? That’s actually the worst thing you can do for your brain and body first thing in the morning. When you’re still feeling tired after getting up, you’re probably dehydrated, and a high-caffeine pick-me-up acts as a diuretic, sapping even more water from your body.

Instead, start your day with a glass of water, a big mug of hot water and lemon, or a cup of turmeric tea. This ancient spice has been shown to improve memory function and concentration even after a single 400mg dose due to the active ingredient in it: curcumin. Some varieties combine green tea and turmeric for a double brain boost. Green tea, to be fair, does have caffeine, but it contains considerably less than black tea or coffee and is packed with antioxidant compounds that boost brain health. If you add a teaspoon of coconut oil to the mix, you may even get an extra 20-minute brain boost.

STEP 3: STRETCH
It might feel like stretching is a luxury you can’t afford when you’re rushing to work. But it’s a great way to wake up your brain and your muscles. Doing a mini yoga circuit–like a few minutes of sun salutations–will improve oxygen flow to your brain. Any upside-down poses–even just lying on the floor with your legs against the wall–enhances blood flow and redistributes nutrients to the upper half of your body.

STEP 4: MEDITATE FOR 12 MINUTES
Around 80% of the most successful leaders I’ve worked with go through regular mindfulness routines in the morning. Mindfulness meditation can improve your focus and executive function, the higher-level thinking required for effective and flexible problem-solving. These practices also decrease rumination, a type of negative thinking that acts like a brain-energy vampire, especially in the morning. And you don’t need to do it for very long to reap the benefits; a 2010 study using U.S. Marines as volunteers showed that just 12 minutes a day was enough to increase mental resilience.

STEP 5: EAT THE SAME BREAKFAST AT THE SAME TIME
Sustained energy is the key to mental performance. Great brain-friendly breakfast choices include eggs, avocado, salmon, nuts, seeds, and berries. Avoid pastries and white bread and sugary cereals, all of which will give you a mental and physical dip a few hours after eating them. Eating your breakfast at the same time every day also helps regulate your circadian rhythm and digestion, priming your brain for peak performance and reducing the need for unnecessary decision-making.

STEP 6: START YOUR WORKDAY WITH THE MOST DIFFICULT TASKS
Neurotransmitters such as serotonin take a natural 24-hour dip at around 3 p.m. So it’s worth arranging challenging meetings or complex tasks that are likely to be most cognitively demanding, early in the day. That’s the time when your brain energy is at its peak, so make sure you’re taking advantage of it.

Fortunately, doing that doesn’t mean adopting a complicated, lengthy morning routine. Begin by introducing these habits and, if need be, re-sequencing the ones you’ve already adopted; you can start small by making just one change at a time. A morning routine that optimizes your brain for peak performance is as much about what you do after waking up as how and when you do it.

2020-03-16T02:28:19+09:00Mon 16 Mar 2020 2:28 AM|

주말, 서울 구경

주말 서울에 있을 때에는
가급적 외출을 해서
사람 구경을 할 겸 강남역(신논현역)을 간다.

18년간 살았던 강남역 추억도 있고
교보문고에서 책도 볼겸
사람들 구경도 할겸
그렇게 시간을 보낸다.

헌팅주점 앞 대기행렬을 보니
코로나도 이 젊은 친구들의 피끓는 화이트데이 보내기 노력을
막지는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일주일 내내 부산 한구석에 쳐박혀 일만 하다가
부산이 아닌 서울의 모습을 보는 것이 기분이 좋다.

2020-03-15T03:08:08+09:00Sun 15 Mar 2020 3:08 AM|

Black Hole Size Comparison

유튜브에는 우주 관련한 내용이 많아서 좋다.
블랙홀 하면 영화 인터스텔라가 생각나는데
우주선 크기를 볼 때 대략 달만한 크기의 블랙홀이 묘사되지않았나 싶다.

나도 그런 줄로만 알았는데
추정되는 크기를 보니 말그대로 어마어마하다.

이런 동영상을 볼 때면
내가 가진 고민과 걱정들이
무슨 의미가 있나 생각하게 된다.

2020-03-15T02:32:28+09:00Sun 15 Mar 2020 2:32 AM|

The Right and Wrong Way to Delegate

“How to Get Rid of D-Level Tasks”
나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것

https://www.inc.com/david-finkel/the-right-wrong-way-to-delegate.html


The Right and Wrong Way to Delegate

You are busy. Your to-do list is never ending and you feel like you could work 80 or 90 hours a week and still not accomplish everything you want to do in any given week. Add onto that a myriad of meetings, phone calls and employee issues and it’s enough to make any business owner want to throw in the towel.

You are not alone. Over the past 25 years, I have worked with thousands of business owners with similar stories. Which is why one of the first things I do with any new coaching client is to sit down and talk about what their to-do list looks like and develop a strategy for identifying the items on that list that could be eliminated or delegated to someone else. We call these D-level tasks.

What Is a D-Level Task?
The D-level tasks are the things on your to-do list that don’t provide any value or growth for your business. They might still need to be done, but they are generally a poor use of your time and brainpower. These can vary based on your industry, but things like answering customer service questions, dealing with employee schedules and conflicts, going on lower-level sales meetings, etc., are all things that could (and should) be taken off your plate.

How to Get Rid of D-Level Tasks
There are a few ways to get these D-level tasks off your to-do list, such as not doing them all together. But for most of us, the work still needs to be done. Which is why I think that every good leader needs to learn the “fine art of delegation.”

1. Use The Right Terminology

When it comes to handing tasks off to other team members, it is crucial that they understand the process and exactly what is expected of them along the way. At my company, when someone delegates a task, we say that the recipient of the task now “owns” it. They are responsible for not only completing the item in question, but also closing the loop with the team in regards to reporting. This terminology is one that almost everyone understands, and will inherently know the steps that follow such a delegation.

2. Train, Train….and Train

It’s one thing to hand a task off to an employee and hope that it gets taken care of. But it’s a whole other thing to train that staff member on how to do the task and make sure that they have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do as good (if not better) as you would do it yourself. Which is why creating systems and controls is so crucial to getting more things off your to do list. In general, a system is a written or video explanation of how to do a certain task or project within your company. This system should be updated regularly and would help guide a team member on how to do that certain task with little or no guidance from an outside person. Once the system is created, it becomes much easier to delegate something to someone else on your team and move it from one person to another if deemed necessary in the future.

3. Don’t Forget To Check In

The final bit of advice I have in regard to delegating tasks has to do with the controls or reporting portion of your business. The more tasks you take off your plate and delegate to others on the team, the more you will want to have a way to check in on their progress and ensure that everything is being taken care of without micromanaging your staff. This can be accomplished through weekly or monthly reports or scorecards. If you notice any irregularities on a report, you can follow up with the owner of that report for more information or clarification.

2020-03-10T20:28:47+09:00Tue 10 Mar 2020 8:27 PM|

인생을 성공적으로 이끌 조언 150가지

“탁월한 인생을 만드는 법”이라는 책에서 발췌한(?)
150가지라는데

읽다보니 뻔한 내용 같아 보여도
내 신세에는 위안이 된다.


우리의 인생을 성공적으로 이끌 조언 150가지.

1.인생 최고의 해는 아직 오지 않았다.

2. 사람들은 해가 바뀌면 마음을 가다듬고 새롭게 시작하고 싶어 한다.

3. 누구나 한다고 해서 다 잘하는 건 아니다.

4. 헬스클럽이 회원권을 과도하게 팔아먹는 이유는 우리의 결심이 작심삼일로 끝날 걸 잘 알기 때문이다.

5. 그렇다고 기죽지 마시라. 당신만 그런게 아니니까.

6. 우리에게는 훨씬 더 나은 계획이 필요하다.

7. 목표를 줄일 게 아니라 갖가지 목표를 이루는 데 적합한 시스템을 찾아야 한다.

8. 한 번에 한 가지씩만 의도적으로 선택해도 당신은 주변 세상을 더 멋지게 가꿔 나갈 수 있다.

9. 일단 돌파구를 찾는 해가 실제로 어떤 모습인지 잠시 생각해 보길 바란다.

10. 인생은 원래 순탄치 않다.

11. 과거에 벌어진 일이 좋았든 나빴든, 당신은 다가올 해를 인생 최고의 해로 만들 수 있다.

12.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스스로 믿지 못하면 어떻게 달성할 수 있겠는가.

13. 효과적인 목표는 무엇보다도 명확하고 측정 가능해야 한다.

14. 엉성하게 세워진 목표는 쉽게 잊히기 마련이다.

15. 필사적으로 노력해야 할 이유가 없으면, 우리는 하려던 일에 흥미를 잃거나 집중을 못 한다.

16. 동기 요인을 제대로 파악하면 중도에 그만두지 않을 것이다.

17. 그 길이 아무리 험난하고 난관이 많더라도 끝까지 밀고 나갈 것이다.

18. 목표 달성에 실패하는 이유는 흔히 입증된 실행 전술이 없기 때문이다.

19. 이젠 당신이 원하던 발전을 이루지 못해 좌절하거나 실망하며 또 한해를 허비하지 않아도 된다.

20. 좌절과 혼란에서 벗어나 최고의 해를 맞이할 지혜와 자신감과 권능을 갖추고 싶은가?

21. <탁월한 인생을 만드는 법>이 그 길을 안내해 줄 것이다.

22. 믿음이 현실을 구현한다

23. 우리의 기대는 우리가 가능하다고 믿는 것을 구현한다.

24. 우리가 목표 달성에 실패하는 주된 이유는 달성할 수 있다는 걸 의심하기 때문이다.

25. 냉소주의는 영혼을 갉아먹고 발전을 저해한다.

26. 우리는 누구나 장애물을 마주한다.

27. 제한적 믿음(limiting beliefs)은 장애물을 넘지 못하도록 방해하지만, 해방적 진실(liberating truths)은 장애물을 뛰어넘고 주변 환경까지 개선하도록 돕는다.

28. 같은 상황에 다른 프레임을 갖다 대면 새로운 길이 보인다.

29. “당신이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게 뭐든 누군가 나타나 그것을 해 낼 것이다.” 재즈 피아니스트 델로니어스 몽크

30. 뭐든 처음에만 불가능해 보인다.

31. 뭔가를 이루려면, 우리가 그 일을 감당할 수 있다고 믿어야 한다.

32. 그 일이 쉽다거나, 그 일을 달성할 방법을 알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우리가 할 수 있음을, 그 일을 해낼 능력이 있음을 믿는다는 뜻이다.

33. 경계하라: 제한적 믿음은 세상과 타인, 심지어 우리 자신에 대한 관점을 왜곡한다.

34. 현실은 상황에 따라 차등해서 적용되는 슬라이딩 스케일이지, on/off처럼 둘 중 하나만 선택하는 토글스위치가 아니다.

35. 인생 최고의 해를 경험하고 싶다면, 먼저 어떤 사고방식이 우리를 지배하는지 인식한 다음, 풍족한 사고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야 한다.

36. 우리는 먼저, 우리가 마주치는 대다수 장애물이 상상에 불과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37. “(스티브는) 현실에서 무엇이 부족한지 상상해서 그 부분을 개선해 나갔습니다.” 스티브 잡스의 아내 로렌 파월

38. 믿음은 얼마든지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39. (제한적) 믿음은 우리르 옴짝달싹 못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믿음을 업그레이드하면 덫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40. 남들이 뭐라 하든, 남들이 뭘 믿든 더 나은 미래를 볼 수 있어야 한다.

41. 우리의 열망이 위대한 업적을 이룬 위인만큼 대단하진 않겠지만, 그래도 한 번뿐인 우리 인생에선 매우 중요하다.

42. 당신은 당신 인생을 바꾸는 데 필요한 능력을 이미 가지고 있다.

43. 우리에게는 스스로 인정하는 것보다 더 큰 힘이 있다.

44. 우리는 마음만 먹으면 미래에 경험할 결과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

45. 꿈을 이루고자 할 때 자원은 결코 중대한 난관이 아니다.

46.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원이 모두 있다면, 그 목표는 대단한 게 아닐 것이다.

47. “인간의 자원에는 부족한게 없습니다. 부족한 건 인간의 의지입니다.” 마틴 루터 킹

48. 자원 부족은 오히려 득이 될 수 있다.

49. 창의성을 촉발시키려면 흔히 한계가 필요하다. 자원 부족이 지혜를 짜내도록 자극하는 것이다.

50. 하지만 제한적 믿음 때문에 우리는 그 점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그래서 해방적 진실이 필요하다.

51. 때로는 전혀 예기치 못한 자원도 필요할 것이다. 그래도 일단 시작하라.

52. 자원 부족은 결코 손 놓고 있기 위한 핑곗거리가 아니다. 오히려 목표를 향해 한 발 더 나아가도록 이끌어 줄 자극제이다.

53. 제한적 믿음 중 상당수는 흔히 일말의 진실이 담겨 있다. 그 때문에 그럴듯하게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믿음은 온전한 진실이 아니다.

54. 틀린 것에 몰두하면 옳은 것을 놓치기 쉽다. 관점이 왜곡되어 주변에 널려 있는 기회를 못 보기 때문이다.

55. 낡은 “진실”이 당신을 방해한다. 반면, 새로운 진실은 전진에 필요한 발판을 제공한다.

56. 새로운 믿음으로 다시 무장하라.

57. 당신은 자질을 다 갖추고 있다. 인생 최고의 해를 경험하기 위한 첫 단계는 바로 믿음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58. 사람들은 흔히 지난 일에 매여 산다.

59. 그렇게 살면, 인생 최고의 해를 결코 경험할 수 없다.

60.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려면 반드시 과거를 제대로 마무리해야 한다.

61. 우리는 이미 경험한 것을 인정해야 비로소 과거를 마무리할 수 있다.

62. 자신의 취약성을 인정하고 도움을 청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용기”이다.

63. “(사후 검토는) 과거 경험과 미래 행동을 명쾌하게 연결하는, 생생하고도 포괄적인 과정이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64. 글쓰기는 회고적 사고의 힘을 강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65. “후회는 과거를 바꾸려는 게 아니라 현재르 환하게 밝히려는 것이다.” 카리나 초카노

66. “과거를 기억하지 않는 자는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기 마련이다.” 조지 산타야나

67. 실망하거나 좌절하게 된 요인을 찾아 목록을 작성하면 뭐가 잘못됐는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68. “결과에 대해 너무 생각하지 말고 눈앞에 닥친 일을 제대로 처리하라.” 조지 산타야나

69. 그들은 흔히 사후 검토에서 얻은 교훈을 적용하지 않는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70. 시정할 기회가 가장 뚜렷한 지점에서 불만과 실망의 감정이 가장 강하게 일어난다.

71. 후회는 상황을 개선할 기회를 암시한다.

72. 후회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봐야 할 때다. 진로를 막는 장애물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갈 길을 가리키는 표지판이라고 생각하라.

73. 감사는 우리를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살아가게 해 주며, 그 과정에서 부딪치는 온갖 장애물을 이겨 내도록 해 준다.

74. 감사는 참을성도 길러준다.

75. 감사는 우리 인생에서 좋은 점을 증폭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76. 당신은 지금 가진 것에 감사해야 원하는 걸 더 많이 갖게 될 것이다.

77. 멋진 결과는 저절로 일어나지 않는다.

78. 목표를 기록하면 저항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79. 당신이 원하는 것을 명확히 알게 한다.

80. 우리는 난관에 부딪히면 불끈 일어서지만 쉬운 상황에선 긴장을 푼다.

81. 안전한 목표에 대한 유혹은 우리를 늘 따라다닌다.

82. “우리는 이득을 얻는 것보다 손실을 회피하려는 성향이 더 강하다.” 대니얼 카너먼

83. 우리의 능력을 한껏 펼칠 만한 도전적 목표를 세워야 한다.

84 데드라인이 한참 남아 있으면 의욕이 떨어진다.

85. 내적 동기가 있을 때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더 크다. 외적 동기도 한동안 효과가 있지만, 목표에 내재된 본질을 포착하지 못하면 우리는 곧 흥미를 잃을 것이다.

86. “이 목표가 내 심장을 뛰게 하는가? 이 일을 기어이 성사시키겠다는 열의가 나한테 있는가?”

87. 성취와 습관은 함께 간다.

88. 성취 목표와 습관 목표 둘 다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89. “우리는 세상 안락함을 모두 누리면 행복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안락함을 행복과 동일시하는 것이죠. 그런데 우리는 지금 너무나 안락한데 오히려 비참합니다. 우리 삶엔 투쟁이 없습니다. 모험심이라곤 눈 씻고 찾아봐도 없습니다.” 카르나제스

90. 안락함은 과대평가되어 왔다.

91. 불편함은 성장을 위한 촉매제이다.

92. 불편함은 전진을 암시한다.

93. 의미 있는 성취 해 관해서라면, 안락함은 지루함이나 낮은 몰입도와 동일시된다.

94. “계획을 작게 세우지 마라. 자잘한 계획은 사람의 피를 끓게 할 마력이 없어서 제대로 실현되기 어렵다.” 다니엘 번햄

95. 인생에서 진짜 중요한 일은 안전지대 밖에서 이뤄진다.

96. 비즈니스 환경에서 거창한 목표를 세우는 것과 그 목표를 제대로 관리하는 것 간에는 크나큰 차이가 있다.

97. 당신의 목표가 도전 의식을 북돋우는지, 아니면 터무니없는 숫자놀음인지 어떻게 알겠는가? 불안과 망상 간에도 차이가 있다.

98. 어떤 목표는 정말로 불가능해서 나무저 우선순위들과 도저히 부합할 수 없다. 그런 목표는 성과가 아니라 실패를 조장한다.

99. 인생에서 의미심장한 성과를 거두고 싶다면, 안전지대 밖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야 한다. 그곳에서 성과를 거두는 게 좋다.

100. 우리는 간혹 계획을 잘 세우면 일이 술술 풀릴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101. 동기가 강하면 힘들어서 그만두고 싶을 때 끝까지 밀고 나갈 투지와 끈기가 발동할 것이다.

102. 완벽하게 못하더라도 일단은 하는 게 더 낫다.

103. 당신의 핵심 동기를 기록하고 순서를 정하라

104. 사람은 동기를 잃으면 길도 잃게 된다.

105. 핵심 동기를 머리로 뿐만 아니라 가슴으로도 되새긴 순간, 내 열정이 다시 끓어올랐다.

106. 목표를 달성하려면 뭔가가 더 필요하다.

107. 그 뭔가를 인내심이라고 부르든, 끈기나 투지라고 부르든, 아무튼 그것은 승산이 없거나 우리의 열정이 식었을 때도 끝까지 해내려는 마음을 가리킨다.

108. 행동이 온전히 내면화되고 그 자체로 보상이 된 것이다.

109. 새로운 습관이 자연스럽게 나오는데 평균 66일이 걸렸다.

110. “며칠 지나면 체인이 생길 겁니다. 그 일을 빼먹지 않고 하다 보면 체인은 계속 늘어나죠. 처음 몇 주 동안은 체인이 점점 길어지는 것만 봐도 흐뭇할 겁니다. 그다음엔 그 체인이 끊어지지 않도록 신경 쓰면 됩니다.” 제리 사인펠트

111. 꾸준히 하면 이긴다.

112. 함께 가면 더 좋다.

113. <반지의 제왕>을 쓴 톨킨은 “루이스의 지원과 우정 덕분에 나는 기어이 집필을 끝낼 수 있었다.”라고 고백했다.

114. 성공하려면 도움을 받아야 한다. 그것도 아주 많이.

115. 성공은 당신이 어울리는 사람에게 달려 있다.

116. 긍정적 에너지는 전염성이 있다.

117. 경쟁 그룹이 비경쟁 그룹보다 거의 두 배나 높은 성과를 거뒀다.

118. 폴 매카트니와 존 레논은 때론 경쟁을, 때론 협력을 하며 서로 발전했다. 상대가 없었더라면 그들은 지금과 같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을 것이다.

119. 의도적으로 관계를 맺으면 혼자일 때보다 더 생산적이고 창의적이며 유능한 사람이 될 수 있다.

120. “위대한 일은 충동적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자잘한 일들이 서로 연계돼서 이뤄진다.” 빈센트 반 고흐

121. 핵잠수함을 건조하려면 굉장히 꼼꼼하게 계획해야 한다. 하지만 당신과 내가 세우는 목표의 경우, 지나치게 꼼꼼한 계획은 흔히 일을 미루고 싶어서 질질 끄는 꼼수일 뿐이다.

122. 목표 설정은 불안 지대에서 해야 하지만, 목표 공략은 일단 안전지대에서 시작해야 한다.

123. 어떤 프로젝트든 첫 발을 떼는 게 가장 어렵기 마련이다.

124.단기간에 뭐라도 성공하면 기분이 좋아진다.

125. 외부 도움을 받으면, 거의 언제나 다음 단계를 잘 찾아서 성과를 촉진할 수 있다.

126. “어떤 일이 일어나도록 시도해 보겠다.”라고 말하는 것과 “어떤 일이 일어나도록 하겠다.”라고 말하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127. 문제는 당신이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굳게 다짐하지 않으면 그 일이 일어나지 않는 데 있다.

128. “패튼은 부대를 이끌고서 불지옥도 뚫고 물바다도 건널 것이다.” 조지 마셜

129. “내 인생은 오로지 이 순간을 위해 존재했던 것 같다. 내가 전력을 다하면 나머지는 저절로 해결될 것이다.” 패튼

130. 인생 최고의 해를 맛보고 싶다면, 반드시 실행에 옮겨야 한다.

131. if-then 계획을 수립한 사람은 이 단계를 건너뛴 사람보다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세 배쯤 높게 나왔다.

132. 활성화 유인책 과정에서 핵심은 바닥난 의지력에 기대지 않고 결연한 의지가 있을 때 내린 결정을 따른다는 것이다.

133. 비상사태에 어떻게 대처할지 미리 결정해 둬야 한다.

134. “실행 의도를 확고히 정해 놓으면, 언제 그리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찬찬히 생각하지 않고서 [반사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피터 골위처와 가브리엘 외팅겐

135. 목표는 함부로 바꾸기 어렵지만 전략은 그때그때 바꿀 수 있다.

136. 잘할 때까지 실험하라.

137. 최고의 해를 맛보려면 적절한 계기 장비가 필요하다.

138. 단순히 목표와 동기를 적는 것으로 끝나지 말고, 계속 검토하고 되새겨야 한다.

139. 검토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이 목록을 날마다 훑어봐야 한다.

140. 나는 하루에 처리할 업무를 세 가지로 제한한다. 그것을 일별 빅3라고 부르며,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과제로 엄선한다.

141. 한창 바쁠 때는 당면 과제에 파묻혀 지내기 쉽다. 하지만 주별 검토는 핵심 동기를 계속 상기해 준다.

성과를 기념해야 당신의 노고를 진심으로 인정할 수 있다.

142. “기념하는 행위는 뇌의 보상체계를 활성화시킨다. 이는 당신이 목표를 끝까지 추구하고 달성하도록 돕는 143. 최고의 원동력이다. …… 오만이나 자기 과시가 아니라 당신의 보상 회로를 활용해 도파민을 분출시키는 것이다.” 크리스토퍼 버글랜드

144. 애초에 계획을 세울 때 당신은 한정된 지식밖에 없었다.

145. 당신의 목록에서 어떤 목표를 제거했다고 하늘이 무너지진 않는다. 목표가 더 이상 적절하지 않거나, 매력적이지 않거나, 이미 수정해 봤는데 효과가 없다면, 과감하게 제거하라.

146. “그려라, 안토니오. 그려라, 안토니오. 시간 낭비하지 말고 계속 그려라.” 미켈란젤로

147. 진짜 위험은 따로 있다. 그것은 바로 꿈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조치는 취하지 않은 채 꿈같은 기분에 도취해 버리는 것이다.

148. 이거다 싶은 명료성을 얻는 순간 과감하게 실행하라.

149. 이젠 당신 차례다. 당신 인생에서 최고의 해는 편안히 앉아서 관람할 수 있는 영화가 아니다. 이거다 싶으면 당장 시작해야 한다.

150. 꿈을 미루지 마라. 목표를 늦추지 마라.

2020-03-10T20:09:47+09:00Tue 10 Mar 2020 8:06 PM|

마스크 2개

회사 부근에 병원이 많아서
약국도 덩달아 많이 있다.

약국 밖에는
“우리도 마스크가 언제 올지 모릅니다”라고 적혀있었다.

오늘은 내 생년에 해당하는 마스크 배급일이었는데
지나가다 약국을 나오는 사람들이 마스크를 들고 나오는 것을 보고
약국에 들어가
“없다”고 말하는데 노이로제 걸려 있을 약사선생님 눈치를 보니
처방전 접수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마스크가 있었다!

감사한 마음으로 3,000원을 결제하고 나왔다.

배급일에 맞추어
마스크 따위를 사면서 감사한 마음을 갖다니
이게 나라인가 싶었다.

2020-03-10T16:50:21+09:00Tue 10 Mar 2020 4:50 PM|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