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계 가치 평가 방법(?)
벤처투자회사에서 투자심사를 했다는 사람이
경제 TV에 출연하여 가상화폐 가치 평가 기준에 대해서 말한 적이 있다며 적은 글인데
이게 말이야 방구야…
질문에 대한 답은 정작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아 간간히 나도 잘 모른다고는 답했구나…)
정말 한심하다.
Q1. 작년 말 올해 초 크게 출렁인 가상화폐 시장이 숨 고르기를 하는 분위기이다. 많은 투자자는 마음을 졸이며 시장을 주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투자자에게 어떤 조언을 해 줄 수 있나?
A1. 투자의 고수 앞에서 감히 조언할 자격은 없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과 그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더 깊게 고민할 때로 삼으면 좋을 것 같다. 굳이 덧붙이면, 지금 거래되는 많은 코인은 완전히 만들어진 제품 같은 것이 아니다. 계속 업데이트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보유한 코인의 개발 동향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간혹 투자자에게 호재가 되거나 악재가 되는 뉴스가 있기 때문에 국내외 뉴스 특히 개발과 관련된 소식을 주기적으로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Q2. 비트코인 이외에 다른 코인을 눈여겨보는 분이 많지만, 너무나 많은 코인이 있어 가닥을 잡기 어렵다. 좋은 방법은?
A2. 많은 전문가가 가상화폐 블록체인의 방향을 말할 때, 토큰 베이스드 이코노미를 강조한다. 토큰으로 만들어나갈 실질적인 경제 활동에 주목해야 할 때임을 강조한 것이다. 비트코인 이외에도 1500개 넘는 코인이 거래되고 있는데, 각 코인이 현실 세계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지 잘 따져봐야 한다. 블록체인 위에서 구현한 기능과 비즈니스 모델을 세밀히 봐야 한다.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려고 하는지, 과연 사용자에게 어떤 즐거움을 주는지, 등 한걸음 들어가서 살펴보면 결국 제대로 된 질문을 할 수 있게 된다. 각 코인이 지향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의문이 드는 경우도 있고, 그 코인을 만든 사람들이 그런 비즈니스를 수행할만한 역량이 있는지도 궁금해진다.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야말로 투자 방향을 잡아나가는 좋은 방법이다.
Q3. 증시에서 기업의 경우 매출액이나 순이익 등을 이용한 여러 가지 가치 평가 방법이 있다. 그러나 가상화폐 코인들은 기업이 아니고 또 수익을 내는 것도 아니라서 평가가 어렵다. 가치 평가를 어떻게 하는 게 좋은가?
A3. 좋은 지적이다. 역시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과거 수년간 비트코인의 가치 산정 모델은 그리 성공적이지 않았다. 비트코인을 디지털 화폐로 전제한 모델이 가장 많았는데, 돌아보면 당시 추정 가치가 많이 틀린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오차는 역시 비트코인이 화폐 기능을 할 것이라는 모델의 한계 때문 같다. 하지만 지금도 꾸준히 가치평가 시도가 있으니 지켜볼 필요는 있다.
2000년도 초 인터넷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도 비슷한 딜레마가 있었다. 무료 이메일, 무료 웹 검색 등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서 사용자를 늘려가는 기업은 많았는데 매출은 없었다. 이들 인터넷 기업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어려움이 컸다. 당시 업계와 투자자는 고민을 토로하고 서로 좋은 평가 방법을 제안하기도 했는데, 이를테면 월평균 이용자 수, 페이지뷰, 고유한 접속자 수 등을 통해 기준을 만들었고, 이 산업을 평가하는 간접 지표를 끌어낸 것이다. 전 세계 많은 투자자가 서로 모여 가치평가 프레임 워크를 만들고 컨센서스를 이뤄냈는데, 과학적 혹은 경제적인 기법을 이용한 것이지만 절대적인 가치 평가는 아니었다. 결국, 상호 협의를 통한 사회적 합의의 결과물이었다. 그 후 인터넷 기업의 가치 평가 방법은 광고 매출이 발생하면서 검증되고 더 발전했다.
이러한 시도가 가상화폐에서도 있어야 한다. 사실 다행스럽게도 꾸준한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아직 모든 사람이 받아들일 만한 방법이나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평가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핵심 이슈는 검증 가능한 규모의 코인 경제, 토큰 경제 사례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가상화폐 가치 평가 방법을 검증하려면 조금 더 부지런히 연구해야 한다.